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ckling Modes
Number of Modes : 좌굴모드의 개수
Positive Value Only : 하중작용방향에 대한 고유치 결과만 출력

일반적으로 좌굴해석을 수행하는 경우 하중작용방향과 반대방향에 대한 좌굴모드를 계산하게 된다. 그러나 구조물의 경우 사용자의 관점은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한 좌굴형상 및 계수를 계산하는 것이 주목적이므로 작용방향에 대한 결과만 출력한다.
Search : 구하고자 하는 좌굴하중계수의 범위
From : 구하고자 하는 좌굴하중계수의 기준치
To : 구하고자 하는 좌굴하중계수의 한계치

기준치와 한계치가 일치할 때에는 그 값에 가까운 좌굴하중계수부터 계산한다. 기준치와 한계치가 다른 경우에는 기준치에 가까운 좌굴하중계수부터 계산한다. 단, 기준치와 한계치 사이에 존재하는 값만을 계산한다.
Sturm Sequence Check : 좌굴하중계수의 누락 여부를 판단합니다. 누락된 경우에는 메시지 출력을 통하여 알 수 있으나 추가 계산을 하지는 않습니다.
Frame Geometric Stiffness Option
Consider Axial Force Only : 보요소의 횡좌굴에 대한 영향을 제외하고, 축력에 의한 영향만을 고려합니다.
Buckling Combinations
좌굴해석을 위한 하중조건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며 다수의 Load Case와 Scale Factor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Load Type: 자중과 같이 증가하지 않는 하중을 좌굴 해석에 반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Variable: 증감을 고려하려는 하중
Constant : 증감하지 않는 하중(상시하중)

엄격히 말하면 Constant는 구조물의 자중(Selfweight)만을 포함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구조물을 모델링할 때 특히, 바닥판의 경우에는 자중과 고정하중을 하나의 하중으로 입력하기 때문에 고정하중을 Constant로 입력해도 된다.
Buckling Analysis는 P-Delta Analysis 나 Eigenvalue Analysis 와 동시에 사용할 수 없고, Buckling 해석이 가능한 요소는 트러스요소, 보요소(변단면 보요소 포함), 판요소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입력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버튼을 클릭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