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as Gen/ADS의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아파트 벽체를 자동설계 및 검토 수행하고, 배근리스트 및 배근 도면을 작성합니다. |
▒ 실행방법 |
메인 메뉴에서 [RC] > [Batch Wall] |
▒ 상세설명 |
본 프로그램은 midas Gen/ADS의 해석결과를 직접 가져와서 벽체의 설계를 수행합니다. 해석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midas Gen/ADS가 실행되고 있어야 합니다.
본프로그램은 해석 프로그램에서 해석결과를 가져와서 사용하나, 본 프로그램의 설계결과는 해석프로그램으로 반한하지 않습니다.
압축재의 설계에서는 반드시 세장효과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모멘트 확대해석법에 의한 근사해석법으로 구한 확대모멘트를 적용합니다. 확대 계수모멘트의 계산은 골조가 횡구속 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계산합니다.
설계용 확대모멘트 산정
단,
수평전단보강근의 간격은 전단벽길이의 1/5, 벽체두께의 3배 및 40cm 중 가장 작은 값 이하로 하며, 수직전단보강근의 간격은 전단벽 길이의 1/3, 벽두께의 3배 및 40cm 중 가장 작은 값 이하로 합니다. 전체 콘크리트 수평단면적에 대한 수직전단보강근 단면적의 비(
|
|
|
설계가정 |
벽체 설계에 적용되는 방법은 압축재 설계법의 면내 강도 설계, 면내 및 면외 강도 설계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PM 상관도에서 설계 강도를 계산할 때 수직 철근과 단부 보강근을 모두 사용하며, Gen/ADS의 설계 방법에서는 “Method 4”에 해당합니다.
면내 강도 설계 장방형 단면 벽체의 면내 방향으로만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일방향 휨모멘트와 축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압축 부재(기둥)로 가정하여 설계하는 방법으로 단면과 길이에 대한 세장비를 평가하여 휨모멘트를 확대시켜 설계합니다.
면내 및 면외 강도 설계 벽체의 구조적 특성상 약축 방향에 대해서는 버팀 지지되어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강축 방향에 대해서는 전단벽의 기능을 겸한다고 가정하는 설계 방법으로, 우선 면내의 축력과 휨모멘트에 대한 단면 설계를 수행한 후 면외의 축력과 휨모멘트에 대한 단면 설계를 수행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