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ing Load Cases

 

기능

입력된 차량하중 또는 차량하중그룹과 차선을 사용하여 이동하중조건을 입력합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Load] 탭 > [Moving Load(Type)] 그룹 > [Moving Load Cases]

 

입력

이동하중조건을 처음 입력하거나 추가하려면 버튼을 클릭하고 다음 사항을 입력합니다.

이미 입력된 이동하중조건을 수정하려면 대화상자내의 수정하고자 하는 이동하중조건을 선택한 후  버튼을 클릭하고 삭제하려면 버튼을 클릭합니다.

 

1. Load Case Code에서 KSCE-LSD15를 선택한 경우V810-542

Define Moving Load Case 대화상자

Load Case Name

이동하중조건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Description

이동하중조건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

 

Multiple Presence Factor

차량하중의 다차선 재하시에 사용하는 감소계수를 입력합니다.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3.6.1.2에 따라 1차로에서 5차로이상 재하시까지 감소계수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Sub-Load Cases

이동하중조건내에 차량하중그룹을 재하하고자 하는 차선과 재하 방법등의 차량재하조건을 입력합니다.

Loading Effect : 차량재하조건들의 조합방법을 지정합니다.

Combined : 각 Sub-Load Case를 조합하여 경우의 수를 고려

Independent : 각 Sub-Load Case에 대해 독립적으로 경우의 수를 고려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3.6.1.5에 따라 '표준트럭하중의 영향' '표준트럭하중 영향의 75%와 표준차로하중의 영향의 합' 중 큰 값으로 최대 하중영향을 산정하기 위해서
'Independent' 형태의  Loading Effect를 적용합니다.

 


Combined와 Independent의 차이

 

차량재하조건을 신규로 입력하거나 추가하려면 버튼을 클릭하고 다음 사항을 입력합니다.

이미 입력된 차량재하조건을 수정하려면 대화상자내의 수정하고자 하는 차량재하조건을 선택한 후 버튼을, 삭제하려면 버튼을 클릭합니다.

Sub-Load Case 대화상자

Load Case Data

Vehicle Class : 차량하중그룹 또는 차량하중을 직접 선택합니다.

Scale Factor : 차량하중그룹의 재하에 사용되는 증감계수를 입력합니다. 2차원 해석을 하는 경우 차량의 단위폭 하중을 고려해야 하는데, 이 Scale Factor에 전체 차량 하중과 단위폭 차량하중과의 비율을 입력하여 단위폭 차량 하중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Min. Number of Loaded Lanes : 차량하중그룹을 재하하는 최소 차선수를 입력합니다.

Max. Number of Loaded Lanes : 차량하중그룹을 재하하는 최대 차선수를 입력합니다.


최대ㆍ최소 차선수는 선택된 차선수보다 적어야 한다.

 

Assignment Lanes

차량하중그룹이 재하되는 차선을 선택합니다.

차선 목록에서 차량하중그룹을 재하시키고자 하는 차선을 마우스로 지정하고 를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이미 선택된 차선을 삭제하려면 차선을 먼저 마우스로 지정하고 를 클릭하여 삭제합니다.


재하대상으로 선택하는 차선의 수는 최대 10개까지 가능하다.

 

2. Load Case Code에서 Korea를 선택한 경우

Define Moving Load Case 대화상자

Load Case Name

이동하중조건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Description

이동하중조건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

 

Multiple Presence Factor

차량하중의 다차선 재하시에 사용하는 감소계수를 입력합니다.

한국 도로교표준시방서와 AASHTO에서는 1차선 재하와 2차선 재하에서는 1.0 을 사용하고, 3차선 재하에서는 0.9, 4차선 이상의 재하에서는 0.75 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중기준(KOREA, AASHTO Sandard, AASHTO LRFD 등)에 따라 다차선 동시 재하시 감소계수(Multiple Presence Factor)값을 Default로 되도록 개선하였다.

Sub-Load Cases

이동하중조건내에 차량하중그룹을 재하하고자 하는 차선과 재하 방법등의 차량재하조건을 입력합니다.

Loading Effect : 차량재하조건들의 조합방법을 지정합니다.

Combined : 각 Sub-Load Case를 조합하여 경우의 수를 고려

Independent : 각 Sub-Load Case에 대해 독립적으로 경우의 수를 고려


DB하중과 DL하중조건을 동시에 정의한 경우 'Independent'를 지정하면 각각의 차량재하조건에 대한 Envelope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우리 나라 도로교 설계기준의 경우 DB와 DL 하중이 동시에 재하되는 것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Independent를 사용한다.


Combined와 Independent의 차이

다음과 같은 2개의 Sub-Load Case를 갖는 이동하중조합을 Combined / Independent 방법으로 각각 조합하였다.

    

각각 Combined 와 Independent 방법을 적용한 이동하중조합에서 구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다.

서로 다른 방법을 두 하중조합에서는 아래의 12가지 경우에 대해 차량하중을 재하한 후, 가장 불리한 결과를 출력한다.

경우의 수

Combined

Independent

Lane A

Lane B

Lane C

Lane A

Lane B

Lane C

1

DB-24

DL-24

 

DB-24

-

-

2

DB-24

 

DL-24

 

DB-24

 

3

DB-24

DL-24

DL-24

 

 

DB-24

4

DL-24

DB-24

 

DB-24

DB-24

 

5

 

DB-24

DL-24

DB-24

 

DB-24

6

DL-24

DB-24

DL-24

 

DB-24

DB-24

7

DL-24

 

DB-24

DL-24

 

 

8

 

DL-24

DB-24

 

DL-24

 

9

DL-24

DL-24

DB-24

 

 

DL-24

10

DB-24

DB-24

DL-24

DL-24

DL-24

 

11

DB-24

DL-24

DB-24

DL-24

 

DL-24

12

DL-24

DB-24

DB-24

 

DL-24

DL-24

 

위의 테이블과 같은 조합 가능한 경우의 수는 해석을 수행한 후에 생성되는 *.out 파일에 출력된다.

 

차량재하조건을 신규로 입력하거나 추가하려면 버튼을 클릭하고 다음 사항을 입력합니다.

이미 입력된 차량재하조건을 수정하려면 대화상자내의 수정하고자 하는 차량재하조건을 선택한 후 버튼을, 삭제하려면 버튼을 클릭합니다.

Sub-Load Case 대화상자

Load Case Data

Vehicle Class : 차량하중그룹 또는 차량하중을 직접 선택합니다.

Scale Factor : 차량하중그룹의 재하에 사용되는 증감계수를 입력합니다. 2차원 해석을 하는 경우 차량의 단위폭 하중을 고려해야 하는데, 이 Scale Factor에 전체 차량 하중과 단위폭 차량하중과의 비율을 입력하여 단위폭 차량 하중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Min. Number of Loaded Lanes : 차량하중그룹을 재하하는 최소 차선수를 입력합니다.

Max. Number of Loaded Lanes : 차량하중그룹을 재하하는 최대 차선수를 입력합니다.


최대ㆍ최소 차선수는 선택된 차선수보다 적어야 한다.

 

Assignment Lanes

차량하중그룹이 재하되는 차선을 선택합니다.

차선 목록에서 차량하중그룹을 재하시키고자 하는 차선을 마우스로 지정하고 를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이미 선택된 차선을 삭제하려면 차선을 먼저 마우스로 지정하고 를 클릭하여 삭제합니다.


재하대상으로 선택하는 차선의 수는 최대 10개까지 가능하다.

 

3. Moving Load Code에서 AASHTO LRFD를 선택하고 Permit Vehicle에 대해 검토하는 경우

Load Case Name : 이동하중조건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Description : 이동하중조건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

Load Case for Permit Vehicle : AASHTO LRFD Code 에서 User Define으로 Permit Vehicle 을 정의한 경우 선택합니다. 옵션 선택시 대화창은 Permit Vehicle 을 위한 하중케이스 입력형태로 변환됩니다.

Vehicle : 차량을 선택 합니다. Permit Vehicle Type으로 정의된 차량만 선택 가능 합니다.

Ref. Lane : Permit Vehicle이 지나가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차선을 선택합니다.

Eccentricity : Permit Vehicle이 기준차선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입력합니다. 기준차선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이면(+), 왼쪽이면(-)값으로 입력합니다.

Scale Factor : 하중계수를 입력합니다.

4. Moving Load Code에서 AASHTO LRFD를 선택하고 Moving Load Optimization에 대해 검토하는 경우

Load Case Name : 이동하중조건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Description : 이동하중조건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

Moving Load Optimization : 이동하중의 횡방향 최적화를 고려하기 위해서 Moving Load Case에서 횡방향 최적화를 고려합니다.

Optimization : 최적화 검토 시 차량간의 최소간격을 입력합니다.

Loaded Lane : 횡방향 최적화를 적용할 차선을 선택합니다. 해당 차선을 선택한 하중케이스를 생성하면 선택된 차선에서 차선 중심선 기준으로 편측재하되는 하중형태로 가장 불리한 조건을 찾습니다.

Min. Number of Vehicle : 재하되는 차량의 최소 갯수를 입력합니다.

Max. Number of Vehicle : 재하되는 차량의 최대 갯수를 입력합니다.

Loading Effect : 차량재하조건들의 조합방법을 지정합니다.

Combined : 각 Sub-Load Case를 조합하여 경우의 수를 고려

Independent : 각 Sub-Load Case에 대해 독립적으로 경우의 수를 고려

Assignment Vehicle : 횡방향 최적화에 적용할 차량을 선택합니다.

BS Code 선택시의 Moving Load Case 대화상자

3. Moving Load Code에서 BS를 선택한 경우

Auto Live Load Combination : HA&HB(Auto)인 경우 활하중 조합이 자동으로 구성되어 고려됩니다.

Type of Design Combination Factor

하중조합 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설계법을 선택합니다.

Ultimate Limit State : 극한 한계 상태시의 하중조합 계수를 적용합니다.

Serviceability Limit State : 사용 한계 상태시의 하중조합 계수를 적용합니다

Combination of Loads

하중조합 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설계법을 선택합니다.

Combination 1 : 하중조합 1에 대한 계수를 적용합니다.

Combination 2 or 3 : 하중조합 2,3에 대한 계수를 적용합니다.

Sub-Load Cases

하나의 Load Case 내에 여러개의 Sub-Load Case를 정의하면, Sub-Load Case에 대해 각각 해석을 수행한 후, 전체 Sub-Load Case 결과에서 뽑은 Min/Max 결과가 해당 Load Case의 결과로 출력됩니다. 즉, Sub-Load Case는 서로 별개로 해석되며, 서로 조합하여 해석되지 않습니다.

Load Case Data

Scale Factor : 하중 계수를 입력합니다.

Number of Loaded Lanes : 이동하중 조건에 적용할 차선수를 입력합니다. 아래의 선택한 차선수와  입력한 차선수는 동일해야 합니다.

Vehicle : 이동하중 조건에서 고려할 차량의 종류를 선택합니다.

Assign Lane

List of Lanes : 할당할 차선을 나타냅니다.

Selected Lanes : 차선을 선택합니다.

HB Strddling Two Lanes : HA&HB(Auto)인 경우에만 활성화 되며,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Selected Lanes에 2개 이상의 Cross Beam Type의 차선이 있어야 합니다.

Moving Load Optimization

                                                                         

Optimization : 최적화 검토 시 차량간의 최소간격을 입력합니다.

Loaded Lane : 횡방향 최적화를 적용할 차선을 선택합니다. 해당 차선을 선택한 하중케이스를 생성하면 선택된 차선에서 차선 중심선 기준으로 편측재하되는 하중형태로 가장 불리한 조건을 찾습니다.

Min. Number of Vehicle : 재하되는 차량의 최소 갯수를 입력합니다.

Max. Number of Vehicle : 재하되는 차량의 최대 갯수를 입력합니다.

Loading Effect : 차량재하조건들의 조합방법을 지정합니다.

Combined : 각 Sub-Load Case를 조합하여 경우의 수를 고려

Independent : 각 Sub-Load Case에 대해 독립적으로 경우의 수를 고려

Assignment Vehicle : 횡방향 최적화에 적용할 차량을 선택합니다.

 

   

Euro Code이동하중조건 대화상자

4 Moving Load Code에서 EuroCode를 선택한 경우

Load Case Name : 이동하중조건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Ignore ψ Factor : Vehicle에서 차량하중을 정의할 때 입력한 ψ 계수를 무시하고, 하중조합을 구성합니다.

Load Case Data

Vehicle : 해석에 사용할 차량하중을 선택합니다.

Assignment Lanes

List of Lanes : 정의된 모든 차선을 나타냅니다.

Selected Lanes : 차량하중을 재하할 차선을 선택합니다.

Remaining Area : Eurocode설계 기준에 제시된 remaining area로 사용될 차선을 선택합니다.

Sub-Load Cases

이동하중조건내에 차량하중그룹을 재하하고자 하는 차선과 재하 방법등의 차량재하조건을 입력합니다.

Sub-Load Cases의 입력방법은 Korea Code를 선택한 경우의 정의방법과 동일합니다. 위의 Korea Code에 대한 설명을 참조합니다.

Moving Load Optimization

 

Optimization : 최적화 검토 시 차량간의 최소간격을 입력합니다.

Min. Vehicle Distance : 최소 차량간 간격을 입력합니다.

Assignment Lanes : 차량재하조건들의 조합방법을 지정합니다.

Loaded Lane : 횡방향 최적화를 적용할 차선을 선택합니다.

Num. of Loaded Lanes : 재하되는 차선의 수를 입력합니다.

 

 

5. Load Case Code에서 Transverse Moving Load를 선택한 경우

Load Case Name : 이동하중조건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Description : 이동하중조건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

Vehicle : 해석에 사용할 차량하중을 선택합니다. 정의된 차량하중이 없는 경우 우측의 버튼을 클릭하면 차량하중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Scale Factor : 차량하중에 대한 증감계수를 입력합니다.

Line Lane : 해석에 사용될 차선을 선택합니다. 횡방향 이동하중은 기본적으로 2차원 해석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개의 차선이 정의되어 있더라도 하나의 차선만을 사용하여 해석합니다.

Multiple Presence Factor : 여러차선에 동시에 차량이 재하되는 경우 차량하중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감소 계수를 입력합니다. (2005 도로교 설계 기준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