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ear Constraints

 

기능

IMG_C_ICON_DOT.gif임의절점(종속절점, Slave Nodes)의 자유도를 주절점(Master Node)에 종속시키는 기능이며, 본 기능을 통하여 종속절점별로 Weight를 주거나 서로 다른 자유도에 대하여 상관관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호출

IMG_C_ICON_DOT.gif메인 메뉴에서 [Boundary] 탭 > [Etc.] 그룹 > [Linear Constraints]

 

입력

Linear_Constraints(d).gif

Boundary Group Name

입력한 경계조건을 포함할 Boundary Group을 선택합니다. Group 지정이 불필요한 경우 "Default"를 선택합니다. Boundary Group을 추가생성하거나 수정하기 위해서는 예쁜_버튼.jpg 버튼을 클릭하여 "Define Boundary Group" 대화상자를 호출합니다.

 

Options

Add/Replace : 임의 절점을 종속절점으로 신규 지정하거나 기존의 종속관계를 변경할 경우

Delete : 임의 절점의 종속관계를 해제할 경우

 

Type

Explicit : 일반적인 구속 조건식을 설정합니다.

Weighted Displacement : 같은 자유도간의 구속 조건식을 설정할 경우에 사용합니다.

 

Constraint Node/DOF

Node : 종속절점번호를 입력합니다. 종속절점번호는 키보드로 직접 입력하거나 입력란을 한번 클릭한 후, 마우스커서로 해당절점을 지정하여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Release Slave Nodes without Specifying Master Nodes : 교대 배면 흙의 비중, 일반적으로 2.65를 사용합니다.

DOF : 자유도 성분을 선택합니다.

 

Independent Node(s)/DOF(or Weight(s))

  • Type이 Explicit인 경우

Node : Select 기능을 이용해 주절점을 선택합니다.

DOF : 자유도 성분을 선택합니다.

Coeff. : 자유도간의 상호 관계를 정의하기 위해, 독립 절점의 변위에 적용할 계수를 입력합니다.

IMG_C_ICON_NOTE_01.png
Coefficient는 다음의 경우 길이단위의 변화에 따라 값이 변환된다.

  1. Constraint Node의 자유도가 이동자유도(DX,DY,DZ)중의 하나이고 Independent Node의 자유도가 회전자유도(RX,RY,RZ)중 하나일 때.

  2. 1과 반대인 경우 즉 Constraint Node의 자유도가 회전자유도이고, Independent Node의 자유도가 이동자유도일 때.

둘다 회전자유도이거나 이동자유도인 경우, Coefficient는 무차원의 수임.(단위변환에 관계 없음)Weighted Displacement 타입의 Weight는 항상 무차원 수임. (단위변환에 관계 없음)

  • Type이 Weighted Displacement인 경우

Node : Select 기능을 이용해 주절점을 선택합니다.

Weight : 자유도간의 상호 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가중치를 입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