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단경간에 대한 길이의 비가 1.0이하이고, 전단력보다 크지않은 수평전단력( )이 전단력( ) 이하인 경우에는 브라켓과 내민받침으로 지정합니다.

|
코오벨 (브라켓) 설계시 다음의 파괴조건을 고려합니다.
① 코오벨의 지지부재와의 경계면에 대한 직접전단
② 직접 인장력과 휨모멘트에 의한 인장보강철근의 항복
③ 브라켓 내부 콘크리트 압축 지주의 압괴 또는 전단파괴
④ 재하 지압판 하부의 국부적인 지압 또는 전단파괴
|
지압판의 소요크기는 다음의 식에서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수직전단력 의 위치를 결정하기 어려울 경우에 전단스팬 는 의 값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 ≒50mm)
마찰계수 는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콘크리트 이음면의 상태
일체로 타설한 콘크리트
최소 5mm 정도의 요철로 표면을 거칠게 만든 굳은 콘크리트면 위에 타설한 콘크리트
거칠게 처리하지 않은 굳은 콘크리트 면 위에 타설한 콘크리트
보강스터드나 철근에 의하여 압연 구조강재에 정착된 콘크리트
|

1.4
1.0
0.6
0.7
|
값은 일반 콘크리트인 경우 1을 사용합니다.
코오벨(브라켓)의 소요춤 h는 다음과 같이 결정합니다.
에서 (단, 이하)
(mm)
유효춤과 전단스팬비( )가 1미만의 값일 경우에만 코오벨로 적용하며, 1이상의 값인 경우에는 설계에 적용할 수 없으므로 유효춤 의 값을 증가시켜야 합니다.
재하 지압판 하부의 국부적인 지압 또는 전단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코오벨 자유단 부분에 충분한 정착용 L형강으로 귀퉁이 부분을 보강하여야 하며 이 부분에 주인장 철근을 용접하여야 합니다.
코오벨이 수평력을 받을 경우의 재하지압판(Base Plate)은 주인장 철근에 용접되어야 합니다.
주인장철근과 나란하게 배근되는 폐쇄형 띠철근( )은 인장 주철근에서부터 구간 내에 균일하게 배치시켜야 합니다.
본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설계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브라켓과 내민받침 지점면의 설계응력은 다음과 같이 적용합니다.
전단력 : 
휨무멘트 : 
수평인장력 : (단, )
브라켓과 내민받침의 콘크리트 전단강도 은 다음 중 작은 값을 사용합니다.
일반콘크리트 : 또는 
전단력 에 저항하는 전단 마찰 보강근량 은 다음과 같이 산정합니다.

휨모멘트 에 저항하는 인장보강근 는 다음과 같이 산정합니다.

수평 인장력 에 저항하는 보강근 는 다음과 같이 산정합니다.

주인장철근의 단면적 는 다음 중 큰 값을 사용합니다.
또는 
단, 주인장 철근의 최소 철근비 
주인장철근 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폐쇄스트럽 또는 띠철근의 소요단면적 는 다음 값 이상으로
합니다.

단, 전단보강근 는 주인장철근 에 인접한 유효깊이 2/3 이내에 균등하게 배근시킵니다.
수직전단력 의 재하위치를 결정하기 어려울 경우, 재하위치 a 는 지압판 안쪽에서 2/3 위치에 있
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 지압판의 폭
: 지압판의 이격거리 (약 50m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