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hicles
▒ 기능
차량하중을 정의합니다.
각 차량하중의 종류에 따라 입력창이 자동으로
변경되어 하중정보 입력에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
▒ 호출
메인
메뉴에서 [Load] 탭 > [Moving Load(Type)] 그룹 > [Vehcles] |
▒
입력
|
: 차량하중을
각종규준에서 지정하는 하중으로 입력합니다.
: 사용자가 직접하중을 입력합니다.
: 이미 입력된
차량하중을 수정합니다.
: 이미 입력된 차량하중을 삭제합니다. |
V810-542
KSCE-LSD12
- Standard Vehicle Load |
1. Moving
Load Code에서 "KSCE-LSD12"로 선택하고,
로 입력하는 경우
Korean Standard
Load (Specification for Roadway Bridges(Limit State Design))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에서
지정하는 표준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Vehicular Load Name
: 해석용 차량 하중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Vehicular Load Type
: 해석용 차량 하중의 종류를 선택합니다.
- KL-510TRK : 도·한 3.6.1.3.1에 의한 표준트럭하중
- KL-510LNE : 표준트럭하중 영향의 75%와 표준차로하중 영향의 합이며,
처짐
평가시 표준트럭하중 영향의 25%와 표준차로하중 영향의 합으로 선택하여 고려할 수 있습니다.
- KL-510FTG : 도·한 3.6.2.1에 의한 피로설계트럭하중
Dynamic Load Allownace
: 도·한 3.7.1에 명시된 충격하중을 고려하기 위한 충격계수를 입력합니다.
설계트럭하중의
경우 바닥판 접합부를 제외한 모든 다른 부재에 대하여 피로한계상태를 제외한
모든
한계상태에 적용되는 25%가 기본 입력되며, 피로트럭하중의 경우 피로한계상태에 대한
15%가
기본 입력됩니다.
바닥판 접합부의 모든 한계상태에 대한 충격하중은 'Dynamic
Load Allowance' 기능을 통하여 정의할 수 있습니다. |
Korea - Standard Vehicle Load
2.
Moving Load Code에서 "Korea"로
선택하고, 로 입력하는 경우
Korean Standard
Load (Specification for Roadway Bridges) |
한국
도로교설계기준에서 지정하는 표준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
Korean
Standard Train Load |
한국
표준열차하중 또는 지하철 하중을 입력합니다.
Korean
Standard Train Load, Korean Standard Train Load(2004)
Korean
Standard Train Load(2012) v831-569
국내최신철도설계기준
Korean Standard Train Load(2012)가 추가되었습니다. |
AASHTO
Standard Load |
AASHTO
시방서에서 지정하는 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HS-25, HS-25L의 차량하중이
추가되었습니다.
|
AASHTO
LRFD Load |
AASHTO
LRFD 시방서에서 지정하는 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본 시방서에서
Dynamic Load Allowance(%)
: 충격하중계수 입력란이 추가되었습니다. |
Caltrans
Standard Load |
Caltrans
시방서에서 지정하는 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
Others |
PENNDOT와 Austrian Standard에
따른 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
BS
Standard Load 대화상자
3.
Moving Load Code에서 "BS"로
선택하고, 로 입력하는 경우
BS5400 Standard
Load |
Vehicular Load Name
: 해석용 차량 하중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Vehicular
Load Type : 해석용 차량 하중의 종류를 선택합니다.
No.
of Units : HB Type 단위하중의 최소 재하 개수(보통 30으로 고려되며
기술 권위자 판단에 의해 45까지 가능)
|
BD37/01
Standard Load |
BD37/01
시방서에서 지정하는 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HA
Lane Factor : 차선수에 따른 하중감소계수 |
Eurocode Standard Load 대화상자
4.
Moving
Load Code에서 "EUROCODE"로 선택하고,
로 입력하는 경우
EN1991-2:2003
Road Bridge |
도로교
차량하중 모델을 입력합니다. 각 입력 항목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Eurocode 1: Action
on structures Part 2 : Traffic loads on bridges의 4.3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Load Model
1~4
Load Model 3에서 한 축에 차륜이가 3개인 그림(b)의 경우는 차륜이 2개라고 가정하고 등가의
하륜하중으로 치환하여 하중이 재하된다.
Load Model 3에서 차륜이 인접한 차선에 재하되는 것(우측 그림)은 추후에 반영할 예정이다.
따라서 총 축중량이 2400, 3000, 3600 인 모델에서 축하중이 240kN인 경우는 현재
버전에서는 고려되지 않는다.
Load Model 3에서 신축이음부
6m이내 구간의 동적증포계수 증분 조항은 고려하지 않는다.
|
EN1991-2:2003
Footway and Foot
Bridge |
도로교의
보도부분 또는 보도교에 작용하는 하중 모델을 입력합니다. 각 입력 항목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Eurocode
1: Action on structures Part 2 : Traffic loads on bridges의
5.3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EN1991-2:2003
Roadbridge Fatigue |
도로교의
피로 하중 모델을 입력합니다. 각 입력 항목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Eurocode 1: Action
on structures Part 2 : Traffic loads on bridges의 4.6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Fatigue Load
Mode 1~4 |
EN1991-2:2003
v831-575
Rail Traffic Load |
철도교의
철도차량 하중 모델을 입력합니다. 각 입력 항목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Eurocode 1: Action
on structures - Part 2 : Traffic loads on bridges의 6.3.5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Eccentricity of Lateral Displacement
of Vertical Loads를 통해 차량에 편심거리 직접 정의 가능
|
Define User Defined Vehicular
Load 대화상자
5.
Moving
Load Code에서 "EUROCODE"로 선택하고,
로 입력하는 경우
-
EN1991-2:2003
- RoadBridge/Footway and Foot Bridge
차량하중의
크기, 차륜 간격 및 각 계수 등의 차량 하중 데이터를 사용자가 임의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Load Model 3에서 입력된 3가지 Loadcase를 모두 고려하여 가장 불리한 경우에 대한
결과를 출력한다.
Fatigue Load Model Φ1은 One Vehicle에 고려되는 Factor이고, Φ2는
Two vehicle considered case에서 First Vehicle과 Second Vehicle에
동시 적용되는 Factor이다.
- EN1991-2:2003
Rail Traffic Load v831-575
철도교의 철도차량 하중 모델을 사용자가 임의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Eccentricity
of Lateral Displacement of Vertical Loads를 통해 차량에 편심거리
직접 정의 가능
|
V810-542
Define User Defined Vehicular Load
대화상자
6. Moving
Load Code에서 "KSCE-LSD12"로 선택하고,
로 입력하는 경우
Vehicle Load Name |
입력되는
차량하중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
Truck
Load |
집중차륜하중과
간격을 입력합니다.
P# : 집중하중
D# : 집중하중간의 간격 (안내그림
참조)
: 입력된 집중하중을 하부의 목록에 추가
: 입력된 집중하중을 해당위치에
삽입
: 이미 입력된 집중하중 목록에서
선택한 하중의 크기나 간격을 수정
: 이미 입력된 집중하중 목록에서
선택한 하중을 삭제
집중차륜하중의 입력순서는 실제 차륜의 진행순서와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
Lane
Load |
차선하중을 입력합니다.
w : 차선분포하중
PL : 모든 부재력 계산에 사용되는
차선집중하중
PLM : 모멘트 계산용 차선집중하중
PLV : 전단력 계산용 차선집중하중 |
Define
User Defined Vehicular Load 대화상자
7.
Moving
Load Code에서 "Korea"로 선택하고,
로 입력하는 경우
Load Type |
입력할 차량하중의 종류를 지정합니다.
Truck/Lane : 집중차륜하중
또는 차선하중 입력
Train Load : 열차하중 입력
Lane (Length Specifired)
: 궤도하중 입력
|
No.
of Uniform Load : 등분포하중의 개수
Distance
: 등분포하중 간 거리
Uniform
Load w : 등분포하중의 크기
Uniform
Load Length L : 등분포하중의 길이 |
|
|
Vehicle
Load Name |
입력되는
차량하중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
Truck
Load |
집중차륜하중과
간격을 입력합니다.
P# : 집중하중
D# : 집중하중간의 간격 (안내그림
참조)
: 입력된 집중하중을 하부의 목록에 추가
: 입력된 집중하중을 해당위치에
삽입
: 이미 입력된 집중하중 목록에서
선택한 하중의 크기나 간격을 수정
: 이미 입력된 집중하중 목록에서
선택한 하중을 삭제
집중차륜하중의 입력순서는 실제 차륜의 진행순서와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
Lane
Load |
차선하중을 입력합니다.
w : 차선분포하중
PL : 모든 부재력 계산에 사용되는
차선집중하중
PLM : 모멘트 계산용 차선집중하중
PLV : 전단력 계산용 차선집중하중 |
Train
Load |
지하철
하중을 입력합니다.
dW1~2 : 차선분포하중
dD1~2 : 차선분포하중과 집중하중의
간격 (안내그림 참조)
P : 차선집중하중 (Load에 입력)
D : 차선집중하중 사이의 간격 (Distance에
입력) |
Define User Defined Vehicular
Load 대화상자
8.
Moving Load Code에서 "AASHTO LRFD"로
선택하고, 로 입력하는 경우
Vehicular Load
Properties |
Vehicular Load Name
: 해석용 차량 하중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Type of Axle
Name
: 차축(Axle)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Evenly
Distributed Wheel Load : 옵션을 선택하면 P1을 제외한 P2, P3
... 은 비활성화 되며 P1에 입력한 값을 사용하게 됩니다.
Symmetric
Vehicle : 옵션을 선택하면 차량중심선으로부터 진행방향 기준으로 오른쪽 바퀴 데이터만
입력을 받습니다.
P1,
P2, ...Pn : 차축을 구성하는 바퀴 하중을 입력합니다. 차량 중심선에서 가까운
쪽의 바퀴부터 차례로 바퀴하중을 입력합니다.
D1,
D2, ...Dn : 차량 중심선에서 바퀴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차량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이(+) 왼쪽이(-)로 입력됩니다.
Table
: 정의된 차축(Axle)을 이용하여 차량하중을 정의합니다.
Type
of Axle : 정의된 차축(Axle)을 선택 합니다.
Spacing
: 차축 사이의 간격을 입력합니다.
|
횡방향
이동하중의 차량하중 정의
9.
Moving Load Code에서 "Transverse
Moving Load"로 선택하고, 로 입력하는
경우
Vehicular Load Name
: 횡방향 해석용 차량 하중의 이름
Wheel
Load (P) : 윤하중
Distribution
Width : 윤하중의 종방향 분포폭. 윤하중을 이 분포폭으로 나눈값이 해석에 사용됩니다.
Max.
Number of Lanes (n) : 최대 차선수
Distance
between Wheels (Dw) : 바퀴간 거리
Min.
Distance of Wheel Load (Dv) : 차량간 최소 거리
Edge
Distance of Wheel Loads (De) : 차량과 방호벽 또는 중앙분리대까지의
최소 이격 거리
Median
Strip : 중앙분리대가 있는 경우
체크 합니다. 중분대가 있는 경우 중분대 부분(최소이격거리 포함)에는 차선이 정의되어 있더라도 차량하중이
재하되지 않습니다.
Location(MI):
차선이 시작되는 위치부터 중앙분리대 중심까지의 거리
Width
: 중앙분리대의 폭
Max.
Number of Left/Right Lanes (n1/n2) : 중분대를 기준으로
왼쪽의 최대 차선수를 입력합니다. 최대 차선수는 아래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값을 입력할 수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