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e Pushover Hinge Property

 

기능

Pushover 해석을 위한 소성힌지의 특성을 정의합니다.

 

   Note

   힌지 특성계산 시 적용되는 기준은 Design Code에서 지정한 설계기준이 적용됩니다.

   설계기준별로 적용되는 계산방식은 RC, Steel, SRC로 구분됩니다.

   [적용설계기준]

 

호출

[Pushover] 탭 > [Asign] 그룹 > [Define Pushover Hinge Property]

 

입력

 

 

 

Define Pushover Hinge Type/Properties 대화상자

 

Show Assigned Hinge Data : 힌지의 특성을 정의하여 요소에 할당한 후 이 옵션을 check하면 각 요소별로 자동계산된 힌지특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인하고자 하는 힌지데이터를 리스트에서 선택한 후  Modify/Show버튼을 클릭(또는 더블클릭)하여 힌지데이터를 확인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Note
요소에 힌지특성이 할당되면, 자동생성되는 힌지데이터에는 고유의 명칭이 부여된다.

예를들어 "W307_Wall_2"의 경우

W : 요소종류 (B: Beam/Column, W : Wall, T: Truss, SPR: GL-Link)

307 : 요소번호

Wall_2 : 할당된 힌지가 참조하는 Pushover Hinge Property의  이름

각 요소의 힌지특성은 단면정보를 근거로 자동계산된다. 따라서 RC부재는 설계기능을 통해 배근량을 결정한 후 Modify Rebar Data에서 철근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또는 Code Design을 실행한 경우는 설계결과 출력창에서 [Updata Rebar]버튼을 이용하여 철근정보를 각 부재에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다.

 

Note
요소에 할당된 힌지특성은 Pushover Hinge Properties Table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소성힌지의 특성 정의

  : 지정된 힌지특성을 수정/확인

  : 지정된 힌지특성 삭제

  : 리스트에서 선택된 힌지특성과 동일하게 복제하여 다른이름으로 자동생성

 

소성힌지 정의는 크게 요소타입 정의와 요소에 따른 성분정의로 구분됩니다.

 

1. 요소타입 정의 : 일반적으로 요소타입의 정의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a. 요소타입 정의하기    b. 재질 정의하기     c. 비선형 요소타입 정의하기     d. 요소성분 정의하기

Add/Modify Pushover Hinge Properties 대화상자

 

Name, Description : 생성하고자 하는 힌지의 이름(필수입력)과 설명문(선택입력)을 입력합니다.

Element  Type : 부재의 거동 특성을 정의합니다. 선택한 Element Type에 따라 입력가능한 단면내력 성분, 이력곡선의 종류 등이 달라집니다.

Beam/Column : 보 및 기둥부재. 6개 자유도성분에 대한 힌지 속성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Wall : 벽부재 Plate타입일 경우 6개 자유도성분에 대한 힌지 속성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Truss : 가새부재. 부재의 축방향 성분에 대한 힌지 특성을 정의합니다.

General Link : 범용연결요소. 6개 자유도성분에 대한 힌지 속성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Point Spring Support : 스프링강성지점. 6개 자유도성분에 대한 힌지 속성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Material Type : 힌지가 적용될 요소의 재료를 선택합니다. 선택된 재료에 따라서 각 요소의 항복강도를 정의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RC / SRC (encased) : 철근콘크리트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철골매립형)

Steel / SRC (filled) :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충전형)

Masonry : 조적조

 

Wall  Type : 벽요소의 면외강성 타입을 선택합니다. 전처리에 입력된 타입과 동일해야 합니다.

Membrane : 면내방향 강성만 고려      

Plate : 면내 및 면외방향 강성 고려

 

Definition : 휨요소의 하중-변형관계를 정의합니다.  

Moment-Rotation (M-θ) : 모멘트-회전각관계로 정의

Moment-Curvature (M-φ Lumped) : 모멘트-곡률관계(양단 소성화)로 정의

Consider Hinge Length : Hinge의 길이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계산하고 그 비율을 입력할 수 있다.

: Hinge의 할당위치를 Hinge Length 의 어떤 위치에 지정할 것인지 선택한다.

 

                                      < End 위치에 할당했을 경우>

                                       

 

                                      < Center 위치에 할당했을 경우>

                                       

Moment-Curvature (M-φ Distributed) : 모멘트-곡률관계(요소길이방향 수치적분)로 정의

Pier Type : 조적조 수직요소 정의(모멘트-회전각관계로 정의)

Spandrel Type : 조적조 수평요소 정의(모멘트-회전각관계로 정의)

 

Hinge Type : 비선형해석에 사용될 힌지특성을 정합니다. 

Skeleton Model : 골격모델 사용

Fiber Model : Fiber모델 사용

 

Axial-Moment Interaction Type : 해석 스텝별 요소의 축력-모멘트 변동을 고려할지 여부를 선택합니다. 

None : 축력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P-M Interaction : 축력-1축 모멘트 변동을 고려하는 경우

P-M-M in Status Determination : 축력-2축 모멘트 변동을 고려하는 경우

 

Axial-Shear Interaction Type of RC : 해석 스텝별 요소의 축력-전단력 변동을 고려할지 여부를 선택합니다. 

(Gen 870. Pushover Global Control > Reference Code/Manual에서  KISTEC을 선택한 경우에만 활성화 되며, 한국시설공단요령집에 의한 전단강도 계산시 각 스텝별 변동축력을 고려한 전단강도가 계산됩니다.)

None : 축력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P-Q Interaction : 축력-전단력 변동을 고려하여 강도계산 하는 경우

 

Fiber Section : Fiber 속성을 정의합니다. 

Auto Generation, User : 자동설정, 사용자지정

Fiber Name : Pushover > Properties > Pushover Fiber Division of Section(Beam-Column) 또는 Pushover Fiber Division of Section(MCPM Wall)에서 설정된 Fiber를 지정합니다.

 

:  부재별로 Fiber Wall의 면외방향 비선형성을 설정합니다.

Use Option of Inelastic Properties Control Data : Pushover Global Control 대화창의 Fiber Model Option에서 설정값을 따릅니다.

User Defined : Pushover Global Control 대화창의 Fiber Model Option에서 설정값을 따르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지정합니다.

Consider Out-of-Plane Nonlinear Plate Type : 부재별로 면외방향 비선형을 고려하고자 하는 경우에 체크합니다.

 

Component Properties : 성분별 소성힌지 속성을 정의합니다. 

Fx, Fy, Fz, Mx, My, Mz : 비선형 속성을 부여하기 위한 자유도

Hinge Location : 비선형 속성을 정의하기 위한 요소 단면의 위치를 지정

Number of Section : 분산형 힌지로 속성을 정의하는 경우 요소의 분할 개수를 입력

Skeleton Curve : 요소의 골격곡선을 정의

 

Note
Pushover에서 지원되는 Skeleton Curve는 다음과 같다.

1. Bilinear Type(Slip Bilinear Type) : 이선형 골격곡선
2. Trilinear Type(Slip Trilinear Type) : 삼선형 골격곡선
3. FEMA Type : FEMA에서 제안하고 있는 곡선

Slip 이력은 요소타입이 Truss 또는 General Link인 경우에만 활성화 된다.

 

 

2. 요소에 따른 성분 정의 : 요소성분 정의(d)는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a. Interaction Type이 None인 경우 Properties

 

[Bilinear / Trilinear Type]

 

    

 

Input Method

 

Auto-Calculation : 항복강도 자동계산

 

Note. 자동계산시 아래의 설정이 필요하다.

1. 설계기준
2. DB에 의한 재료, 단면의 설정
3. RC의 경우 올바른 배근정보가 필요

 

User Input : 모든 데이터입력 및 설정을 사용자가 정의

Input Type

Strength - Stiffness Reduction Ratio : 항복강도와 강성저감율로 Skeleton Curve를 정의

Strength - Yield Deformation : 항복강도와 사용자 입력 항복변형으로 Skeleton Curve를 정의

 

Note.
1. Input Method > User Input을 선택한 경우에만 선택이 가능하다.
2. Yield Deformation는 요소의 종류, 성분에 따라 물리적인 의미가 다르다.

Properties

Type

Symmetric : 배근이 대칭인 경우

Asymmetric : 배근이 비대칭인 경우

 

Note
이 옵션은 Moment-Rotation관계요소이고 User Input인 경우에만 활성화 된다. 또한, Input Method > Auto Calculation이고, I단, J단이 비대칭인 경우 자동반영된다.

Yield Strength : Input Method를 Auto-Calculation으로 설정한 경우 항복강도는 자동계산되므로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Input Method를 User Input으로 설정한 경우 사용자가 항복강도를 직접입력합니다.

 

P1 : 1차 항복강도       P2 : 2차 항복강도 (단, P1≤P2)

 

 

Stiffness Reduction Ratio

 

Use Value of Global Control Data : Pushover Global Control에서 설정한 값을 사용

User Defined : 사용자 입력

Use αy by AIJ Code : AIJ기준식에 의해 계산된 αy를 사용

 

Note
α1:1차 항복후의 강성저감율(α1 ≤ 1.0)
α2:2차 항복후의 강성저감율(α2 ≤  α1 ≤ 1.0)

 

Note
αy의 이용시 알아두기

1. RC Trilinear, M-θ요소, AIJ Code의 경우에만 설정가능
2. 축력변동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는 초기하중의 축력을 고려하여 αy계산(고정축력)
3. 축력변동을 고려하는 경우(PMM)는 변동축력을 고려하여 αy 계산 ⇒ 증분계산에서 변동하는 축력 고려(변동축력)
4. Input Method > Auto-Calculation를 선택한 경우 자동계산됨.
5. Input Method > User Input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 입력
6. αy 의 계산에 사용되는 전단스팬비의 사용자 설정가능(Default는 “Auto”)

 

Initial Stiffness

 

6EI/L, 3EI/L, 2EI/L : M-θ요소로 설정된 경우에만 설정

User : 사용자 입력

Elastic Stiffness:탄성강성을 초기강성으로 사용

 

Initial Gap : 요소타입을 Truss 또는 Masonry로 설정하고 Skeleton Curve를 Slip으로 정의한 경우 부재의 슬립량(인장, 압축)을 입력합니다.

 

 

 

[FEMA Type]

 

 

 

Input Method

 

Auto-Calculation : 항복강도 자동계산

 

Note
자동계산시 아래의 설정이 필요하다.

1. 설계기준
2. DB에 의한 재료, 단면의 설정
3. RC의 경우 올바른 배근정보가 필요

 

User Input : 모든 데이터입력 및 설정을 사용자가 정의

 

Shape of FEMA Curve

 

General Type : 항복후 강성저감율 적용한 골격곡선 타입

 

 

 

Perfect Plastic Type : 1차 항복후 강성무시하고 연성되는 골격곡선 타입

 

 

 

 

Strength Loss : C점 항복 이후 골격곡선 타입

 

 

 

Unloading Stiffness Type

 

[Normal Bilinear Type(보통 이선형) 이력모델]

 

[Origin-oriented Type(원점지향형) 이력 모델]

 

[Stiffness Degrading 이력 모델]

 

[Stiffness Degrading Slip 이력 모델]

 

[Nonlinear Elastic 이력 모델]

 

 

 

 

Total Strength Loss at Point E, -E

E점 도달 후 강성을 0으로 계산할 것인지, 제강성으로 계속 할 것인지를 정하는 기능이며, NO로 설정할 경우, 해석결과의 수렴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perties

Type

Symmetric : 배근이 대칭인 경우

Asymmetric : 배근이 비대칭인 경우

 

Note
이 옵션은 Moment-Rotation관계요소이고 User Input인 경우에만 활성화 된다. 또한, Input Method > Auto Calculation이고, I단, J단이 비대칭인 경우 자동반영된다.

Properties of I-End(Properties of J-End) : 양단이 비대칭인 경우 각 단부에 대한 속성을 입력하거나 계산된 값을 확인합니다.

 

User Defined : FEMA 이력을 사용자가 정의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Yield Strength (MY) : Input Method > User Input 인 경우, ±방향에 대한 항복강도(휨모멘트)를 사용자가 입력합니다.

 

Yield Rotation (DY) : Input Method > User Input 인 경우, ±방향에 대한 항복변위(단부회전각)를 사용자가 입력합니다.

 

 

Acceptance Criteria : 구조물의 성능상태에 대한 소성률(전체변형/항복변형)의 지표를 선택합니다. 기본값은 FEMA-273에 제시된 값이 적용됩니다.

성능지표(IO, LS, CP)는 아래 그림 참조(대화창과 함께 팝업으로 보입니다)

 

                

 

 

Initial Stiffness

 

6EI/L, 3EI/L, 2EI/L : M-θ요소로 설정된 경우에만 설정

User : 사용자 입력

Elastic Stiffness:탄성강성을 초기강성으로 사용

 

 

▒ [FEMA Infill Strut Type]

 

 

 

 

Strength Loss : C점 항복 이후 곡격곡선 타입

 

 

 

 

Infill Strut Type

 

Partial-Height : 허리벽의 골격곡선 타입으로 정의

 

Full-Height : 채움벽의 골격곡선 타입으로 정의

 

 

 

Total Strength Loss at Point E, -E

E점 도달 후 강성을 0으로 계산할 것인지, 제강성으로 계속 할 것인지를 정하는 기능이며, NO로 설정할 경우, 해석결과의 수렴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perties

 

User Defined : FEMA 이력을 사용자가 정의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Q/QY : Infill Strut의 발생 축력/항복축강도

 

Δ/Hm : Infill Strut의 발생 횡변위/순높이

 

Note
Hm은 대화창 하단의 Initial Stiffness >User Input으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Initial Stiffness > Elastic Stiffness로 설정된 경우에는 Seismic Evaluation > Define Masonry Infill Strut에서 정의한 hm을 사용합니다.

 

 

 

Acceptance Criteria : Infill Strut은 압축재이므로 허용 범위값으로는 압축부의 LS에 대해서만 정의합니다.

 

                

Initial Stiffness :

 

Kmi : 채움벽과 골조가 분리되기 이전 상태에서 채움벽의 탄성횡강성(허리벽강성)

kms : 채움벽과 골조가 분리된 이후 등가스트럿의 할선강성(채움벽강성)

Hm :조적벽 순높이

θm : 등가스트럿의 경사각

 

 

Unloading Stiffness Parameter

 

Exponent in Unloading Stiffness Calculation : Unloading Stiffness Type이 Stiffness Degrading 또는 Stiffness Degrading Slip일 때 사용됩니다.

뼈대곡선의 이력모델 중에서 Clough형과 Takeda형 모델에서 사용하는 외측 루프의 제하강성을 결정하는 옵션입니다. 항복 이후에 변형이 진행됨에 따라서 발생하는 강성저하의 효과를 반영하기 위한 것입니다.

제하강성은 제하(unloading)가 시작되는 영역에서의 항복변위와 최대변위 그리고 여기서 입력되는 외측 루프의 제하강성 결정용 지수에 의하여 탄성강성을 저감시킴으로써 결정됩니다.

 

 

Pinching-Rule Factor(0≤λ ≤1.0) : Unloading Stiffness Type이 Stiffness Degrading Slip일 때 사용됩니다.

제하과정에서 하중부호가 바뀐 뒤 재재하되는 도중에 뼈대곡선상의 목표점에 도달하지 못한채로 제하가 발생하여 형성되는 내측 루프의 제하강성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내측 루프의 제하강성 저감률"입니다. 내측 루프의 제하강성은 외측 루프의 제하강성과 내측 루프 제하강성 저감률을 곱함으로써 계산합니다.

 

 

b. Interaction Type이 P-M-M in Status Determination인 경우

 

 

Input Method

User : 사용자가 모든 데이터 입력

Auto : 항복강도 자동계산

 

Value Type of I-End & J End

Symmetric : 배근이 대칭인 경우

Asymmetric : 배근이 비대칭인 경우

 

Note
이 옵션은 Moment-Rotation관계요소이고 User Input인 경우에만 활성화 된다. 또한, Input Method > Auto Calculation이고, I단, J단이 비대칭인 경우 자동반영된다.

 

Type (Y-Axis, Z-Axis)

Symmetric : Y, Z축이 대칭인 경우

Asymmetric : Y, Z축이 비대칭인 경우

 

Component Properties

Y, Z축에 대한 강성저감율, 초기강성 등을 설정합니다.

 

 

Properties of I-End (Properties of J-End)

양단이 비대칭인 경우 각 단부에 대한 속성을 입력하거나 계산된 값을 확인합니다.

 

Yield Strength

Y, Z축에 대한 항복강도를 정의합니다.

 

Note
프로그램 자동계산인 경우에는 입력이 불필요하며 사용자 정의시 Index에 사용자가 값을 입력해야 한다.

 

Interpolation Method : My-Mz

My-Mz상관관계를 설정합니다.

 

Ellipse (Alpha = 2.0) : 타원으로 정의

Linear (Alpha = 1.0):직선으로 정의

User Alpha : 사용자 차수 입력

Strong Axis Ⅰ Weak Axis : H형강인 경우 강축-약축 고려한 상관함수 반영. 강축: 2.0, 약축: 1.0 반영

 

Shape of the 1st and 2nd P-M Interaction Curves

Y축 및 Z축에 대한 항복곡면을 그래프로 확인하거나 테이블로 확인합니다.

 

Show Value :

이 버튼을 클릭하면 실제 해석에 사용되는 값이 출력됩니다.

 

Note
Skeleton Curve에 따른 항복강도와 항복곡면의 정의

 

1. RC Trilinear

항복 강도

항복 곡면

항복곡면 그래프

균열면 :

PC0(t) - 인장측의 항복축력
MC0 - 무축력상태의 균열모멘트

항복(종국)곡면 :

Pmax(c) - 압축측의 항복축력
MY0 - 무축력상태의 종국모멘트(사용자 입력불가)     
MY,max - 최대 종국모멘트

균열곡면 :

PC0(t)와 MC0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에서 자동설정되므로, 곡면설정은 불필요하다.

 

항복(종국)곡면 :

인장(-), 압축(+)로 설정

 

* Membrane Type 벽요소는 면외방향이 탄성이므로 Moment-Y 측만 설정한다.

 

2. RC Bilinear, FEMA

항복 강도

항복 곡면

항복곡면 그래프

항복(종국)곡면 :

Pmax(c) - 압축측의 항복축력
MY0 - 무축력상태의 종국모멘트(사용자 입력불가)     
MY,max - 최대 종국모멘트

항복(종국)곡면 :

인장(-), 압축(+)로 설정

* Membrane Type 벽요소는 면외방향이 탄성이므로 Moment-Y 측만 설정한다.

 

3. Steel Trilinear

항복 강도

항복 곡면

항복곡면 그래프

1차 항복곡면의 정의 :

PC(t) - 1차 항복곡면의 인장측 항복축력
MCy,z - 1차 항복곡면의 최대항복모멘트

2차 (종국)곡면의 정의 :

Pmax(c) - 2차 항복곡면의 압축측 항복축력
MYy,z, max - 2차 항복곡면의 최대모멘트

1, 2차 항복(종국)곡면 :

인장(-), 압축(+)로 설정       

 

4. Steel Bilinear, FEMA

항복 강도

항복 곡면

항복곡면 그래프

2차 (종국)곡면의 정의 :

Pmax(c) - 2차 항복곡면의 압축측 항복축력
MYy,z, max - 2차 항복곡면의 최대모멘트

항복(종국)곡면 :

인장(-), 압축(+)로 설정

 

 

 

 

Hinge Property 생성시 알아두기

 

1. Moment-Rotation (M-θ) 관계요소

성 분

Hinge 특성 정의

초기강성

Hinge 설정위치

Fx(축력)

축력 - 변형(상대변위)

EA / L

요소 양단

Fy, Fz(전단)

전단력 - 전단변형도

GAs / L

요소 양단

Mx(비틀림)

모멘트 - 회전각

GJ / L

요소 양단

My, Mz(휨)

모멘트 - 회전각

6EI / L, 3EI / L, 2EI / L

요소 양단

 

2. Moment-Curvature (M-φ) 관계요소 : Lumped, Distributed

성 분

Hinge 특성 정의

초기강성

Hinge 설정위치

Fx(축력)

축력 - 변형도

EA

적분점 위치

Fy, Fz(전단)

전단력 - 전단변형도

GAs

적분점 위치

Mx(비틀림)

모멘트 - 곡률

GJ

적분점 위치

My, Mz(휨)

모멘트 - 곡률

EI

적분점 위치

 

3. Truss요소(축력)

성 분

Hinge 특성 정의

초기강성

Hinge 설정위치

Fx(축력)

축력 - 변형도

EA

적분점 위치

 

4. General Link 요소

성 분

Hinge 특성 정의

초기강성

Hinge 설정위치

Fx(축력)

축력 - 변형(상대변위)

사용자 입력(EA / L)

요소 중심

Fy, Fz(전단)

전단력 - 변형(상대변위)

사용자 입력(GAs /  L)

요소 중심

Mx(비틀림)

모멘트 - 회전각

사용자 입력(GJ / L)

요소 중심

My, Mz(휨)

모멘트 - 회전각

사용자 입력(EI / L)

요소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