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저정해둔 스펙트럼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방법
: 이미 만들어진 스펙트럼데이터를 읽어서 입력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때 데이터는 확장자를 '.sgs'나 '.spd'로하는 파일로 다음과 같은 형식을 따라 작성합니다.
'fn.sgs' 파일의 형식 
*.sgs 파일의 예제

'fn.spd' 파일의 형식 - 사용자가 입력 
*.spd 파일의 예제

'fn.thd' 파일의 형식 - 사용자가 입력 
*.thd 파일의 예제

midas Civil의 DB로 내장된 스펙트럼데이터를 사용하는 방법
: Design Spectrum 목록에서 규준을 선택하고, 적절한 변수를 입력하여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 내장DB )

DB로 제공하는 Design Spectrum의 위험도 계수(Importance factor)는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d).gif)
Generate Design Spectrum 대화상자
사용자가 스펙트럼데이터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
대화상자 좌측의 테이블 형태 입력란에 주기와 스펙트럼 데이터를 입력합니다.
스펙트럼함수는 주기에 대한 스펙트럼값을 그래프로 처리하므로, 그 형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응답스펙트럼해석에서는 구조물의 고유주기에 해당하는 스펙트럼함수 값을 선형 보간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스펙트럼곡선의 곡률이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여러 구간으로 나누어 조밀한 스펙트럼값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펙트럼함수의 주기범위는 구조물의 고유주기를 모두 포함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