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ahmen/Culvert Auto Generation Wizard 대화상자
1. 모델 탭
구조물 형식
|
구조물의 기본적인 형식을 지정합니다.
라멘
지중라멘 : 상부 슬래브가 지중에 존재하는 라멘 형식으로 5연까지 가능
노출라멘 : 상부 슬래브가 노출되는 라멘 형식으로 5연까지 가능
암거
단층 : 단층 형식의 암거로서 5연까지 가능
복층(지하철 정거장) : 복층 형식의 암거로서 3층 5연까지 가능
|
형상
|
구조물 형식에 따른 형상을 입력합니다.
지중 깊이(h) : 지표면으로부터 상부 슬래브(상단)까지의 거리
구조물 폭(W) : 외측 벽 중심선부터 중심선까지의 거리
구조물 높이(H) : 상부슬래브 상단부터 하부슬래브 하단까지의 거리
구조물 깊이(B) : 구조물의 종방향 깊이 v831-568
: 구조물 형식에서 "암거 > 복층(지하철 정거장)" 선택 시에만 체크박스가 활성화되며, Cell의 활성화 여부를 지정합니다.
기초폭(B'') : 벽체 하단부 기초의 폭 v831-568
기초깊이(D) : 벽체 하단부 기초의 깊이 v831-568
최대 요소 길이 : 최대 길이 값내에서 요소 자동 생성

구조물 깊이(B), 기초폭(B''), 기초깊이(D)는 라멘 선택 시에만 활성화 v831-568
헌치부
헌치의 위치를 지정하고, 치수를 입력합니다.
W : 헌치의 폭
H : 헌치의 높이
Gw : 거더 돌출부 폭
Gh : 거더 돌출부 높이

Gw, Gh는 헌치부에서 Inner Walls 부분 셀 클릭 시에만 활성화
: 입력된 치수를 해당 헌치에 입력
|
재질
|
부재의 재료 특성을 입력합니다.
새로운 재질을 추가하거나 기존의 재질을 수정하려면 버튼을 이용합니다.
|
두께
|
보, 기둥, 벽체의 두께를 입력합니다.
상부 슬래브 : 상부 슬래브 두께
하부 슬래브 : 하부 슬래브 두께, 구조물 형식이 "암거"일 경우 활성화
내측 슬래브 : 내측 슬래브 두께, 구조물 형식이 "암거 > 복층(지하철 정거장)"일 경우 활성화
버튼을 클릭하면 층에 따라 슬래브 두께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고, 해당층을 클릭하면 View 창에 해당층이 선택됩니다.
외측 벽 : 외측 벽의 두께 입력
버튼을 클릭하면 층에 따라 외벽 두께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고, 해당층을 클릭하면 View 창에 해당층이 선택됩니다.
내측 벽/기둥 : 내측 벽/기둥의 두께 입력
버튼을 클릭하면 벽체 및 기둥의 단면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고, 해당위치를 클릭하면 View 창에 선택됩니다.
종류 : 해당위치에 벽 또는 기둥을 지정
두께 : 벽체의 두께
단면 : 기둥단면의 형상
a, b : 단면의 치수
C.T.C :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기둥의 간격
C.T.C를 입력하면 기둥 강성을 2차원 구조물에 맞도록 조정합니다.
|

|

Rahmen/Culvert Auto Generation Wizard 대화상자
2. 경계조건 탭
상시 검토 : 모델의 상시 검토를 위한 경계조건 설정
지진시 검토 : 모델의 지진시 검토를 위한 경계조건 설정

경계조건 탭은 구조물 형식이 "암거"일 경우에만 활성화되며, 상시 검토는 항상 Check On되어 있습니다.
구조물 폭
|
경계조건이 설정될 구간에 대한 구조물의 폭을 입력합니다.
종방향 폭(L) : 구조물의 종방향 폭
횡방향 폭(B)(두께 고려) : 구조물의 횡방향 폭
상부 슬래브 : 모델 탭의 구조물 폭(W) + 좌측 최외곽 벽의 두께/2 + 우측 최외곽 벽의 두께/2
하부 슬래브 : 모델 탭의 구조물 폭(W) + 좌측 최외곽 벽의 두께/2 + 우측 최외곽 벽의 두께/2
외측 벽 : 모델 탭의 구조물 높이(H)

두께가 고려된 구조물의 횡방향 폭은 모델 탭의 입력 정보에 의해 자동 계산된다. 체크박스에 Check On을 할 경우, 횡방향 폭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구조물 형식이 "암거 > 복층" 일 경우, 좌/우측 최외곽 벽 : 상세 옵션을 통해 서로 다른 두께를 적용한 경우, 상부슬래브는 층 번호가 작은 벽의 두께를 적용하고, 하부슬래브는 층 번호가 큰 벽의 두께를 적용한다.
|
지반 탄성계수(E0)
|
상시 지반반력계수를 구한기 위한 지반 탄성계수의 값을 입력합니다.
|
추정계수(α)
|
상시, 지진시에 따라 추정계수의 값을 입력합니다.
탄성계수(E0)
|
추정계수(α)
|
상시
|
지진시
|
지름 30cm의 강체원판에 의한 평판재하시험을 반복시킨 곡선에서 구한 탄성계수의 1/2
|
1
|
2
|
보링 공내에서 측정한 탄성계수
|
4
|
8
|
공시체의 1축 또는 3축 압축시험에서 구한 탄성계수
|
4
|
8
|
표준관입시험 N값에서 E0=28N으로 추정한 탄성계수
|
1
|
2
|
|
λ(지진시)
|
지진시 지반반력계수로부터 전단 지반반력계수를 구하기 위한 계수값을 입력합니다.
계수값은 1/4 ≤ λ ≤ 1/3 이어야 합니다.
|
보정계수(지진시)(C)
|
성능수준별 지반변형에 대한 보정계수 값을 입력합니다.
기능수행 수준의 C=1.0 일 경우, 붕괴방지 수준의 C=0.8 또는 C=1.0
기능수행 수준의 C=0.8 일 경우, 붕괴방지 수준의 C=0.5

기능수행 : 중간 이하의 규모를 가진 지진에 대해서는 구조부재들이 탄성영역 내에서 저항하여 심각한 손상을 입지 않아야 한다.
붕괴방지 : 비교적 큰 규모의 지진에 의한 지반진동에 의해서도 구조물의 전부 또는 일부가 붕괴되어서는 안되며, 가능하면 지진에 의한 피해의 예측이 가능하고 피해조사와 보수를 위해 현장접근이 가능하도록 설계를 하여야 한다.
|
지반 특성(지진시)
|
지진시 구조물의 지반 특성 값을 입력합니다.
분류 : 구조물의 지반 분류 설정
지반종류 : 구조물의 지반 종류 설정
지반 분류
|
지반종류의 호칭
|
Sa
|
경암지반
|
Sb
|
보통암지반
|
Sc
|
매우 조밀한 토사지반 또는 연암지반
|
Sd
|
단단한 토사지반
|
Se
|
연약한 토사지반
|
N치 : 지반의 N치를 입력
지반이 "점성토"인 경우, 1 ≤ N ≤ 25
지반이 "사질토"인 경우, 1 ≤ N ≤ 50

N치란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KS F 2307-7)에서 63.5kg의 해머를 76cm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로드 선단 샘플러를 지반에 30cm 관입하는데 필요한 타격 횟수를 말한다.
포아송 비(ν) : 지반의 포아송 비를 입력
|
지반 반력계수
|
클릭 시 계산된 상시, 지진시(기능수행, 붕괴방지)의 지반 반력계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v831-568

Rahmen/Culvert Auto Generation Wizard 대화상자
3. 하중 탭
하중조합 자동생성
|
상시 및 지진시의 하중조합 자동생성을 위한 항목 및 기준을 설정합니다.
상시 : 상시 검토에서 고려할 하중조합을 자동생성
KSCE 2010 : 대한토목학회의 콘크리트표준시방서에 의한 하중조합
KCI 2012 : 한국콘크리트학회의 콘크리트 구조설계 기준에 의한 하중조합
KSCE 2010 + KCI 2012 : 각 기준의 하중조합 모두 생성
지진시 : 지진시 검토에서 고려할 하중조합을 지하공동구 내진설계기준에 의해 자동생성
 Rahmen/Culvert Auto Generation에서 암거는 응답변위법, 라멘은 등가정적법을 통해 지진시 검토를 수행한다. v831-568
|
상시 하중
|
상시 하중에서 고려할 값을 선택하고, 값을 입력합니다.
자중
: 클릭시 철근콘크리트, 무근콘크리트, 토사(건조, 습윤), 지하수, 포장, 방수몰탈의 단위 중량을 확인 및 수정할 수 있습니다. v831-568
토압 : 지반의 내부마찰각
지하수 : 지하수위면의 높이
포장하중 : 포장 두께 x 포장 단위중량
방수몰탈 하중 : 방수몰탈 두께 x 방수몰탈 단위중량

포장하중과 방수몰탈 하중은 토압이 Check On된 경우에만 활성화 된다.

구조물 형식이 노출 라멘일 경우, 상재토압 하중은 계산되지 않는다.
활하중
자동 계산 : 지하철 시방규정에 맞는 하중을 상부슬래브에 재하할 수 있습니다.
: 클릭시 토피고에 따른 활하중 자동계산의 근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준 차량 재하 : 시방서에서 제시하는 기준 차량을 선택하여 활하중으로 재하할 수 있습니다.
(DB-24, DB-18, DB-13.5, DL-24, DL-18, DL-13.5, LS-22) v831-568

구조물 형식이 "라멘 > 노출 라멘"일 경우 기준 차량 재하이고, 이외의 구조물 형식은 자동 계산된다.
도상 및 궤도하중 : 을 클릭하면 도상 및 궤도하중에 필요한 값들 입력하는 대화상자가 생성됩니다. v831-568

도상 및 궤도하중은 기준 차량 재하 중 LS-22 선택 시에만 활성화 됩니다.
추가 고정하중 : 슬래브에 추가 고정하중을 재하
기계 하중 : 슬래브에 장비하중을 재하
물탱크 하중 : 슬래브에 물탱크 하중을 재하
군중 하중 : 슬래브에 군중 하중을 재하
: 하중이 재하되는 위치를 지정합니다. 
동바리 하중 : 시공시의 동바리하중을 재하

추가 고정하중, 기계 하중, 물탱크 하중, 군중 하중은 구조물 형식이 "암거"일 경우에만 활성화 되고, 동바리 하중은
구조물 형식이 "암거 > 복층(지하철 정거장)"일 경우에만 활성화 된다.
온도 하중 : 상부 슬래브의 온도하중
초기 온도
: 클릭시 Structure Type 대화상자가 호출되며 초기 온도 값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최종 온도
온도 구배 : 상부 슬래브의 온도구배
건조 수축 : 건조수축 변형률과 열팽창계수를 입력하면 온도하중으로 자동치환되어 적용

온도하중(ΔT) = 건조수축변형률(εsh) / 열팽창계수(α)
지점침하 하중 : 지점침하(Settlement) 하중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v831-568

지점침하 하중은 라멘 선택 시에만 활성화 됩니다.
프리스트레스 하중 : 지점침하(Settlement) 하중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v831-568
: 클릭시 프리스트레스 하중 입력창 생성
|
지진시 하중
|
지진시 고려해야 할 하중 값을 입력합니다.
1. 암거 (응답변위법)

지진시 하중은 구조물 형식이 "암거"이고, 경계조건 탭의 지진시 검토를 Check On한 경우에만 활성화 된다.
재현주기(년) : 위험도계수를 산정하기 위한 지진하중의 재현주기

내진성능 목표
재현주기
|
기능수행
|
붕괴방지
|
50년
|
II등급
|
|
100년
|
I등급
|
|
200년
|
특등급
|
|
500년
|
|
특등급
|
1000년
|
|
I등급
|
2400년
|
|
II등급
|

위험도 계수
재현주기
|
위험도 계수(I)
|
50년
|
0.40
|
100년
|
0.57
|
200년
|
0.73
|
500년
|
1.00
|
1000년
|
1.40
|
2400년
|
2.00
|
지진구역
지진구역
|
행정구역
|
I
|
시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
도
|
경기도, 강원도 남부,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북동부
|
II
|
도
|
강원도 북부, 전라남도 남서부, 제주도
|
기반암 심도(H) : 상부슬래브 및 측벽 지반변위 하중 산정을 위한 기반암 심도
2. 라멘(등가정적법) v831-568
지진구역
지진구역
|
행정구역
|
I
|
시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
도
|
경기도, 강원도 남부,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북동부
|
II
|
도
|
강원도 북부, 전라남도 남서부, 제주도
|
위험도계수
재현주기
|
위험도 계수(I)
|
50년
|
0.40
|
100년
|
0.57
|
200년
|
0.73
|
500년
|
1.00
|
1000년
|
1.40
|
2400년
|
2.00
|
지반계수

|

|

Rahmen/Culvert Auto Generation Wizard 대화상자
4. 해석/보고서 탭
자동 해석 수행
|
체크시 모델 생성과 동시에 해석 수행을 합니다.
: 클릭 시 모든 항목을 기본설정으로 복원합니다.
|
보고서 출력
|
해석 수행 결과 보고서에 관한 옵션들을 설정합니다.
제목 : 보고서의 제목
설명 : 보고서의 설명
출력 그림(Color)
보고서의 출력 그림 색상을 설정합니다.
모델(단면) : 모델의 요소에서 Hidden 처리한 면의 색상
모델(선) : 모델의 요소를 Wire Frame으로 나타낼 때의 색상
절점 : 모델의 절점 색상
절점(번호) : 모델의 절점 번호 색상
요소(번호) : 모델의 요소 번호 색상
Beam Load : 보하중 기호에서 화살표와 화살표 테두리선의 색상
Temp. Load : 요소 온도하중 기호에서 영역의 색상
Temp. Gradient : 온도구배하중 표식의 색상
출력 그림(Font/Size)
보고서의 출력 그림 Font의 종류와 크기를 설정합니다.
절점/요소(번호) : 절점과 요소의 번호의 Font 종류와 크기
Load Value : 각종 하중데이터의 수치의 Font 종류와 크기
Result Value : 각종 결과데이터의 수치의 Font 종류와 크기
Bold : Check On 시, 해당 Font 굵게 출력
Label Symbol : 각종 기호 및 표식의 크기 조정
단면력도
모델의 단면력의 출력 종류와 위치 등을 설정합니다.
Contour
부재력도를 등고선도로 나타냅니다.
Solid Fill : 부재력도의 내부를 색면으로 나타냅니다.
Lind Fill : 부재력도의 내부를 색선으로 나타냅니다.
Scale : 부재력도의 작도 비율을 입력합니다.
Result Value
출력 보고서에서 단면력 그림의 출력값에 대한 옵션을 설정합니다.
Abs Max : Member를 구성하는 요소에서 발생한 부재력 중 절대값의 최대값을 요소의 중심에 수치로 나타냅니다.
Min & Max : Member를 구성하는 요소에서 발생한 부재력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요소의 중심에 수치로 나타냅니다.
All : Member의 시작 절점, 끝 절점 그리고 I, J를 제외한 값 중 절대값이 최대인 값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수치로 나타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