Integral
Type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가 일체형인 경우로 하부구조까지 생성합니다. `
Fixed
: 고정지점으로 처리
Spring
Support : Spring 경계로 처리. 수직/수평 방향 Spring
상수를 입력해야 하며, 각 지점별 Spring 상수가 다른 경우에는 를 이용합니다.
Bearing Type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가 교량받침으로 연결된 경우
.gif)
Supports
: Support를 이용해 고정단/가동단을 설정합니다. 아래의 Fixed Support
에서 종방향 고정단을 정의하고, Transverse 탭의 Transversely Fixed
Position 에서 고정단의 횡방향 위치를 정의합니다. 고정단이 정의되면, 방향에
따라 가동단을 자동으로 설정합니다.
Elastic
Link : Elastic Link를 이용하여 교량받침을 묘사합니다.
교대부와 교각부의 방향별 강성으로 입력하며, 각 지점별 받침강성을 다르게 입력할 경우에는
를 이용합니다.
.gif)
Fixed
Support
Supports 옵션을 선택한
경우, 종방향 상의 고정단 위치를 지정합니다.
Elastic Link 옵션을
선택하고, Direction에서 in Line with Fixed Support 옵션을
사용한 경우에 방사형 받침회전각의 기준위치를 선택합니다.
Direction
: 교량받침의 회전각 설정방법을 지정합니다.

Tangential |

in
Line with Fixed Support |
Hybrid Type
교대부는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가 교량받침으로 연결되고, 교각부에서는 상, 하부가
일체형인 경우
.gif)
Abut
: Bearing
Supports
: 시점측 교대에서는 일방향 가동단, 종점측 교대에서는 양방향 가동단으로
설정합니다.
Elastic
Link : Elastic Link를 이용하여 교량받침을 묘사합니다.
교대부와 교각부의 방향별 강성으로 입력하며, 각 지점별 받침강성을 다르게 입력할 경우에는
를 이용합니다.
Pier
: Integral
Pier
Section : 교각 단면
Pier
Height : 교각 높이
Bottom
of Pier : 교각 하단의 경계조건
Fixed
: 고정지점으로 처리
Spring
Support : Spring 경계로 처리. 수직/수평 방향 Spring
상수를 입력해야 하며, 각 지점별 Spring 상수가 다른 경우에는 를 이용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