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에서 [PSC] 탭 > [Design Parameter] 그룹 > [Parameter]
▒입력
PSC Design Parameters 입력 대화상자 (KSCE-LSD15)
설계기준 KSCE-LSD15 적용시 v831-574
설계계산 입력변수
전단강도 : 콘크리트 스트럿과 주인장철근 사이의 경사각 (22˚ ≤ θ ≤ 45˚ )
시멘트 구분 : 재령에 따른 콘크리트 압축강도 계산
PS강재의 종류 : 균열검토 시 부착강도비에 적용
사용자 입력 데이터
재료저항계수 : 극한하중 및 사용하중조합에 대하여 입력
응력 제한
콘크리트 응력계산
도로교한계상태설계법(2015)에서는 휨부재의 단면설계에서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기본적으로 그림에 보인 포물-사각형 곡선(parabola-rectangle diagram; p-r곡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곡선은 부재단면의 중립축 위치를 산정하는데 적용할 뿐만 아니라, 압축 연단의 한계 변형률 결정에도 적용한다. 그러나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Ec를 이 곡선의 접선으로 산출하여 사용할 수는 없다. 휨부재에서 압축연단의 콘크리트 변형률이 극한변형률 에 도달할 때를 극한한계상태라고 한다.
부재 단면이 사각형일때(압축 영역이 사각형인 경우) Rectangular Stress Block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원형 또는 삼각형 단면 등과 같은 사각형이 아닌 단면에서는 Parabolic-Plateau 응력 변형률 관계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 표에 정리된 α와 β의 값들은 콘크리트 강도 등급에 따라 결정되며 부재 단면이 사각형일 때(압축 영역이 사각형인 경우) 적용하는 값이며, 원형 또는 삼각형 단면 등과 같은 사각형이 아닌 단면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부재 단면의 압축 영역이 사각형이 아닌 경우는 포물-사각형 곡선의 응력 분포를 적용하거나, 이와 동등한 결과를 제공하는 등가직사각형 응력 블록을 적용할 수 있다.
해설 표 5.5.3 콘크리트 강도 변화에 따른 현형률과 극한한계상태의 휨압축 합력의 계수값
출력입력변수
선택된 항목의 검토결과를 Excel Sheet로 출력합니다. 출력입력변수 선택여부와 상관없이 Table에서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계기준 KSCE-USD03/05, KSCE-RAIL-USD04 적용시
설계계산 입력변수
설계단면력 성분
2차원 : 강축에 대한 단면력 성분만 고려합니다.
2차원+토르크 : 2차원 단면력 성분과 비틀림을 고려합니다.
3차원 : 3차원 단면력성분을 고려합니다.
PS강재의 종류 : 교량에 사용된 PS강재의 종류를 선택합니다.
휨강도
강축 휨강도의 PS강재의 응력
설계기준 : 강재 응력(fps)계산시 설계기준에 제시된 식을 이용합니다.
상세해석 : 단면의 변형률을 계산하여 변형율 적합조건을 이용한 해석을 수행하여 강재의 응력을 계산합니다.
인장철근 고려 : 인장철근의 영향을 고려합니다.(2005년 도로교 설계기준 Page 327 참고)
출력입력변수
선택된 항목의 검토결과를 Excel Sheet로 출력합니다. 출력입력변수 선택여부와 상관없이 Table에서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