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토조건 : 벽체에 작용하는 설계모멘트를 산출할 때 모멘트를 확대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단주검토 : 선택된 검토부재는 항상 단주로 보고 설계하며 모멘트 확대 과정이 없습니다.
장단주 판별 : 선택된 검토부재에 대해서 장단주 판별 후 설계합니다. 이때 장주일 경우 모멘트 확대의 과정을 거쳐 설계모멘트를 산출하게 됩니다. I단과 J단의 경우에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여 단부 모멘트를 확대합니다. 하지만 중앙부의 모멘트는 아래의 방법에 따라 모멘트를 확대시킵니다.
모멘트 확대계수 자동결정을 선택시에는 중앙부에 대해서는 모멘트 확대계수를 사용하지 않고 M+ΔM을 적용합니다. 여기서 M은 중앙부의 모멘트이며, ΔM은 각각의 하중조합별로 축하중과 해당하중에서의 중앙부가 아닌 Member의 Node전체에서 최대수평상대변위(전체좌표계의 xy평면에 대해서 이동된 단부의 Node와 수평변위를 고려한 최대수평거리)를 이용하여 층의 수직방향력P를 이용하여 Δd*P로 사용합니다.
모멘트 확대 계수 자동결정을 선택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입력 하였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중앙부모멘트에도 적용하여 모멘트를 확대시킵니다.
.gif)
횡구속여부 자동 결정 : 자동설정을 선택하면 층안정지수(Q)를 계산하여 횡구속 여부를 판단합니다. 자동결정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횡구속 여부를 직접 지정할수 있습니다.
횡구속 변수 : 횡구속 구조물에서 확대 모멘트를 계산하기 위한 변수를 입력합니다.
1. 모멘트 확대계수 자동결정 : 모멘트 확대계수 δns를 자동계산하거나 직접 입력합니다.
2. 등가 모멘트 보정계수 자동결정 : 등가 모멘트 보정계수(Cm)을 자동계산하거나 직접 입력합니다.
비횡구속 변수 : 비횡구속 구조물에서 모멘트 확대계수(δs)를 자동계산하거나 직접 입력합니다.
βd 사용자 입력
1. 비횡구속 구조물의 확대모멘트 계산 시 βd=0으로 적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단기하중일 경우)
2. 횡구속 : Check Off 시 최대 축방향 고정하중/전체 계수축하중에 의해서 자동결정되며 여기서 최대 축방향 고정하중은 Dead Load 값을 사용한다. Check On 시 사용자 입력 및 수정이 가능하며 기본값은 0.6 입니다.
3. 비횡구속 : Check Off 시 최대 계수지속전단력/전체 계수전단력에 의해서 자동 결정되며 여기서 최대 계수지속전단력은 Dead Load 값을 사용한다. Check On 시 사용자 입력 및 수정이 가능하며 기본값은 0.6 입니다.
사용성 검토조건(KSCE-USD05, KSCE-RAIL-USD04 설계기준 선택 시에만 활성화) 허용균열폭 산정을 위한 강재의 부식에 대한 환경조건을 선택합니다. 건조환경(0.006tc), 습윤환경(0.005 tc), 부식성환경(0.004 tc), 고부식성환경(0.0035 tc), 수밀성구조물(0.2mm), 고부식성환경/수밀성구조물(0.13mm)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허용균열폭 산정 시 전단철근 포함 : 최외단 철근의 표면과 콘크리트 표면 사이의 콘크리트 최소피복두께 (tc)를 산정함에 있어 전단철근을 최외단 철근으로 고려할 때 사용합니다. 선택하지 않으면 주철근을 기준으로 최소피복두께 (tc)를 계산 합니다.
철근 중심간격 검토(KCI-USD07 설계기준 선택 시 검토)
KCI-USD07 설계기준 선택 시 사용성 검토조건은 비활성화되고 철근 중심간격으로 검토합니다. 이전의 설계기준의 사용성 검토규정에서 균열폭을 계산하여 허용균열폭을 초과하지 않게 철근을 배치하도록 한 규정을 삭제하고 인장철근의 간격제한으로 균열을 제어하도록 개정하였으며 아래 두식에 의해 계산된 값 중에서 작은 값 이하로 해야합니다.
.gif)
.gif)
필요철근량 비율 자동결정 : 사용자가 철근 배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략 철근량을 산정하기 위한 기능으로 작용 부재력에 대해서 자동으로 전면과 배면의 철근을 최적화 시킨 필요철근량을 계산합니다.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전면과 배면의 철근 비율을 입력해야 합니다.
최대 철근비 검토 : 벽체에는 최대 철근비에 대한 규정은 따로 없으나 사용자가 검토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선택사항으로 반영됩니다. 그리고 전체단면적에 대한 축방향 철근량의 최대면적비를 입력합니다. 최대 철근비는 8% 입니다.
주철근위치 : 부재의 인장부 연단에서 배근하고자 하는 철근의 도심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이 값은 사용자가 철근을 입력하기 전 개략적인 필요철근량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며, 0 보다 큰 값을 입력하여야 합니다.
1. Dt : 부재의 상연에서부터 철근 도심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2. Db : 부재의 하연에서부터 철근 도심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헌치 높이 : 검토할 부재가 헌치가 있을 경우 높이를 입력합니다. 헌치 높이를 반영하지 않으려면 0을 입력합니다.
1. h_i : i단의 헌치 높이
2. h_j : j단의 헌치 높이
각각 입력된 헌치 높이의 1/3을 부재의 높이 H에 추가하여 단면을 검토합니다. 그러나 MID단 검토시에는 헌치 높이와 상관없이 부재의 높이 H를 이용하여 단면을 검토합니다. Result Viewer창에 표시되는 단면의 높이는 헌치의 높이가 고려된 값으로 합니다.
Part Number : 부재의 I단, J단, 1/2지점 중 검토하고자 하는 위치를 선택합니다.
Unbraced Length(L,Lb) : 을 클릭하면 Unbraced Length (L,Lb) 메뉴가 실행되어 설계에 사용되는 부재의 비지지 길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Unbraced Length중 Ly만 설계에 적용됩니다. Unbraced Length(Ly)를 설정하지 않으면 부재의 전체 길이가 비지지 길이로 고려됩니다. 그리고 Laterally Unbraced Length(Lb)의 값을 입력하여도 RC Design(Column, Wall)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Effective Length Factor(K) : 을 클릭하면 Effective Length Factor (K) 메뉴가 실행되어 설계에 사용되는 부재의 유효좌굴길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Effective Length Factor중 Ky만 설계에 적용됩니다. 별도 입력이 없는 경우, 유효좌굴길이 계수는 1로 고려합니다.
: 입력한 내용이 Design Information 에 반영됩니다. 이미 입력된 부재가 있는 경우 업데이트 되지 않습니다.
: Design Information의 해당 부재의 값을 수정합니다. 해당 부재가 Design Information상에 입력되어있지 않다면 업데이트 또는 수정되지 않습니다.
: 해당 부재를 Design Information에서 삭제합니다.
Design Information : , , 버튼의 동작에 따라 입력된 내용을 테이블을 통해 보여줍니다. 마우스로 테이블의 행을 선택 시 선택된 부재는 입력창과 Model View에 반영됩니다.
: Design Information에 입력된 정보를 기준으로 단면검토를 수행 합니다. 검토결과는 Wall Design 대화창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Axial & Flexure 
Shea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