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Drag & Inertia Coefficients
항력(Cd) 및 질량력(Cm)을 산정하기 위한 형상계수를 입력합니다.
.gif)
Type
-Constant : 단면에 관계없이 모든 부재에 동일한 항력계수를 적용
-Linear Interpolation : 테이블로 입력한 지름에 대해 선형 보간하여 항력계수를 적용
Smooth/Rough : 거칠기에 따라 다른 항력계수를 적용
Drag & Inertia Coefficient
-Diameter : 파랑방향에 대한 투영된 부재의 지름
-Cd : 부재에 법선방향으로 작용하는 항력계수
-Cdt : 부재에 접선방향으로 작용하는 항력계수
-Cm : 부재에 법선방향으로 작용하는 질량력계수
-Cmt : 부재에 접선방향으로 작용하는 질량력계수
Override Coefficients with Structure Group
Structure Group별로 항력계수, 질량력계수를 입력합니다.
2. Water Characteristics
.gif)
Type : 고려할 수 있는 파랑이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Airy Wave
-Airy Wave (mean position)
-Stokes V Wave
-Stream Function w/ Current Effect
-Stream Function w/o Current Effect
-Cnoidal Wave
-Solitary Wave
Function Order : 파랑이론의 차수
Wave Direction : 파랑하중의 입력방향, Global X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입력

Wave Height : 파고
Wave Length : 파장
Wave Period : 파주기, 한 파장을 통과하는 속도
Kinematics Factor : 해양 파랑의 불규칙성으로 인한 파의 역학적 거동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로서, 0 < factor ≤ 1 의 값을 갖는다.
Current Velocity
Surface(M.W.L) : 평균해수면에서 해류의 속도
Bottom : 해저면에서 해류의 속도
: 입력한 데이터에 대한 파랑이론의 적정성을 검토합니다.

.gif)
3. Current Profile
.gif)
|
파랑이론 중 "Stream Function with Current Effect" 을 선택했을 때에, 해류의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수심에 따른 해류의 속도를 입력합니다.
Direction : 해류의 방향, 입력방법은 위의 그림으로 나타낸 Wave Direction과 동일합니다.
Current Blockage Factor : 구조물에 의한 해류의 영향감소계수
Elevation : 0 ≤ Elevation ≤ 수심(h)
Velocity : 해류의 속도
|
4. Flood Condition
.gif)
|
단면 내부에 해수가 채워진 부재를 선택합니다. 해당 부재를 미리 그룹으로 지정해 두고, Flooded Member에 해당하는 그룹을 선택합니다.
|
5. Marine Growth
.gif)
|
부착생물에 의한 구조물의 두께변화를 고려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