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일

  

개요

 

 

  • 스타일 입력창 설명입니다.

 

 

상세설명

 

1) 스타일 입력창은 흙막이 벽체, 띠장, 지보재, 보강재/브레이싱, 복공, 그라우팅, 중간말뚝 종류별 스타일 Tree에 등록된 스타일 리스트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리스트로 등록된 스타일을 추가, 수정, 삭제, 복사할 수 있습니다.

 

 

2) 벽체조합은 하나의 벽체에 두가지 이상의 벽체 공법을 적용할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흙막이 벽체

(1) H-Pile + 토류판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재질, 단면, 토류판 높이 및 두께를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H-Pile 간격 정보가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 처음 흙막이 벽체 생성시 H-Pile 간격은 "모델링 > 초기설정 > 초기설정"의 모델링 > 흙막이 벽체 > 일반 측면말뚝 간격으로 생성됩니다.

 

 

TIP) H-Pile 간격 수정 방법

- 전개도에서 개별적으로 측면말뚝을 이동하여 수정합니다.

 

- 평면 View에서 흙막이 벽체를 선택하면 속성창에 H-Pile 간격을 수정합니다.

 

- Command Line에 PT(여기서 PT는 "측면말뚝/D-Wall 간격 조정" 단축 명령어입니다.)를 입력하면 측면말뚝 간격 입력창이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 수정이 가능합니다.

 

- Command Line에 ASP(여기서 ASP는 "측면말뚝 자동정렬" 단축 명령어입니다.)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을 설정하여 흙막이 벽체 전체의 간격을 일괄 수정할 수 있습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H-Pile+토류판은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2) H-Pile + 토류판 + 영구옹벽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재질, 단면, 토류판 높이 및 두께를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H-Pile 간격 정보가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 처음 흙막이 벽체 생성시 H-Pile 간격은 "모델링 > 초기설정 > 초기설정"의 모델링 > 흙막이 벽체 > 일반 측면말뚝 간격으로 생성됩니다.

 

TIP) H-Pile 간격 수정 방법

- 전개도에서 개별적으로 측면말뚝을 이동하여 수정합니다.

 

- 평면 View에서 흙막이 벽체를 선택하면 속성창에 H-Pile 간격을 수정합니다.

 

- Command Line에 PT(여기서 PT는 "측면말뚝/D-Wall 간격 조정" 단축 명령어입니다.)를 입력하면 측면말뚝 간격 입력창이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 수정이 가능합니다.

 

- Command Line에 ASP(여기서 ASP는 "측면말뚝 자동정렬" 단축 명령어입니다.)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을 설정하여 흙막이 벽체 전체의 간격을 일괄 수정할 수 있습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H-Pile+토류판은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3) H-Pile + 토류벽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재질, 단면, 토류벽 콘크리트, 철근 및 두께를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H-Pile 간격 정보가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 처음 흙막이 벽체 생성시 H-Pile 간격은 "모델링 > 초기설정 > 초기설정"의 모델링 > 흙막이 벽체 > 일반 측면말뚝 간격으로 생성됩니다.

 

TIP) H-Pile 간격 수정 방법

- 전개도에서 개별적으로 측면말뚝을 이동하여 수정합니다.

 

- 평면 View에서 흙막이 벽체를 선택하면 속성창에 H-Pile 간격을 수정합니다.

 

- Command Line에 PT(여기서 PT는 "측면말뚝/D-Wall 간격 입력" 단축 명령어입니다.)를 입력하면 측면말뚝 간격 입력창이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 수정이 가능합니다.

 

- Command Line에 ASP(여기서 ASP는 "측면말뚝 자동정렬" 단축 명령어입니다.)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을 설정하여 흙막이 벽체 전체의 간격을 일괄 수정할 수 있습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H-Pile+토류벽은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4) H-Pile + 숏크리트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재질, 단면, 숏크리트 콘크리트 및 두께를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H-Pile 간격 정보가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 처음 흙막이 벽체 생성시 H-Pile 간격은 "모델링 > 초기설정 > 초기설정"의 모델링 > 흙막이 벽체 > 일반 측면말뚝 간격으로 생성됩니다.

 

TIP) H-Pile 간격 수정 방법

- 전개도에서 개별적으로 측면말뚝을 이동하여 수정합니다.

 

- 평면 View에서 흙막이 벽체를 선택하면 속성창에 H-Pile 간격을 수정합니다.

 

- Command Line에 PT(여기서 PT는 “측면말뚝/D-Wall 간격 입력” 단축 명령어입니다.)를 입력하면 측면말뚝 간격 입력창이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 수정이 가능합니다.

 

- Command Line에 ASP(여기서 ASP는 “측면말뚝 자동정렬” 단축 명령어입니다.)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을 설정하여 흙막이 벽체 전체의 간격을 일괄 수정할 수 있습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H-Pile+숏크리트는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3) H-Pile+숏크리트는 해석 및 설계에는 적용되지 않으나, 수량에는 적용됩니다.

 

(5) Sheet Pile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재질, 형상, 단면을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 또는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 Sheet Pile은 간격을 수정할 수 없으며 단면형상의 크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Sheet Pile은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6) CIP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재질, 단면, CIP 콘크리트, 철근강도 및 직경을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H-Pile 간격 정보가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 처음 흙막이 벽체 생성시 H-Pile 간격은 "모델링 > 초기설정 > 초기설정"의 모델링 > 흙막이 벽체 > 일반 측면말뚝 간격으로 생성됩니다.

 

- 처음 초기설정에 의한 값으로 흙막이 벽체를  생성하였으나 CIP/SCW 간격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델링 > 초기설정 > 초기설정" 에서 CIP/SCW 측면말뚝 간격을 변경하여야 합니다.

 

- CIP콘크리트에 적용되는 철근 사이즈는 해석 "성과품  > 해석/설계 > Section Manager" 해석/설계 Setting의 설계설정 탭에서 '흙막이 벽체 설계' 에 정의된값으로 해석되어집니다.

 

TIP) H-Pile 간격 수정 방법

- 전개도에서 개별적으로 측면말뚝을 이동하여 수정합니다.

 

- 평면 View에서 흙막이 벽체를 선택하면 속성창에 H-Pile 간격을 수정합니다.

 

- Command Line에 PT(여기서 PT는 “측면말뚝/D-Wall 간격 입력” 단축 명령어입니다.)를 입력하면 측면말뚝 간격 입력창이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 수정이 가능합니다.

 

- Command Line에 ASP(여기서 ASP는 “측면말뚝 자동정렬” 단축 명령어입니다.)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을 설정하여 흙막이 벽체 전체의 간격을 일괄 수정할 수 있습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CIP는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7) SCW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재질, 단면, SCW 직경 및 간격을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H-Pile 간격 정보가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 처음 흙막이 벽체 생성시 H-Pile 간격은 “모델링 > 초기설정 > 초기설정”의  흙막이 벽체 > CIP/SCW 간격으로 생성됩니다.

 

TIP) H-Pile 간격 수정 방법

- 전개도에서 개별적으로 측면말뚝을 이동하여 수정합니다.

 

- 평면 View에서 흙막이 벽체를 선택하면 속성창에 H-Pile 간격을 수정합니다.

 

- Command Line에 PT(여기서 PT는 “측면말뚝/D-Wall 간격 입력” 단축 명령어입니다.)를 입력하면 측면말뚝 간격 입력창이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 수정이 가능합니다.

 

- Command Line에 ASP(여기서 ASP는 “측면말뚝 자동정렬” 단축 명령어입니다.)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을 설정하여 흙막이 벽체 전체의 간격을 일괄 수정할 수 있습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SCW는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8) D-Wall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콘크리트, 철근 및 두께를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D-Wall 간격 정보가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 처음 흙막이 벽체 생성시 H-Pile 간격은“모델링 > 초기설정 > 초기설정”의 흙막이 벽체 > D-Wall으로 생성됩니다.

 

TIP) D-Wall의 Primary, Secondary 간격 수정 방법

- 전개도에서 개별적으로 D-Wall의 Primary, Secondary의 라인을 이동하여 수정합니다.

 

- 평면 View에서 흙막이 벽체를 선택하면 속성창에 D-Wall 간격을 수정합니다.

 

- Command Line에 PT(여기서 PT는 “측면말뚝/D-Wall 간격 입력” 단축 명령어입니다.)를 입력하면 D-Wall 간격 입력창이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 수정이 가능합니다

 

- D-Wall 콘크리트에 적용되는 철근 사이즈는 해석 "성과품  > 해석/설계 > Section Manager" 해석/설계 Setting에서 설계설정의 '흙막이벽체 설계' 에서 정의된값으로 해석되어집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D-Wall은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9) PHC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PHC 타입, 직경, 종류 및 간격을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 e-PHC 타입에서 간격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PHC는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띠장

(1) 띠장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재질 및 단면을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 및 전개도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 처음 흙막이 벽체 생성시 스타일 Tree에 띠장 스타일이없더라도 띠장 H 300x300x10/15사이즈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띠장은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 및 전개도 View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3) 띠장 개수는 지보재 Strut 일반 특성에서 띠장 개수를 변경 할 수 있으며, 2열 띠장의 경우 띠장 앞에 피스가 자동 생성됩니다.

 

(2) 조립식 H-Beam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재질 및 단면을 입력합니다.

 

- 적용 H-Beam 길이를 설정합니다.

 

- 스타일 Tree 및 전개도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 처음 흙막이 벽체 생성시 스타일 Tree에 띠장 스타일이없더라도 띠장 H 300x300x10/15사이즈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띠장은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 및 전개도 View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3) 띠장 개수는 지보재 Strut 일반 특성에서 띠장 개수를 변경 할 수 있으며, 2열 띠장의 경우 띠장 앞에 피스가 자동 생성됩니다.

 

지보재

(1) Strut (H-형강, 강관)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Strut(H-형강, 강관) 재질, 단면, 띠장(띠장 개수), 경사(수평, 레벨차에의한 수직경사를 의미), 개수(버팀대 개수), 잭, 화타쐐기, 까치발을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 및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 까치발이 시, 종점 양쪽에 설치된 경우 시, 종점 중 어느 하나만 삭제하고 싶을 때는 평면 View상에 해당 까치발을 Erase 명령어로 삭제하거나 또는 속성창에서 유/무를 변경하면 됩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Strut(H-형강, 강관)은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하며 전개도 및 단면도 View에서도 삭제 이동 가능합니다.

 

(2) 조립식 H-Beam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HI-Strut 재질, 단면, 띠장(띠장 개수), 경사(수평, 레벨차에의한 수직경사를 의미),  잭, 연결부, 화타쐐기, PS띠장을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 및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HI-Strut은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하며 전개도 및 단면도 View에서도 삭제 이동 가능합니다.

 

 

(3) HI-Strut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HI-Strut 재질, 단면, 띠장(띠장 개수), 경사(수평, 레벨차에의한 수직경사를 의미),  잭, 연결부, 화타쐐기, PS띠장을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 및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HI-Strut은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하며 전개도 및 단면도 View에서도 삭제 이동 가능합니다.

 

 

(4) Raker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재질, 단면, Kicker Block Type, 개수, 잭, 까치발을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 및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 까치발이 시, 종점 양쪽에 설치된 경우 시, 종점 중 어느 하나만 삭제하고 싶을 때는 평면 View상에 해당 까치발을 Erase 명령어로 삭제하거나 또는 속성창에서 유/무를 변경하면 됩니다.

 

- 지그재그로 잭이 설치되는 Strut와 다르게 Raker의 잭 위치는 상부 또는 하부에 일률적으로 설치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자동화 도구  > 자동정렬  > 잭위치 자동정렬”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1,2단 Raker의 Kicker Block을 병합할 경우 평면 View에서 “모델링  > 구조물 수정  > Kicker Block 병합”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1,2단 Kicker Block이 병합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모델링  > 구조물 수정  > Kicker Block 병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Raker는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하며 전개도 및 단면도  View에서도 삭제 이동 가능합니다.

 

Tip) Kicker Block Type이 한 단면내에 제원조건이 상이할 경우 별도의 Type을 추가하여 입력하셔야 합니다.

 

(5) Earth Anchor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재질, 단면, 띠장 개수, 앵커 종류, 대좌 종류를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Earth Anchor의 자유장, 정착장, 각도 정보가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평면 View에서 여러 지보단을 선택한 후 Earth Anchor의 자유장, 정착장, 각도를 속성창에 입력하면 한번에 수정됩니다.

 

- 처음 Earth Anchor 생성시 흙막이 벽체를 선택한 후 Drag&Drop을 한 경우에 수평 간격은 “모델링 > 초기설정 > Earth Anchor  Earth Anchor의 기본수평간격 옵션에 따라 생성됩니다.

 

- Sheet Pile 또는 D-Wall과 같이 측면말뚝이 없는 벽체에 대해 초기설정값이 측면말뚝 사이 자동배치로 되어 있는 경우 평면 View에서 벽체 선택후 지보재(앵커,락볼트,네일)를 Drag&Drop하여도 생성되지 않음을 주의하십시요. 이때는 초기설정에 설치간격을 직접입력하셔서 모델링 하셔야 합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Earth Anchor는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하며 전개도 및 단면도  View에서도 삭제 이동 가능합니다.

 

(6) Rock Bolt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재질, 단면을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Rock Bolt의 자유장, 각도 정보가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평면 View에서 여러 지보단을 선택한 후 Rock Bolt의 자유장, 각도를 속성창에 입력하면 한번에 수정됩니다.

 

- 처음 Rock Bolt 생성시 흙막이 벽체를 선택한 후 Drag&Drop을 한 경우에 수평 간격은 “모델링 > 초기설정 > 초기설정” Rock Bolt의 기본수평간격 옵션에 따라 생성됩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Rock Bolt는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하며 전개도 및 단면도 View에서도 삭제 이동 가능합니다.

 

(7) Soil Nail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재질, 단면을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Soil Nail의 설계길이, 정착장, 각도도 정보가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평면 View에서 여러 지보단을 선택한 후 Soil Nail의 설계길이,정착장, 각도를 속성창에 입력하면 한번에 수정됩니다.

 

- 처음 Soil Nail 생성시 흙막이 벽체를 선택한 후 Drag&Drop을 한 경우에 수평 간격은 “모델링 > 초기설정 > 초기설정”Soil Nail의 기본수평간격 옵션에 따라 생성됩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Soil Nail은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하며 전개도 및 단면도 View에서는 삭제 이동 가능합니다.

 

 

보강재/브레이싱

(1) 보강재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형상(H 형강, ㄷ 형강, L 형강), 재질, 단면을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보강재의 시, 종점길이 정보가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평면 View에서 여러 지보단을 선택한 후 보강재의 시, 종점 추가길이(Over Length)를 속성창에서 입력하면 한번에 수정됩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보강재는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 및 단면 View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Tip) 보강재로 입력된 강재는 겹침 회피기능을 통한 높이 조절이 가능합니다. 또한 단면 View에서 생성된 보강재는 평면 View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2) 브레이싱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형상(ㄷ 형강, L 형강), 단면을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 및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브레이싱은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 및 단면 View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Tip) 브레이싱으로 입력된 강재는 겹침회피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또한 단면 View에서 생성된 브레이싱은 평면 View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복공(일반/특수)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복공판DB, 주형보 재질 및 단면, 주형브레이싱 단면을 입력합니다.

 

- 복공 DB 이외 특수규격은 특수복공에서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스타일 Tree 및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복공은 평면 View(복공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3) 복공 작도 및 생성과정의 자세한 내용은 “모델링 > 생성  > 복공”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라우팅

(1) 저압(약액)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저압(약액)그라우팅 종류, 직경, CTC를 입력합니다.

 

- 저압(약액) 그라우팅 종류에 따른 수량산출서 적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LW 그라우팅 → LW 그라우팅용 수량산출서로 생성

 

SGR, AGS, MSG, JCM, CGM, MIS, SPG, NDS, ET&G, MCG, ASG, BGI(GIM), CF 그라우팅 → SGR 그라우팅용 수량산출서로 생성

 

Milk 그라우팅 → Milk 그라우팅용 수량산출서로 생성

 

CIP 그라우팅 → CIP 그라우팅용 수량산출서로 생성

 

- 스타일 Tree 및 전개도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 그라우팅 생성은 평면 View에서 사용자가 흙막이 벽체를 선택한 후 스타일 Tree에 등록된 그라우팅 스타일을 Drag&Drop 하면 그라우팅이 생성됩니다. 만약 2,3단 그라우팅을 추가 또는 1단 그라우팅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만들어진 그라우팅의 흙막이 벽체를 선택한 후 Drag&Drop을 하게되면 아래 그림과 같은 입력창이 활성화되며, 이 때 사용자가 과업 현황에 맞게 추가 또는 대체하면 됩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그라우팅은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평면 View에서는 선택되지 않으며, 만약 그라우팅의 깊이 및 연장 길이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개도 View로 이동하여 그라우팅 상부와 하부라인을 조정하여 수정할 수 있습니다. 그라우팅의 설치위치는 평면탭에서 흙막이벽체를 선택하면 그라우팅 이격거리가 속성창에 표시됩니다. 원하는 위치를 입력하여 수정이 가능합니다.

 

(2) 고압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고압그라우팅 종류, 직경, CTC를 입력합니다.

 

- 고압 그라우팅 종류에 따른 수량산출서 적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JSP 그라우팅 → JSP 그라우팅용 수량산출서로 생성

 

SIG, RJP 그라우팅 → SIG 그라우팅용 수량산출서로 생성

 

- 스타일 Tree 및 전개도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 그라우팅 생성은 평면 View에서 사용자가 흙막이 벽체를 선택한 후 스타일 Tree에 등록된 그라우팅 스타일을 Drag&Drop 하면 그라우팅이 생성됩니다. 만약 2,3단 그라우팅을 추가 또는 1단 그라우팅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만들어진 그라우팅의 흙막이 벽체를 선택한 후 Drag&Drop을 하게되면 아래 그림과 같은 입력창이 활성화되며, 이 때 사용자가 과업 현황에 맞게 추가 또는 대체하면 됩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그라우팅은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평면 View에서는 선택되지 않으며, 만약

 그라우팅의 깊이 및  연장  길이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개도 View로 이동하여 수정해야 합니다.

 

(3) 심층 혼합처리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심층혼합처리 그라우팅 종류, 직경, CTC를 입력합니다.

 

- 심층 혼합처리  그라우팅 종류에 따른 수량산출서 적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SCW 그라우팅 → SCW 그라우팅용 수량산출서로 생성

 

- 스타일 Tree 및 전개도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 그라우팅 생성은 평면 View에서 사용자가 흙막이 벽체를 선택한 후 스타일 Tree에 등록된 그라우팅 스타일을 Drag&Drop 하면 그라우팅이 생성됩니다. 만약 2,3단 그라우팅을 추가 또는 1단 그라우팅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만들어진 그라우팅의 흙막이 벽체를 선택한 후 Drag&Drop을 하게되면 아래 그림과 같은 입력창이 활성화되며, 이 때 사용자가 과업 현황에 맞게 추가 또는 대체하면 됩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그라우팅은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평면 View에서는 선택되지 않으며, 만약 그라우팅의 깊이 및 연장 길이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개도 View로 이동하여 수정해야 합니다.

 

중간말뚝

1) 입력창 설명

 

 

- 과업 현황에 맞는 재질, 단면을 입력합니다.

 

- 스타일 Tree 및 평면 View에서 선택한 경우에는 속성창은 스타일 입력창에서 입력한 것이 나타나며 수정도 가능합니다.

 

2) 스타일 Tree에 등록된 중간말뚝은 평면 View(지보단 및 굴착저면단)에서만 Drag&Drop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