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Wizard V815-546

 

기능

Wizard를 이용한 다양한 형식의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Model 자동 생성 : I형 강합성거더 / 강박스 합성거더 / 개구제형 강합성거더

다양한 형식의 요소를 이용한 모델링 가능 : All Frame / All Plate / Plate(Deck) + Frame(Girder) / Plate(Deck&Web) + Frame(Flange)

상/하부 구조물 모델링 편의성 확대 : 횡강성 확보를 위한 Transverse Deck 요소(Dummy 요소) 자동생성 / 하부구조 모델링 여부 선택 가능

하중 정의 및 시공단계 정의 편의성 확대 : DC1, DC2, DW 하중을 Erection Load로 자동 분류 / 합성단면 시공단계 및 상부 슬래브 분할타설 시공단계 자동 생성

 

호출

메인 메뉴에서 [Structure] 탭 > [Wizard] 그룹 >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Wizard]

 

입력

 

 

1. Layout

 

Girder Type : Composite Steel I / Composite Steel Box / Composite Steel Tub

Modeling Type

   All Frame : 거더를 Frame 요소로 생성. Section Properties에서 정의된 Composite 단면 적용.

   All Plate : 거더를 모두 Plate 요소로 생성.

   Deck as Plate, Girder as Frame : 상부 데크는 Plate 요소로, 거더는 Frame 요소로 생성

   Deck & Web as Plate, Flanges as Frame : 상부 데크와 웨브는 Plate 요로, 플랜지는 Frame 요소로 생성

Span Information : 경간정보 입력.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Pier 및 중간지점이 생성

  4@50,70 : 50mDeck 4, 70mDeck로 구성된 총 270m 교량

Deck Width : Deck의 횡방향 폭

Skew Angle : Abutment 및 Pier의 교량 종방향 기준 생성 각도

     : 각 위치의 Abutment, Pier별로 다른 Skew Angle 입력 가능

Offset : 기준선(Reference Line)으로부터 전체 교량 중심의 이격거리

Radius : 곡선교 모델링 시 곡률반경. 선택하지 않을 경우 직선교로 모델링

  입력된 Skew Angle 및 곡률반경 정보에 따라 Nodal Local Axis 자동 정의

Type : 곡선교 모델링 시 곡률방향 선택 (Convex & Concave)

 

Boundary

Bearing Type : 하부구조(피어) 없이 거더에 직접 Support를 정의

      Supports : 경계조건을 고정단 혹은 단순 지지로 정의. 하나의 지점이 고정단으로 결정되면 나머지 지점들은 종방향에 대하여 자유단으로 자동 정의

      Elastic Link : 경계조건을 Elastic Link로 입력. 교대(Abutment)와 교각(Pier)에 해당하는 지점 강성값 입력(Kx, Ky, Kz)

          : 각 지점별로 Elastic Link 강성값을 달리 적용 가능

      Fixed Support : 지점들 중 고정단으로 지정할 위치 선택

With Substructure : 하부구조(피어)까지 모델링

      Abutment

         Bearing Type

            Fixed : 교대부(Abutment)의 경계조건을 Elastic Link가 아닌 고정단으로 정의

            Elastic Link : 교대부(Abutment)의 경계조건을 Elastic Link로 입력

      Pier

         Pier Cap : 선택 시 Pier Cap 모델링 적용

            Section : Pier Cap에 적용할 단면 정의 및 선택

            Length : Pier Cap의 길이

         Column

            Section : Pier 기둥부에 적용할 단면 정의 및 선택

            Height : Pier 기둥부 높이

            Spacing : 기둥을 1개 이상 입력 시 기둥간의 중심간격 입력. 여러 개의 간격 입력 시 기둥 개수 증가.

             ‘1,2’ 입력 시 1m2m 간격으로 기둥 3개 생성. ‘2@1’ 입력 시 1m 간격으로 기둥 3개 생성.

         Material : Pier에 적용할 재질 특성 정의 및 선택

         Pier Support

            Fixed : Pier의 하단을 고정단으로 정의

            Spring Support : Pier의 하단을 스프링으로 정의

         Spring Stiffness : Pier Support를 Spring Support로 선택 시, 스프링 강성값 입력

            : Pier별로 하단 스프링 계수 달리 입력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