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환경과 구성요소 및 형상에
따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2D
인터페이스> <쉘
인터페이스> <3D
인터페이스>
선택한 요소와 인접한 요소 사이의
경계 위치에 인터페이스 요소를 생성합니다. 하단의 그림과 같이 선택된 요소경계와 인접한
요소 사이에 경계면 요소를 생성합니다. 전체 요소를 모두 선택한 경우 인접한 요소가
없으므로 경계면 요소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생성된 경계면 요소가 요소망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경계면 요소는 그림과 같은 쐐기 형태입니다.

<요소경계로부터>
절점 ID를 직접 입력하여 인터페이스
요소를 생성합니다. 절점을 Side1 과 Side2, 두 그룹으로 나누어 입력하여
인터페이스 요소의 형상을 결정합니다. Side1과 Side2에 입력된 절점개수는 같아야
하며, 각 치수별 형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인 1D, 2D, 3D 요소를
인터페이스 요소로 변환시킵니다. 일반적인 요소들은 절점의 순서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짝을 이루는 절점 중에서 Base를 이루는 기준절점을 추가적으로 선택하여야 합니다.

<요소변환>
마주보는
서로 다른 자유면/에지로 부터 인터페이스
요소를 생성합니다. 절점연결이 되지
않은 양쪽 모두의 자유에지 (3D경우에는 자유면)를
선택해야 하며, 자유에지(자유면)이
없는 경우 절점연결 > 분할 기능을
이용하여 미리 분리시켜 줍니다.
트러스 / 보 요소를 선택하여 경계면
요소를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3D의 경우 판 요소를 이용합니다. 트러스 / 보/판
과 같은 구조요소에 경계면 요소를 생성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요소의 양쪽방향으로 모두
경계면 요소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경계면요소의 생성 방식이 트러스 / 보 요소로 생성인
경우 경계면요소의 요소망세트 별도 추가 옵션을 통해 각 방향의 경계면 요소가 분리생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구조요소
이용>
또한 경계면 요소와 연결된 지반요소가
시공단계 중 제거되는 경우 연결된 경계면 요소는 자동으로 제거되어 해석상 오류를 방지합니다.
선택된 절점들의 연관성을 이용하여
인접한 요소들 사이에 인터페이스 요소를 생성합니다. 3D인 경우, 인터페이스 요소의
생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분절점을 선택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요소망세트를 선택하여 T 혹은 X
자 형태로 교차하는 요소망 세트에서 인터페이스 요소를 생성합니다. 조적식 구조와 같이
경계면 요소가 교차하는 경우 요소망세트로 생성 방식을 통해 경계면 요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T/X
교차타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