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hicles

 

기능

IMG_C_ICON_DOT.gif차량하중을 정의합니다.

IMG_C_ICON_NOTE_01.png
각 차량하중의 종류에 따라 입력창이 자동으로 변경되어 하중정보 입력에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호출

IMG_C_ICON_DOT.gif메인 메뉴에서 [Load] 탭 > [Moving Load(Type)] 그룹 > [Vehcles]

 

입력

Vehicles.png

add_standard.jpg : 차량하중을 각종규준에서 지정하는 하중으로 입력합니다.

add_user_defined.jpg : 사용자가 직접하중을 입력합니다.

modify버튼.jpg : 이미 입력된 차량하중을 수정합니다.

delete버튼.jpg : 이미 입력된 차량하중을 삭제합니다.

Standard_Vehicular_Load.pngV810-542

KSCE-LSD12 - Standard Vehicle Load


1. Moving Load Code에서 "KSCE-LSD12"로 선택하고, add_standard.jpg 로 입력하는 경우

Korean Standard Load (Specification for Roadway Bridges(Limit State Design))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에서 지정하는 표준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Vehicular Load Name : 해석용 차량 하중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Vehicular Load Type : 해석용 차량 하중의 종류를 선택합니다.
  - KL-510TRK : 도·한 3.6.1.3.1에 의한 표준트럭하중
  - KL-510LNE : 표준트럭하중 영향의 75%와 표준차로하중 영향의 합이며,
                   처짐 평가시 표준트럭하중 영향의 25%와 표준차로하중 영향의 합으로 선택하여 고려할 수 있습니다.
  - KL-510FTG : 도·한 3.6.2.1에 의한 피로설계트럭하중

 Dynamic Load Allownace : 도·한 3.7.1에 명시된 충격하중을 고려하기 위한 충격계수를 입력합니다.
                                   설계트럭하중의 경우 바닥판 접합부를 제외한 모든 다른 부재에 대하여 피로한계상태를 제외한
                                   모든 한계상태에 적용되는 25%가 기본 입력되며, 피로트럭하중의 경우 피로한계상태에 대한
                                   15%가 기본 입력됩니다.

  IMG_C_ICON_NOTE_01.png
  바닥판 접합부의 모든 한계상태에 대한 충격하중은 'Dynamic Load  Allowance' 기능을 통하여 정의할 수 있습니다.



Standard_Vehicle_Load.jpg
Korea - Standard Vehicle Load

2. Moving Load Code에서 "Korea"로 선택하고, add_standard.jpg 로 입력하는 경우

Korean Standard Load (Specification for Roadway Bridges)

한국 도로교설계기준에서 지정하는 표준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교량구조물-표준차량하중.jpg

 

Korean Standard Train Load

한국 표준열차하중 또는 지하철 하중을 입력합니다.

Korean Standard Train Load, Korean Standard Train Load(2004)

korean_standard_train_load.jpg

Korean Standard Train Load(2012)   v831-569

     korean_standard_train_load_2012.jpg

     IMG_C_ICON_NOTE_01.png
    국내최신철도설계기준 Korean Standard Train Load(2012)가 추가되었습니다.

AASHTO Standard Load

AASHTO 시방서에서 지정하는 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h15-44.jpg

IMG_C_ICON_NOTE_01.png
HS-25, HS-25L의 차량하중이 추가되었습니다.

AASHTO LRFD Load

AASHTO LRFD 시방서에서 지정하는 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LRFD.jpg

본 시방서에서 Dynamic Load Allowance(%) : 충격하중계수 입력란이 추가되었습니다.

Caltrans Standard Load

Caltrans 시방서에서 지정하는 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Vehicle_Caltrans(li).gif

Others

PENNDOT와 Austrian Standard에 따른 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Vehicle_Others(li).gif

 

Vehicle_BS_BS5400(d).gif Vehicle_BS_BD37(d).gif

BS Standard Load 대화상자

3. Moving Load Code에서 "BS"로 선택하고, add_standard.jpg 로 입력하는 경우

BS5400 Standard Load

Vehicular Load Name : 해석용 차량 하중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Vehicular Load Type : 해석용 차량 하중의 종류를 선택합니다.

No. of Units : HB Type 단위하중의 최소 재하 개수(보통 30으로 고려되며 기술 권위자 판단에 의해 45까지 가능)

 

BD37/01 Standard Load

BD37/01 시방서에서 지정하는 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Vehicle_BS_BD3701.gif

HA Lane Factor : 차선수에 따른 하중감소계수

 

Vehicle_Euro_Std(d).gif

Eurocode Standard Load 대화상자

4. Moving Load Code에서 "EUROCODE"로 선택하고, add_standard.jpg 로 입력하는 경우

EN1991-2:2003  Road Bridge

도로교 차량하중 모델을 입력합니다. 각 입력 항목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Eurocode 1: Action on structures – Part 2 : Traffic loads on bridges’의 4.3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Vehicle_Euro_Model1(f).gif Vehicle_Euro_Model2(f).gif

Vehicle_Euro_Model3(f).gif Vehicle_Euro_Model4(f).gif

Load Model 1~4

IMG_C_ICON_NOTE_01.png
Load Model 3에서 한 축에 차륜이가 3개인 그림(b)의 경우는 차륜이 2개라고 가정하고 등가의 하륜하중으로 치환하여 하중이 재하된다.

Vehicle_Euro_note1.gif

IMG_C_ICON_NOTE_01.png
Load Model 3에서 차륜이 인접한 차선에 재하되는 것(우측 그림)은 추후에 반영할 예정이다. 따라서 총 축중량이 2400, 3000, 3600 인 모델에서 축하중이 240kN인 경우는 현재 버전에서는 고려되지 않는다.

Vehicle_Euro_note2.gif

IMG_C_ICON_NOTE_01.png
Load Model 3에서 신축이음부 6m이내 구간의 동적증포계수 증분 조항은 고려하지 않는다.

Vehicle_Euro_note3.gif

 EN1991-2:2003–

Footway and Foot Bridge

도로교의 보도부분 또는 보도교에 작용하는 하중 모델을 입력합니다. 각 입력 항목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Eurocode 1: Action on structures – Part 2 : Traffic loads on bridges’의 5.3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Vehicle_Euro_Foot(d).gif

 

EN1991-2:2003 – Roadbridge Fatigue

도로교의 피로 하중 모델을 입력합니다. 각 입력 항목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Eurocode 1: Action on structures – Part 2 : Traffic loads on bridges’의 4.6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Vehicle_Euro_Fatigue1(f).gif Vehicle_Euro_Fatigue2(f).gif

Vehicle_Euro_Fatigue3(f).gif Vehicle_Euro_Fatigue4(f).gif   

Fatigue Load Mode 1~4

EN1991-2:2003 –v831-575

Rail Traffic Load

철도교의 철도차량 하중 모델을 입력합니다. 각 입력 항목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Eurocode 1: Action on structures - Part 2 : Traffic loads on bridges의 6.3.5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vehicle_euro_standard_rail.jpg

               IMG_C_ICON_NOTE_01.png
               
Eccentricity of Lateral Displacement of Vertical Loads를 통해 차량에 편심거리 직접 정의 가능 IMG_C_ICON_DROP_DOWN.png

 

Vehicle_euro__user_define_road&foot.jpg      Vehicle_euro__user_define_rail.jpg

Define User Defined Vehicular Load 대화상자

5. Moving Load Code에서 "EUROCODE"로 선택하고, add_user_defined.jpg 로 입력하는 경우

  - EN1991-2:2003 - RoadBridge/Footway and Foot Bridge

차량하중의 크기, 차륜 간격 및 각 계수 등의 차량 하중 데이터를 사용자가 임의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IMG_C_ICON_NOTE_01.png
Load Model 3에서 입력된 3가지 Loadcase를 모두 고려하여 가장 불리한 경우에 대한 결과를 출력한다.

IMG_C_ICON_NOTE_01.png
Fatigue Load Model Φ1은 One Vehicle에 고려되는 Factor이고, Φ2는 Two vehicle considered case에서 First Vehicle과 Second Vehicle에 동시 적용되는 Factor이다.

  - EN1991-2:2003 Rail Traffic Load      v831-575

        철도교의 철도차량 하중 모델을 사용자가 임의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IMG_C_ICON_NOTE_01.png
         Eccentricity of Lateral Displacement of Vertical Loads를 통해 차량에 편심거리 직접 정의 가능 IMG_C_ICON_DROP_DOWN.png


User_Defined_Vehicular_Load.pngV810-542
Define User Defined Vehicular Load 대화상자


6. Moving Load Code에서 "KSCE-LSD12"로 선택하고, add_user_defined.jpg 로 입력하는 경우

Vehicle Load Name

입력되는 차량하중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Truck Load

집중차륜하중과 간격을 입력합니다.

P# : 집중하중

D# : 집중하중간의 간격 (안내그림 참조)

s-add.jpg : 입력된 집중하중을 하부의 목록에 추가

s-insert.jpg : 입력된 집중하중을 해당위치에 삽입

s-modify.jpg : 이미 입력된 집중하중 목록에서 선택한 하중의 크기나 간격을 수정

s-delete.jpg : 이미 입력된 집중하중 목록에서 선택한 하중을 삭제

IMG_C_ICON_NOTE_01.png
집중차륜하중의 입력순서는 실제 차륜의 진행순서와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Lane Load

차선하중을 입력합니다.

w : 차선분포하중

PL : 모든 부재력 계산에 사용되는 차선집중하중

PLM : 모멘트 계산용 차선집중하중

PLV : 전단력 계산용 차선집중하중


Define_User_Defined_Vehicular_Load(d).gif

Define User Defined Vehicular Load 대화상자

7. Moving Load Code에서 "Korea"로 선택하고, add_user_defined.jpg 로 입력하는 경우

Load Type

입력할 차량하중의 종류를 지정합니다.

Truck/Lane : 집중차륜하중 또는 차선하중 입력

Train Load : 열차하중 입력

Lane (Length Specifired) : 궤도하중 입력

Vehicular_Load_Properties(f).gif

No. of Uniform Load : 등분포하중의 개수

Distance : 등분포하중 간 거리

Uniform Load w : 등분포하중의 크기

Uniform Load Length L : 등분포하중의 길이

Vehicle Load Name

입력되는 차량하중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Truck Load

집중차륜하중과 간격을 입력합니다.

P# : 집중하중

D# : 집중하중간의 간격 (안내그림 참조)

s-add.jpg : 입력된 집중하중을 하부의 목록에 추가

s-insert.jpg : 입력된 집중하중을 해당위치에 삽입

s-modify.jpg : 이미 입력된 집중하중 목록에서 선택한 하중의 크기나 간격을 수정

s-delete.jpg : 이미 입력된 집중하중 목록에서 선택한 하중을 삭제

IMG_C_ICON_NOTE_01.png
집중차륜하중의 입력순서는 실제 차륜의 진행순서와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Lane Load

차선하중을 입력합니다.

w : 차선분포하중

PL : 모든 부재력 계산에 사용되는 차선집중하중

PLM : 모멘트 계산용 차선집중하중

PLV : 전단력 계산용 차선집중하중

Train Load

지하철 하중을 입력합니다.

dW1~2 : 차선분포하중

dD1~2 : 차선분포하중과 집중하중의 간격 (안내그림 참조)

P : 차선집중하중 (Load에 입력)

D : 차선집중하중 사이의 간격 (Distance에 입력)

 

User_Defined_Vehicular_Load_permit.gif

Define User Defined Vehicular Load 대화상자

8. Moving Load Code에서 "AASHTO LRFD"로 선택하고, add_user_defined.jpg 로 입력하는 경우

Vehicular Load Properties

Vehicular Load Name : 해석용 차량 하중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Type of Axle

Name : 차축(Axle)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Evenly Distributed Wheel Load : 옵션을 선택하면 P1을 제외한 P2, P3 ... 은 비활성화 되며 P1에 입력한 값을 사용하게 됩니다.

Symmetric Vehicle : 옵션을 선택하면 차량중심선으로부터 진행방향 기준으로 오른쪽 바퀴 데이터만 입력을 받습니다.

P1, P2, ...Pn : 차축을 구성하는 바퀴 하중을 입력합니다. 차량 중심선에서 가까운 쪽의 바퀴부터 차례로 바퀴하중을 입력합니다.

D1, D2, ...Dn : 차량 중심선에서 바퀴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차량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이(+) 왼쪽이(-)로 입력됩니다.

Table : 정의된 차축(Axle)을 이용하여 차량하중을 정의합니다.

Type of Axle : 정의된 차축(Axle)을 선택 합니다.

Spacing : 차축 사이의 간격을 입력합니다.

 

 

Vehicle_Trans(d).gif

횡방향 이동하중의 차량하중 정의

9. Moving Load Code에서 "Transverse Moving Load"로 선택하고, add_user_defined.jpg 로 입력하는 경우

Vehicular Load Name : 횡방향 해석용 차량 하중의 이름

Wheel Load (P) : 윤하중

Distribution Width : 윤하중의 종방향 분포폭. 윤하중을 이 분포폭으로 나눈값이 해석에 사용됩니다.

Max. Number of Lanes (n) : 최대 차선수

Distance between Wheels (Dw) : 바퀴간 거리

Min. Distance of Wheel Load (Dv) : 차량간 최소 거리

Edge Distance of Wheel Loads (De) : 차량과 방호벽 또는 중앙분리대까지의 최소 이격 거리

Median Strip : 중앙분리대가 있는 경우 체크 합니다. 중분대가 있는 경우 중분대 부분(최소이격거리 포함)에는 차선이 정의되어 있더라도 차량하중이 재하되지 않습니다.

Location(MI): 차선이 시작되는 위치부터 중앙분리대 중심까지의 거리

Width : 중앙분리대의 폭

Max. Number of Left/Right Lanes (n1/n2) : 중분대를 기준으로 왼쪽의 최대 차선수를 입력합니다. 최대 차선수는 아래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값을 입력할 수 없습니다.

Vehicle_MI(e).gif

IMG_C_ICON_PAGE_TOP_01.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