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of Frame

 

기능

구조물의 횡구속 여부 선택 : 장주인 압축재는 주로 압축재의 휨모멘트를 확대하는 방법으로 그 장주효과를 설계에 고려하며 이 때의 압축재의 확대휨모멘트는 구조물의 횡구속 여부에 따라서 그 산정 방법이 달라집니다. 본 대화상자에서는 압축재의 확대휨모멘트를 계산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횡구속 여부를 선택합니다.

설계 평면(차원)선택 : 구조물의 3축에서 발생된 모른 부재력을 고려하여 설계할지 또는 특정 평면에서 발생된 부재력만 고려하여 설계수행 여부를 선택합니다.

유효좌굴길이계수의 자동계산 여부 선택 : 자동계산을 선택할 경우 내장된 알고리즘에 의해 프로그램에서 부재의 유효좌굴길이를 자동 계산합니다.

 

호출

[Design] 탭 > [General Design Parameter] > [Definition of Frame]

 

입력

모델링 영역에서 부재를 먼저 선택한 후 다음 내용을 입력합니다.

 

Definition of Frame 대화상자

 

Definition of Frame

구조물의 골조형식을 선택합니다.

X-Direction of Frame

전체좌표계 X축 방향에 대한 골조형식을 횡지지된 골조(Braced|Non-sway))와 횡지지되지 않은골조(Unbraced|Sway) 중하나를 선택(Default = Braced|Non-sway)

 Y-Direction of Frame

전체좌표계 Y축 방향에 대한 골조형식을 횡지지된 골조(Braced|Non-sway)와 횡지지되지 않은 골조(Unbraced|Sway) 중 하나를 선택(Default = Braced|Non-sway)

Design Type

3차원 구조물의 부재 설계 시 부재에 발생하는 부재력을 일부 제한하여 설계를 수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지정합니다.

특정 평면이 선택되면 그 평면내에 발생하는 부재력만이 부재설계에 적용됩니다.

3D : 부재에 발생하는 3차원 모든 부재력에 대해 설계 수행

X-Z Plane : 전체좌표계 X-Z Plane내에 발생하는 부재력만 허용하는 2차원설계 수행

Y-Z Plane : 전체좌표계 Y-Z Plane내에 발생하는 부재력만 허용하는 2차원설계 수행

X-Y Plane : 전체좌표계 X-Y Plane내에 발생하는 부재력만 허용하는 2차원설계 수행

Note
이 기능은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구조물을 2D로 해석 및 설계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이 기능은 특정평면을 지정하여 설계를 수행할 경우 선택된 평면외의 설계변수 및 설계 부재력은 제한된다.

Auto Calculate Effective Length Factors

'Auto Calculate Effective Length Factor'를 고려한 경우, 기둥은 단부절점에서 연결된 보, 기둥 부재들의 상대강성을 고려하여 K값을 자동계산하며 벽체는 벽체의 길이방향과 Definition of Frame의 골조의 횡지지여부에 따라 Nonsway이면 0.8, Sway인 경우에는 2.0을 일괄 적용하고 있습니다.

 

부재별로는 Design>General Design Parameter>Effective Length Factor(K)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입력한 선택사항을 적용하고 대화상자를 닫습니다.

입력한 선택사항을 적용하지 않고 대화상자를 닫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