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face Spring Supports의 우측 : Surface Spring Supports Table 표시
Note
Surface Spring Supports에 입력된 내용은 Point Spring Supports나 Elastic Link 데이터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Boundary Group Name
입력한 경계조건을 포함할 Boundary Group을 선택합니다. Group 지정이 불필요한 경우 "Default"를 선택합니다. Boundary Group을 추가생성하거나 수정하기 위해서는 버튼을 클릭하여 "Define Boundary Group" 대화상자를 호출합니다.
Surface Spring
Convert to : 단위면적당 강성을 이용하여 생성할 대상을 지정합니다.
Nodal Spring : 요소의 절점에 탄성지지조건 생성
Elastic Link : 요소의 절점에 탄성연결요소 생성
Distributed Spring : 탄성지반위에 있는 기초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기초인 보나 판 또는 솔리드 요소에 분포형 지반 스프링을 입력합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Convert to Nodal Spring은 요소의 각 절점 Spring이 설치되고, Distributed Spring은 요소에 등분포로 Spring 이 설치됩니다.
|
|
Nodal Spring
|
Distributed Spring (Winkler's Model)
|
|
Spring 설치 위치
|
요소의 각 절점
|
요소에 등분포 배치
|
|
반력 단위
|
kN
|
보: kN(kN/m), 판, 솔리드 : kN(kN/m2)
|
|
변형
|
하중점에 집중
|
기초 강성이 클수록 주위로 분포
|
Element Type : 탄성지지점 또는 탄성연결요소를 생성할 대상요소의 종류를 지정합니다.
Frame : 보요소의 절점에 탄성지지조건이나 탄성연결요소 생성
Width : 보요소의 단위길이당 지지강성을 계산하기 위한 폭
Planar : 판형요소의 절점에 탄성지지조건이나 탄성연결요소 생성
Solid(Face) : 입체요소의 임의의 면을 지정하여, 탄성지지조건이나 탄성연결요소 생성
Solid(Node) : 입체요소의 임의의 점을 지정하여, 탄성지지조건이나 탄성연결요소 생성
Note
대상 요소의 종류로 입체요소를 선택하면 강성을 입력하기 위해 지정된 면이 대상요소에 표시된다.
Note
지내력 입력 편의 기능
Kz 설정 시, 버튼을 클릭하여 Soil Support Subgrade Modulus 설정창을 호출합니다.
Soil Support
Allowable Soil Stress(qa) : 지반의 허용지내력을 입력합니다.
Subgrade Modulus : 지반의 단위면적당 지반반력 계수가 자동계산됩니다.
Note 1
지반의 허용지지력을 입력한 경우는 Joseph E. Bowles의 제안식을 적용하여 지반반력계수를 계산한다.
ks = 40(SF)qa
이는 극한 지반반력 qult = SF ×qa, 침하량 (delta)H = 0.0254 m로 가정하여 ks = qult/(delta)H 로 구한것이며, SF는 3.0을 적용한다.
Reference : Joseph E. Bowles, "Foundation Analysis & Design", 4th McGRAW-HILL, p408
Note 2
지반반력계수를 자동계산하는 Bowles의 제안식은 1 inch의 극한 처짐을 가정하여 계산된 것이므로 암반의 경우에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