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 Slab Bridge

 

기능

IMG_C_ICON_DOT.gifRC 슬래브교의 영향면 모델을 간단한 변수만을 입력하는 Wizard 기능으로 자동생성합니다.

IMG_C_ICON_DOT.gifR.C. Slab Bridge Wizard에 의해 자동생성되는 모델데이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RC 슬래브교 따라하기"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호출

IMG_C_ICON_DOT.gif메인 메뉴에서 [Structure] 탭 > [Wizard] 그룹 > [RC Slab Bridge]

 

입력

IMG_C_ICON_TIP.pngDisplay Opiton 대화상자 상단의 Tab을 클릭하면 해당 설계내용으로 바로 연결됩니다.

R.C.Slab_Bridge_Wizard.jpg

R.C. Slab Bridge Wizard Longitudinal 대화상자

 

1. Longitudinal 탭

교량의 재질과 종방향제원을 입력하여 교량모델을 자동생성합니다.

Model

 Material : 교량의 재질

Size of Plate Element : 자동생성되는 판요소의 종방향 최대치수

Span : 교량의 지간

Radius

하나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교를 모델링하는 경우 check하고 반지름을 입력합니다.

Convex : 곡률방향이 볼록(원의 중심이 하부)인 경우

Concave : 곡률방향이 오목(원의 중심이 상부)인 경우

Radiate Type : 라멘교의 지간의 방사형으로 변경되는 경우

Parallel Type : 라멘교의 지간이 일정한 경우

IMG_C_ICON_NOTE_01.png
Radiate Type은 곡선교의 경우에 활성화되며, "Convex"를 선택 한 경우는 곡률반향이 볼록하고 지간이 원 내부방향으로 줄어든다.

Skew : 교량의 사각 (θ deg)

skew_angle-Bridge.jpg

t, t1, a1, a2, a3 : 안내그림을 참조하여 슬래브교의 종방향 제원을 입력

Boundary

Supports

교량 교축방향의 고정단 위치를 지정하고 나머지는 가동단으로 고려합니다.

Elastic Link : 교좌장치를 탄성연결요소(Elastic Link)로 입력합니다.

Elastic Link Stiffness : 탄성연결요소의 강성을 입력합니다.

Abut : Kx, Ky, Kz : 교대위치 탄성연결요소의 강성

Pier : Kx, Ky, Kz : 교각위치 탄성연결요소의 강성

advance(b).jpg : 탄성연결요소의 강성을 각 교각/교대별로 입력합니다.

Elastic Link Length : 탄성연결요소의 길이를 입력합니다.

Fixed Support : 고정단의 위치

Direction : 받침의 가동방향

Tangential : 접선방향

in accordance to Fixed Support : 고정받침 방향

IMG_C_ICON_PAGE_TOP_01.gif

 

 tranverse.jpg

R.C. Slab Bridge Wizard Transverse 대화상자

 

2. Transverse 탭

교량의 방호벽, 중분대, 보도 등을 횡방향 형식을 정의합니다.

 

Type : 횡방향 단면 타입

Type

좌측

우측

type1.jpg

방호벽

방호벽

type2.jpg

방호벽

중앙분리대

type3.jpg

중앙분리대

방호벽

type4.jpg

방호벽

중앙분리대 없는 경우

type5.jpg

중앙분리대 없는 경우

방호벽

  

Size of Plate Element : 자동생성되는 판요소의 횡방향 최대 치수

b1, b2, ~, D, n : 안내그림을 참조하여 슬래브교의 횡방향 제원을 입력

Supports

교량 교축 직각방향의 고정단 위치를 지정합니다.

Fixed Support : 고정지점의 위치

 

RC_slab_br__Wizard_대화상자.jpg

R.C. Slab Bridge Wizard Loads 대화상자

 

3. Loads 탭

RC 슬래브교 해석에 필요한 하중조건과 하중값을 입력합니다. 자동생성된 모델에서는 하중조건 및 하중조합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Load Combinations

Factored : 극한하중 검토를 위한 계수하중 조합조건을 자동생성합니다.

Unfactored : 사용성 검토를 위한 사용하중 조합조건을 자동생성합니다.

IMG_C_ICON_NOTE_01.png
V 6.1.0에는 "KRTA-BRG2K, AASHTo-Std2K, AASHTo-LRFD02, IRC : 6-2000, Tiwan"에 대한 Loads를 지정할 수 있으며 각 국의 code에 따라 선택 option들이 활성화됩니다.

define_moving_load_code.jpg : 각 국의 이동하중에 대한 code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Self Weight : 슬래브 자중

Pavement : 포장하중(압력하중)

Thickness : 포장 재료의 두께

Weight Density : 포장재의 단위 체적당 중량

Barrier : 방호벽 하중(압력하중)

Self Weight : 단위길이당 방호벽 자중

Additional Load : 방음벽, 난간 등에 의해 방호벽이 추가되는 하중

IMG_C_ICON_NOTE_01.png
단위길이당 하중으로 입력된 방호벽과 중앙분리대의 하중은 Transverse에서 입력한 방호벽과 중앙분리대의 폭을 고려하여 압력하중으로 적용된다.

 

Median Strip : 중분대 하중(압력하중)

Side Walk : 보도 하중

Thickness : 보도의 두께

Self Weight : 단위면적당 보도의 자중

Crowd Load : 군중하중

Live Load : 교량의 활하중

Grade of Bridge : 교량의 DB, DL 하중등급

1st : 1등교 (DB-24, DL-24)

2nd : 2등교 (DB-18, DL-18)

3rd : 3등교 (DB-13.5, DL-13.5)

Eccentricity : 활하중 편측 재하시의 기준측

Settlement : 침하량

IMG_C_ICON_NOTE_01.png
지점침하량을 입력하면 지지부의 위치별로 자동생성된 지점 침하 그룹에 대하여 "지점 침하를 자동고려한 해석기능"이 적용된다.

Temperature : 슬래브 상하면의 온도차 하중을 입력합니다.

Wind Load : 교량과 방음벽에 작용하는 풍하중

W : 방음벽에 작용하는 풍하중을 수평력 형태로 입력합니다.

T : 방음벽에 작용하는 풍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입력합니다.

 

 open.jpg

R.C. Slab Bridge Wizard에서 *.wzd 파일로 저장한 데이터를 불러 들이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midas Civil 을 다시 실행한 후, Wizard 내에서 기존의 입력한 데이터 수정 및 확인할 수 있습니다.  

 save_as.jpg

R.C. Slab Bridge Wizard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wzd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IMG_C_ICON_PAGE_TOP_01.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