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ring Type : 하부구조(피어) 없이 거더에 직접 Support를 정의
Supports : 경계조건을 고정단 혹은 단순 지지로 정의. 하나의 지점이 고정단으로 결정되면 나머지 지점들은 종방향에 대하여 자유단으로 자동 정의
Elastic Link : 경계조건을 Elastic Link로 입력. 교대(Abutment)와 교각(Pier)에 해당하는 지점 강성값 입력(Kx, Ky, Kz)
: 각 지점별로 Elastic Link 강성값을 달리 적용 가능
Fixed Support : 지점들 중 고정단으로 지정할 위치 선택
With Substructure : 하부구조(피어)까지 모델링
Abutment
Bearing Type
Fixed : 교대부(Abutment)의 경계조건을 Elastic Link가 아닌 고정단으로 정의
Elastic Link : 교대부(Abutment)의 경계조건을 Elastic Link로 입력
Pier
Pier Cap : 선택 시 Pier Cap 모델링 적용
Section : Pier Cap에 적용할 단면 정의 및 선택
Length : Pier Cap의 길이
Column
Section : Pier 기둥부에 적용할 단면 정의 및 선택
Height : Pier 기둥부 높이
Spacing : 기둥을 1개 이상 입력 시 기둥간의 중심간격 입력. 여러 개의 간격 입력 시 기둥 개수 증가.
‘1,2’ 입력 시 1m와2m 간격으로 기둥 3개 생성. ‘2@1’ 입력 시 1m 간격으로 기둥 3개 생성.
Material : Pier에 적용할 재질 특성 정의 및 선택
Pier Support
Fixed : Pier의 하단을 고정단으로 정의
Spring Support : Pier의 하단을 스프링으로 정의
Spring Stiffness : Pier Support를 Spring Support로 선택 시, 스프링 강성값 입력
: Pier별로 하단 스프링 계수 달리 입력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