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반사항
•
부재이름 : 부재의 이름을 입력
•
부재
적용 유형 : 해당 부재의 출력 유형을 설정 |
(2) 보강 재질
 '
•
FRP / 탄소
섬유 재질 정보 확인 :
“재질명” 옆의 “…”
클릭

•
사용자 설정 재질 :
DB에서
제공하지 않는 재질 정보를 직접 입력해서 설계 .
+ 재질명
/ 항복강도/
탄성계수 / 변형률 /
설계두께 / 섬유 유형을 직접 입력
|
(3)
보강 유형

(4) 노출
환경

•
노출 환경
+ Interior
Exposure
+
Exterior
Exposure
+ Aggressive
environment
•
노출 환경에 따른 계수
Exposure conditions |
Fiber type |
CE |
Interior exposure |
Carbon |
0.950 |
Glass |
0.750 |
Aramid |
0.850 |
Exterior exposure
+ Bridges, Piers
+ Unenclosed parking
garages |
Carbon |
0.850 |
Glass |
0.650 |
Aramid |
0.750 |
Aggressive environment
+ Chemical plants
+ Wastewater treatment
plants |
Carbon |
0.850 |
Glass |
0.500 |
Aramid |
0.700 |
(5) 보강
상세

●
보강 위치별 적용 여부 및 치수,
보강 매수 설정
+
설정한
치수가 단면의 치수보다 큰 경우에는 단면의 치수가 적용됩니다..
●
전단 보강 위치를 선택한 경우 전단
보강 상세 입력 가능

+
유형 : Two sides
bonded / U-wraps 선택
+ 너비 : 전단 보강 FRP / 탄소 섬유의 폭
+ 간격 : 전단 보강 FRP / 탄소 섬유의 설치 간격
●
전단 보강 유형에 따른 전단 유효 길이 산정


●
휨
보강 위치 ( 1 /
3 / 4 / 5 / 6 ) :
삽도에서 빨강색으로 표현
●
전단
보강 위치 ( 2 )
:
삽도에서 파랑색으로 표현

(6)
단면 / 재질

•
콘크리트 :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
주철근 : 주근의 항목 강도
•
띠철근 : 띠철근의 항복 강도
•
경량 콘크리트 : 경량
콘크리트 계수
+경량 콘크리트를 선택한
경우 경량 콘크리트 계수 입력이 가능합니다.
+경량 콘크리트 설정은
KCI-USD12 기준을
선택한 경우에 입력이 가능합니다.
(7) 단면 / 단면

•
단면
폭 : 보의 너비
•
단면 높이 :
보의 높이
•
피복두께(상부) : 상부 철근의 피복 두께
•
피복두께(하부) : 하부 철근의 피복 두께
•
상부 피복 적용 :
하부 철근의 피복 두께를 상부 철근의 피복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
(8) 단면 / 유형

•
단근보 :
압축 철근을 강도 계산에 반영하지 않은 강도 산정
•
복근보 :
압축 철근을 강도 계산에 반영한 강도 산정
(8) 단면 / 형상

•
사각형 : 장방향 보로 검토
•
T형 : 슬래브의 유효폭을 고려한 T형보로 검토
•
슬래브 두께 : 슬래브 두께
•
유효폭 : 보와 유효폭 (툴팁을
통한 정보 확인 )

(10) 단면 / 내진 기준 적용

•
내진 기준 적용 : 내진 기준 적용 여부 선택
+
전단 철근의 최대 배근 간격에 산정에 반영
+
철근의 최대 철근비 산정에 반영
(11) 단면
/ 콘크리트 보 정보 가져오기
●
RC 보 단면의 정보를 가져와서 보강할 수 있도록 기능 제공
●
RC
보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
RC
보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

•
콘크리트 보 선택 :
정보를 가져올 RC
보를 선택
•
프로그램 모드 : 선택된 모드의 정보가 추가
•
대상 위치 :
정보를 가져올 위치
+
“최대 (
I, M, J )”를 선택하면 단면의 최대값을 불러옵니다.
•
대상 정보 : RC
보의 정보 중에서 현재의 보강 부재에 적용할 데이터의 종류 설정
+
선택한 부재 정보가 적용 됩니다,
+ 모두 선택하지
않은 경우 어떠한 정보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12)
배근 /
배근 정보

•
기본적인 동작은 RC
보의 배근 정보 입력용 테이블과 동일합니다.
•
“배근
열마다 다른 철근 사용”

+ 2열의 배근층을 지원
+ 각 배근층별로 다른 직경의 철근을 사용
+ “상-하부
동일 철근 적용”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하부근의 철근 직경에 대한 별도 설정 가능
●
배근 예시
•
주철근의
전체 개수를 입력하는 경우

•
각
배근층별로 철근의 개수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

(13)
배근 /
표피 철근

●
측면에 균등하게 배치
•
선택
해제
:
표피 철근을 인장 철근측에 배근

•
선택
설정 :
표피 철근을 측면에 균등하게 배근

(14)
배근 /
주철근의 간격 제한

•
이음하지 않음 :
주근을 이음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여 배근 가능한 철근의 개수 산정
•
반수 이음 :
50% 이음을 가정하여 배근 가능한 철근의 개수 산정
•
전수 이음 : 100%
이음을 가정하여 배근 가능한 철근의 개수 산정
(15)
배근 / 균열 조건

(16) 배근
/ 콘크리트 보 정보 가져오기
•
단면탭의 “콘크리트
보 정보 가져오기”와
동일한 동작 수행.
(17)
부재력 /
설계 부재력

•
Mux(DL) : 고정 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
Mux(LL) : 활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
Mux : 계수 휨모멘트
•
Vuy : 계수 전단력
•
Mux(DL)
/ Mux(LL)의 적용

+ FRP
/ 탄소 섬유로 보강하기 전의 보 단면은 1.1MDL
+ 0.75MLL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함. ( ACI440.2R / 9.2 Strengthening
limits 참조 )
•
하중
조합 :
여러 하중 조합을 입력해서 단면 검토 및 설계에 적용

•
CHK : 해당 하중 조합을 검토나 설계에 반영할 경우 선택 설정
+
선택하지 않은 하중 조합은 단면 검토나 설계시에 부재력으로 반영하지 않습니다.
(18) 부재력 / 콘크리트 보 정보 가져오기
•
단면탭의 “콘크리트
보 정보 가져오기”와
동일한 동작 수행
(19)
검토 결과

•
하중 조합을 적용한 검토의 경우 정 /
부 모멘트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 정 /
부 모멘트에 대한 검토 결과가 모두 표시합니다.
•
하중 조합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멘트가 존재하는 쪽의 검토 결과만 표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