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igue Parameter

 

기능

강합성 단면의 피로설계에 관련된 변수를 입력합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MODS] 탭 > [Design] 그룹 > [Composite Design] > [Fatigue Parameter]

 

입력

1)Design Parameter에서 Straight Bridge 선택 시
 
  

Both end parts(I & j) have the same shear connector

   : 선택한 요소의 I단, J단이 동일한 전단연결재 정보를 가지는 경우 이 옵션에 체크하고 I단 탭에만 전단연결재 제원을

     입력하면 J단에 자동으로 동일한 정보가 입력됩니다.

Category : 하중유발 피로에 대한 상세범주 선택 (도로교설계기준 2015 표 6.6.1 참조)

(ADTT)SL : 단일차로 일평균 트럭 교통량

N(n/cycle) : cycle당 응력범위 반복횟수

2)Design Parameter에서 Curved Bridge 선택 시

 

Both end parts(I & j) have the same shear connector

   : 선택한 요소의 I단, J단이 동일한 전단연결재 정보를 가지는 경우 이 옵션에 체크하고 I단 탭에만 전단연결재 제원을   

     입력하면 J단에 자동으로 동일한 정보가 입력됩니다.

Category : 하중유발 피로에 대한 상세범주 선택 (도로교설계기준 2015 표 6.6.1 참조)

(ADTT)SL : 단일차로 일평균 트럭 교통량

N : 설계수명 동안 예상되는 활하중에 의한 응력범위 반복횟수

Warping Stress Range : 횡방향 Warping 응력 범위 입력

                                 (Design Parameter에서 ‘Consider St. Venant Torsion and Distorsion Stresses’ 선택시 활성화)

     Auto Calculation : 선택 시 Warping Stress Range 자동계산 (종방향 응력의 10%로 자동 산정)

     User Input : 사용자가 직접 계산한 값을 입력

         Top Flange : 직접 계산된 상부 플랜지의 횡방향 Warping 응력 범위를 입력

         Bot. Flange : 직접 계산된 하부 플랜지의 횡방향 Warping 응력 범위를 입력

          직접 계산 시 BEF Analogy를 사용할 수 있음.(AASHTO LRFD 12의 설계예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