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ify Wall Rebar Data

 

기능

강도검증을 수행하고자 하는 전단벽 부재별 설계제한사항 또는 철근의 배근위치, 배근개수, 철근규격, 전단벽부재의 두께 등을 사용자가 지정한 층에 대해서 입력합니다

 

호출

[Design] 탭 > [Design 그룹] > [RC Design] > [Modify Wall Rebar Data]

 

입력

: 전단벽 부재번호

 

: 전단벽 부재를 구분하는 그룹명칭이나 개별명칭

 

: 강도검증을 수행하고자 하는 구간의 최하층번호

                (Note 1 참조)

 

: 강도검증을 수행하고자 하는 구간의 최상층번호

                (Note 1 참조)

 

: 철근배근상태 유무

              (In : 철근이 배근된 상태, - : 철근이 배근되지 않은 상태)

 

 

Create Sub Wall ID

Sub Wall ID를 입력/수정하거나 삭제하는 기능입니다.(단면번호-No 형태로 제공 ex) 1-1)) (Note 2,3 참조)

 

Story

Sub Wall에 적용할 층 구간을 정의함

 

Rebar Data

강도검증 수행시 적용될 철근데이터를 입력합니다.

 

Vertical Rebar : 전단벽부재의 수직철근에 대한 철근규격과 배근간격을 입력합니다. (Note 4 참조)

 

Horizontal Rebar : 전단벽부재의 수평철근에 대한 철근규격과 배근간격을 입력합니다.

 

Use End Rebar : 단부보강철근의 사용여부를 선택하는 항목으로, 이 항목이 선택되어지면 단부보강철근의 개수, 철근규격, 배근간격을 입력해야 합니다. (Note 5 참조)

 

Concrete Face to Center of Rebar (Note 6 참조) 

배근된 철근의 중심으로부터 전단벽 표면까지의 거리(피복두께)를 입력합니다.

   dw : 배근된 수직철근의 중심에서 전단벽 표면까지의 거리

   de : 전단벽부재의 단부에서 첫번째 보강철근 중심까지의 거리

 

Use Model Thickness

   Check on : 해당 모델에서 지정한 두께를 사용.

   Check off : 입력창에 사용된 두께로 강도 검증.

  
기능활용 및 주의사항
 
Note 1
강도검증을 수행하고자 하는 전단벽부재의 범위(층범위)를 입력한다. 최하층번호는 최상층이 입력되어야만 Wall ID를 입력을 할 수 있으며, 최하층을 포함한 최상층까지의 범위에서 입력이 가능하다.
 
Note 2
같은 단면 번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경우 어떤 특별한 부재만 다른 방법으로 배근하는 경우 사용. 예를 들면 1의 부재중 전체와 다르게 배근하고 싶은 경우 이 기능을 사용하여 별도로 지정할 수 있음(1-1)
 
Note 3
“Sub Section”을 삭제하였을 경우 초기 단면으로 되돌아감.(ex)1-1단면을 삭제시 1단면 속성으로 복구
 
Note 4
전단벽부재의 수직철근에 대한 배근단수는 항상 2단배근으로 적용한다.  
 
Note 5
입력되는 단부보강철근 데이터는 전단벽부재의 한쪽 단부에 대한 것만 입력하며, 입력된 단부보강철근은 부재강축에 대하여 대칭되게 배근된 것으로 간주한다.
 
Note 6
배근된 철근의 중심으로부터 전단벽 표면까지의 거리를 입력하는 부분이며,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은 경우나 0이 입력되면 강도검증을 수행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