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ve Loads

 

기능

IMG_C_ICON_DOT.gif입력한 파랑정보를 통해 정적해석/동적해석을 위한 파랑하중을 생성합니다.

 

호출

IMG_C_ICON_DOT.gif메인 메뉴에서 [Load] 탭 > [Settlement/Etc.(Type)] 그룹 > [Wave Loads]

 

입력

Wave_Load_Parameters_List(d).gif

Wave Load parameters 대화상자

Wave Load Parameter Lists

파랑하중으로 변환할 파랑하중변수의 b_Add(88).gif b_Modify(88).gifb_Delete(88).gif

b_TotalWaveLoad.gif : 선택한 파랑하중에 의한 합력

Wave_TotalWaveLoad(d).gif

Total Load Parameter List 대화상자

 

b_WaveLoadData.gif : 생성된 Wave Load를 Grid 형태로 출력합니다.

Wave_WaveLoadData(d).gif

Wave Load Data(Grid Form) 대화상자

 

Wave_Load_Parameters(d).gif

Add/Modify Wave Load parameters 대화상자

Generation Type

입력한 파랑정보를 통해 파랑하중을 생성합니다.

Static Load(Nodal Loads) : 정적해석을 위해, Wave Load Parameter에 따른 파랑하중을 정적 하중(절점 하중)으로 치환합니다.

Critical Position에 따라 Load Cases를 자동 생성합니다.

  

Time History Load : 동적해석을 위해, 파랑하중을 시간이력하중으로 치환합니다.

Time History Load Case를 미리 정의해 두어야 합니다. b_3dot.gif 버튼을 통해 새로운 Load Case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General Parameters

Vertical Coordinate : 수직방향 좌표계를 선택합니다. 수평방향은 Global X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Water Weight Density : 해수의 단위중량

Water Depth : 평균해수면(Mean Sea Level, M.S.L)을 기준으로 한 수심

Mudline Elevation : M.S.L 을 기준으로 한 퇴적층의 수직좌표

Wave_General.gif

위 그림에서 왼쪽 좌표는 해수면을 기준으로 표시한 것이고, 오른쪽 좌표는 모델링에서 사용할 수직좌표를 기준으로 표시한 것입니다.

Vertical Coordinate 항목에서 Global Z 좌표를 선택했다면, "Z=0"인 평면이 Mud line이 됩니다.

Z좌표가 (-)인 곳에 위치하는 요소는 퇴적층 아래에 위치하므로 파랑하중을 받지 않습니다. 즉, 위 그림의 구조물에서 진회색으로 표시한 부분에는 하중이 입력되지 않습니다.

Wave Load Parameters

1.Drag & Inertia Coefficients

항력(Cd) 및 질량력(Cm)을 산정하기 위한 형상계수를 입력합니다.

Wave_Drag_Inertia_Coeff(d).gif

Type

-Constant : 단면에 관계없이 모든 부재에 동일한 항력계수를 적용

-Linear Interpolation : 테이블로 입력한 지름에 대해 선형 보간하여 항력계수를 적용

 

Smooth/Rough : 거칠기에 따라 다른 항력계수를 적용

 

Drag & Inertia Coefficient

-Diameter : 파랑방향에 대한 투영된 부재의 지름

-Cd : 부재에 법선방향으로 작용하는 항력계수

-Cdt : 부재에 접선방향으로 작용하는 항력계수

-Cm : 부재에 법선방향으로 작용하는 질량력계수

-Cmt : 부재에 접선방향으로 작용하는 질량력계수

 

Override Coefficients with Structure Group

Structure Group별로 항력계수, 질량력계수를 입력합니다.

 

2. Water Characteristics

Wave_WaveCharacteristics(d).gif

 

Type : 고려할 수 있는 파랑이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Airy Wave

-Airy Wave (mean position)

-Stokes V Wave

-Stream Function w/ Current Effect

-Stream Function w/o Current Effect

-Cnoidal Wave

-Solitary Wave

Function Order : 파랑이론의 차수

Wave Direction : 파랑하중의 입력방향, Global X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입력

    Wave_WaveCharacteristics_HL.gif

Wave Height : 파고

Wave Length : 파장

Wave Period : 파주기, 한 파장을 통과하는 속도

Kinematics Factor : 해양 파랑의 불규칙성으로 인한 파의 역학적 거동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로서, 0 < factor ≤ 1 의 값을 갖는다.

Current Velocity

Surface(M.W.L) : 평균해수면에서 해류의 속도

Bottom : 해저면에서 해류의 속도

b_Validation_Check_of_Specified_Wave_Theroy.gif : 입력한 데이터에 대한 파랑이론의 적정성을 검토합니다.

Wave_WaveCharacteristics_Direction.gif

Wave_WaveCharacteristics_ValidationCHK(d).gif

 

3. Current Profile

Wave_Current(d).gif

파랑이론 중 "Stream Function with Current Effect" 을 선택했을 때에, 해류의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수심에 따른 해류의 속도를 입력합니다.

 

Direction : 해류의 방향, 입력방법은 위의 그림으로 나타낸 Wave Direction과 동일합니다.

Current Blockage Factor : 구조물에 의한 해류의 영향감소계수

 

Elevation : 0 ≤ Elevation ≤ 수심(h)

Velocity : 해류의 속도

 

 

4. Flood Condition

Wave_Flood(d).gif

단면 내부에 해수가 채워진 부재를 선택합니다. 해당 부재를 미리 그룹으로 지정해 두고, Flooded Member에 해당하는 그룹을 선택합니다.

 

5. Marine Growth

Wave_MarineGrowth(d).gif

부착생물에 의한 구조물의 두께변화를 고려합니다.

 

Crest Position

Wave Load 산정을 위한 Critical Position과 Step을 입력합니다.

Critical Position : Crest 위치에 따른 Total Load 중에서 아래 항목 중 특정 순간 절점에 재하되는 절점하중을 출력합니다.

-Maximum Moment at Bottom

-Minimum Moment at Bottom

-Maximum Shear at Bottom  

-Minimum Shear at Bottom  

-Maximum Force Upward

-Maximum Force Downward

Initial Position : 파랑하중의 시작 위치/시간/Phase

Increase Step : Crest Position 증가 간격

Number of Positions : 계산 할 Crest Position의 개수

IMG_C_ICON_PAGE_TOP_01.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