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기능

요소컨투어 출력

서로 다른 종류의 요소결과를 화면상에 출력합니다.

 

 

결과세트와 스텝을 지정한 후, 화면상에 출력할 요소 종류와 요소 결과를 선택합니다.

 

<지반응력과 판응력 동시표현>

 

하중/반력 합계

반력에 대한 합계를 테이블로 표현합니다. 결과항목에서 반력이 나오는 모든 해석에서는 합계 테이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해석을 수행한 해석케이스 항목과 스텝을 설정한 후 [하중합/반력합 적용]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하중 및 반력의 합계를 계산하여 테이블에 표시합니다.

 

변위, 속도, 가속도, 데시벨 변환

변위, 속도, 가속도를 데시벨(dB) 형태로 변환하여 테이블로 표시합니다.

 

해석세트/스텝/결과를 지정한 후 절점을 선택하고, 참조값을 입력하면 수식에 따라 해당 절점에서의 변위, 속도, 가속도가 데시벨(dB)로 변환됩니다.

IMG_C_ICON_NOTE_01.png

일반적으로 진동의 레벨은 g(가속도)나 g2 값을 쓰지만 범용적으로 dB(데시벨)을 많이 씁니다. 이는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할 경우 인간이 느끼는 물리량의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기 때문에 선형척도로 물리량을 표현하기에는 적절치 못하기 때문입니다.

데시벨(dB)은 물리량 X와 기준 물리량 Xref와의 비를 상용로그함수를 이용하여 표현합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준 물리량은 음압의 경우 20μPa, 가속도의 경우 μm/s2 (KS, JIS)를 사용합니다. 20 μPa이라는 음압의 기준은 절대적인 의미라기보다는 “건강한 성인 청년이 들을 수 있는 최소 음압” 등의 주관적으로 표현되는 기준음압입니다.

 

Decibel Reference Levels(ISO R 1683)

 

Quantity

Definition

Ref. level

Amplitude

Rations

Vibratory Acc. Level

La = 20 log10 (a/a0) dB

a0 = 10-6 m/s2

Vibratory Vel. Level

Lv = 20 log10 (v/v0) dB

v0 = 10-9 m/s

Vibratory Dis. level

LF = 20 log10 (d/d0) dB

d0 = 10-12 m

 

 

3D-2D위저드

3차원 해석이후 결과확인시, 절단면 & 클리핑 기능을 이용하여 임의단면 결과의 컨투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절단된 임의단면에 대해 최소,최대, 절대최대값 등 해석결과를 위치와 함께 확인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FEM해석에서 모든 결과는 요소절점을 기준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절단된 임의단면이 솔리드 요소의 내부를 지나갈 경우 인접절점 결과로부터 자동보간하여 출력하고 있습니다.

 

<3D-2D 위저드 (임의단면 결과출력)>

 

아래와 같은 순서를 거쳐 설정한 임의단면에 대한 결과태그를 출력합니다.

1. 추가 뷰 조작 도구모음 > 절단모델 보이기 (절단면 & 클리핑) 에서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임의단면을 추가합니다. 아래와 같이 전체좌표계 축방향, 혹은 임의단면 방향에 대해 원하는 개수만큼 절단면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절단면 & 클리핑(임의단면 설정)>

             

 

2. 결과분석 > 고급 > 기타기능 > 3D-2D 위저드를 선택합니다.

'선택점 보기' 옵션을 체크하면 임의단면에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절점이 표시됩니다.

결과값 태그와 유사하게 마우스로 선택한 절점 및 요소에서 수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보여지는 단면내에서 최소, 최대, 절대최대값을 위치와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중 스탭 그래프

여러 스탭의 결과값을 선택한 절점/요소의 위치 기준으로 그래프를 그리는 기능입니다. 해석세트, 결과 타입, 결과, 스탭, 절점/요소를 선택하고 '그래프'를 클릭합니다. 그래프 정의에서 'Axis'은 선택한 절점 혹은 요소의 실제 좌표를 의미하며, 그래프의 Y축에 배치됩니다. 그래프 X축에 선택한 절점 혹은 요소의 값이 배치됩니다.

 

            

<다중 스탭 그래프>

모달 감쇠비

고유치해석 수행시 해석제어에서 [변형에너지 비례 감쇠비 계산]을 체크하는 경우 각 모드별 감쇠비를 계산합니다.

 

 

- 해석케이스 : 해석케이스를 선택합니다.

- 질량 및 강성계수 계산 : 강성 및 질량비례계수를 계산합니다. 감쇠종류 옵션에서 질량비례 또는 강성비례 옵션을 체크하고, mode 1/mode 2에 대한 주파수를 선택한 후 [계산 및 그리기]를 체크하면 그래프와 함께 alpha, beta값이 계산되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