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SNX에 내장되어 있는 응답 스펙트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가속도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는 별도 툴로 다음과 같은 계산과정을 수행합니다.

Artificial
Earthquake (인공지진파 생성)
- AGS에
내장되어 있는 응답스펙트럼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인공지진파를 생성합니다
Design Spectrum
-
프로그램에 내장된 설계스펙트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제공되는 설계용
스펙트럼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KDS(41-17-00:2019)
: 한국, 건축물 내진설계기준(2019)
KDS(17-10-00:2018) : 한국, 통합 내진설계기준(2018)
KBC(2009) : 한국, 건축구조설계기준(2009)
KBC(2005) : 한국, 건축구조설계기준(2005)
KBC(2016) : 한국, 건축구조설계기준(2016)
Korea(Arch, 2000) : 한국, 건축물 하중기준 및 설계(2000)
Korea(Arch, 1992) : 한국,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Korea(Bridge) : 한국, 도로교 설계기준
IBC2000(ASCE7-98) : 미국, International Building
Code 2000
UBC(1997) : 미국, UBC 97 규준
UBC 88-94 : 미국, UBC 91 규준
NBC(1995) : 캐나다 National Building Code of Canada
Eurocode-8(2004) : 유럽, 구조물의 내진설계 규준
Eurocode-8(1996) Design : 유럽, 구조물의 내진설계 규준
Eurocode-8(2003) Elastic : 유럽, 구조물의 내진설계 규준
China(GB/T 51408-2021) : 중국, 건축물 면진설계기준
China(JTG/T 2231-01-2020) : 중국, 내진설계 시방서
China(GB50111-2019) : 중국, 철도공정 항진 설계규범
China(CJJ 166-2011) : 중국, 도시 교량 내진 설계코드
China(GB50111-2010) : 중국, 철도공정 항진 설계규범
China(GB50111-2006) : 중국, 철도공정 항진 설계규범
(Code for Seismic Design of Railway Engineering)
China(GB50111-2001) : 중국, 건축물 내진 설계규준
China Shanghai(DGJ08-9-2003) 중국, 상해시 건축물 내진 설계규준
China(JTJ004-89) : 중국, 도로공사 내진설계 규준
China(JTG/T B02-01-2008) : 중국, 내진설계 시방서
China(GBJ111-87) : 중국, 철도공사 내진설계 시방서
Japan(Bridge, 2017) : 일본, 도로교 설계 규준
Japan(Arch, 2000) : 일본, 건축물 하중지침 및 동해설
Japan(Bridge, 2002) : 일본, 도로교 설계 규준
Taiwan(2022) : 대만, 내진설계 규준
Taiwan(2006) : 대만, 내진설계 규준
TaiwanBrg(89) Horizontal : 대만, 도로교 내진설계규준
TaiwanBrg(89) Vertical : 대만, 도로교 내진설계규준
IS 1893(2002) : 인도, Indian Seismic Code
IS 1893(2016) : 인도, Indian Seismic Code
NSR-10 : 콜롬비아, 건축물 내진설계 기준(극한강도설계)
P100-1(2013) : 루마니아, 설계코드
NTC2018 : 이탈리아, 기술표준
DPWH-LRFD BSDS(2013) : 필리핀, 고속도로 교량 설계기준
AS 5100.2(2017) : 호주, 고속도로 교량 설계기준
IRC SP 114-2018 : 인도, 도로교량 내진설계기준 |
덮개함수
- 응답스펙트럼에 상응하는 가속도 시간이력을 생성하기 위해 아래 식을 이용한 가속도
시간이력을 계산하게 됩니다.

여기서, ω_n= 주파수, A_n= 진폭, ϕ_n= 위상각, I(t) = 덮개함수 입니다.
덮개함수는 실제 지진의 일시적인(Transient) 특성을 모사하기 위해 정상운동(Steady
state Motion)에 곱해지는 함수로 사다리꼴(Trapezoidal), 복합형(Compound)
및 지수형(Exponential)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만일 덮개함수가 없다면 가속도 시간이력은
시작부터 끝까지 거의 일정한 크기를 갖는 형태를 나타내게 됩니다.
AGS에서는 사다리꼴 덮개함수를 지원합니다. 사다리꼴 덮개함수의 Rise Time, Level
Time, Total Time의 정의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인공지진파
생성옵션
- 반복횟수 : 인공지진파의 응답스펙트럼 결과를 입력된 응답스펙트럼에 일치시키기 위한 최대 반복계산
횟수
- 최대 가속도(g) : 인공지진파의 최대 지진가속도
- 감쇠비 : 인공지진파로부터 응답스펙트럼을 정의할 때 적용할 감쇠비
그래프 타입
- 스펙트럼 그래프 : 스펙트럼 데이터 기준으로 가속도 데이터를 확인
- 가속도 그래프 : 가속도 데이터 기준으로 그래프를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