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 Case Name
단위하중조건 선택란에서 원하는 하중조건을 지정합니다. 추가로 하중조건을 입력하거나 수정, 삭제가 필요한 경우 우측의 버튼을 이용합니다.
Load Group Name
요소의 온도하중이 속하게 될 하중그룹을 선택합니다. 하중그룹을 추가로 입력하거나 수정하려면 우측의 버튼을 클릭하여 "Define Load Group" 대화상자를 호출합니다.
Options
Add : 보요소의 부분온도하중을 신규 또는 추가 입력할 경우 지정
Replace : 이미 입력되어 있는 온도하중을 대체 입력할 경우 지정
Delete : 이미 입력되어 있는 온도하중을 삭제할 경우 지정
Section Type
General : 일반 단면에 상하연 온도차를 입력하는 경우 선택

정방형의 단면이 아닌 경우에는 온도차가 발생하는 부분을 면적과 도심이 같은 직사각형으로 환산하여 온도차를 입력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FSM Bridge 시공단계해석"의 온도하중입력 부분을 참조한다.
PSC/Composite : PSC 또는 Composite 단면으로 정의된 보요소에 온도차를 입력하는 경우 선택
Direction
Local-y : 요소좌표계 y축 방향의 온도 차이를 입력
Local-z : 요소좌표계 z축 방향의 온도 차이를 입력
Ref. Position
온도하중이 작용하는 위치의 기준위치를 선택합니다. 여기서 결정된 기준위치로부터 온도하중이 작용하는 위치(H)를 입력합니다.
Centroid : 보요소 단면의 도심
+End(Top) : 보요소 단면의 상단
-End(Bot.) : 보요소 단면의 하단
Section Temperature
Initial Temperature
초기온도를 표시합니다. 초기온도는 "Structure Type"에서 입력합니다.
Material
보요소의 재질을 정의합니다.
Element : 선택된 보요소에 할당된 재질정보를 이용
Input : 열응력해석에 적용할 재질정보를 직접 입력
Elast. : 탄성계수
Therm. : 열팽창계수
B : 온도하중이 적용될 단면의 폭, 직사각형 단면이 아닌 경우에는 직사각형으로 환산한 단면의 폭

H1, H2 : Ref.Position에서 결정한 기준위치로부터 온도하중이 작용하는 위치까지의 거리
T1, T2 : H1, H2 위치에서의 온도
버튼을 클릭하면 입력한 내용이 목록에 추가되며, 이를 수정하려면 대상을 지정하여 수정한 후 버튼을, 삭제하려면 버튼을 클릭합니다.

온도하중이 부재에 선형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부재내에 자기구속응력이 발생하지 않으나 온도하중이 비선형으로 작용할 경우에는 자기구속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발생한 내부구속응력은 외부구속이 없는 경우에도 발생하여 내부에 비선형의 응력차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온도하중(Beam Section Temperature) 해석시 단면내에서의 비선형 온도구배에 따른 자기 구속 응력을 추가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