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 Cases/Combinations
원하는 하중조건이나 하중조합조건을 선택합니다.
하중조합조건을 신규 입력하거나 수정 또는 추가할 경우에는 우측의
버튼을 이용합니다.(Combinations
참조)
Step
해석결과를 출력할 단계(Step)를 지정합니다.
기하비선형 해석에서의 하중단계(Load Step) 및 교량의 시공단계별 해석이나 시공단계별 수화열해석에서
정의한 Additional Step을 지정합니다.

시공단계별
해석에서 출력에 적용할 시공단계(Construction Stage)는 Select Construction
Stage for Display나 Stage Toolbar에서 지정한다.

판요소(Plate,
Plane Stress) 및 입체요소(Solid)가 포함된 구조물을 Pushover 해석한 경우에
판요소와 입체요소의 Pushover해석 결과출력을 Step별로 출력할 수 있다.
Stress
Options
응력을 도화처리하는데 필요한 각종 사항을 지정합니다.
Local
: 요소좌표계 기준으로 응력을 출력합니다.
UCS
: 사용자좌표계 기준으로 응력을 출력합니다.
Element
요소의 각 절점에서 계산된 응력(Element
Stress)을 이용하여 응력 등고선도를 출력합니다.
Avg.
Nodal
절점별로 해당절점을 공유하는 요소의 절점응력을
평균한 응력(Average Nodal Stress)을 이용하여 응력 등고선도를 출력합니다.
Avg.
Nodal Active Only
현재 활성화된 요소에 대해서만 Avg. Nodal
기능을 수행합니다.
Components
원하는 응력을 다음에서 선택합니다.
Local의
경우
Sig
- xx : 요소좌표계 x축방향의 축응력
Sig
- yy : 요소좌표계 y축방향의 축응력
Sig
- zz : 요소좌표계 z축방향의 축응력
Sig
- xy : 요소좌표계 x축에 수직한 평면 위에서 y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응력
Sig
- yz : 요소좌표계 y축에 수직한 평면 위에서 z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응력
Sig
- xz : 요소좌표계 x축에 수직한 평면 위에서 z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응력
Vector
: 주축 3방향에 대한 응력을 벡터형태로 출력합니다.
Vector
Scale Factor : 벡터선도의 작도 비율을 입력합니다.
UCS의
경우
Sig-XX
: 전체좌표계 X축방향의 축응력
Sig-YY
: 전체좌표계 Y축방향의 축응력
Sig-ZZ
: 전체좌표계 Z축방향의 축응력
Sig-XY
: 전체좌표계 X축에 수직한 평면 위에서 Y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응력
Sig-YZ
: 전체좌표계 Y축에 수직한 평면 위에서 Z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응력
Sig-XZ
: 전체좌표계 X축에 수직한 평면 위에서 Z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응력
Sig-P1
: 주축 1방향의 주응력(Principal Stress)
Sig-P2
: 주축 2방향의 주응력(Principal Stress)
Sig-P3
: 주축 3방향의 주응력(Principal Stress)
Max-Shear
: 최대전단응력(Tresca Stress)
Sig-eff
: 유효응력(von-Mises Stress)
Sig-pmax
: Sig-P1, Sig-P2, Sig-P3 중 최대절대치
 
(a) 축응력, 전단응력 성분 (b)
주응력 성분
Type
of Display
출력형태를 다음과 같이 지정합니다.
Contour
: 입체요소에 발생한 응력을 등고선도로 나타냅니다.
Deform
: 모델의 변형도를 나타냅니다.
Values
: 입체요소에 발생한 응력을 수치로 나타냅니다.
Legend
: 작업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해석결과에 대한 각종 참조사항을 정리하여 출력합니다.
Animate
: 입체요소에 발생한 응력을 동적으로
묘사합니다.
Undeformed
: 변형도에 변형전의 모델형상을 추가로 나타냅니다.
Mirrored
: 1/2 또는 1/4 모델로 해석한 결과를 면대칭 확장하여 전체모델에 대한 해석결과를 출력합니다.
Yield
Point : 재료비선형 해석시에 활성화되며, 해석결과가 Plastic
Material의 Initial Uniaxial Yield Stress에서 정한 항복응력보다
큰 경우에 Gauss Point에 Hinge가 출력됩니다.
Cutting
Plane : 임의의 단면에서 절단된 입체요소의 응력을 나타냅니다.
IsoSurface
: 입체요소에 발생한 임의의 응력값에 대한 등위면을 나타냅니다.
,
(Batch Output Generation)
설정된 화면출력 방식(Menu-Bar Info's)에서 시공단계와 하중조건(하중조합조건)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Graphic Output을 일괄 제작합니다.
: Batch Output Generation을
수행하기 위해, 화면출력방식(Menu-Bar Info's)을 저장한 Base File의 명칭을 부여합니다.
: Batch Output Generation을
수행할 Base File과 시공단계 및 하중(조합)조건 등을 다음의 대화상자에서 지정합니다.

Saved
Menu-Bar Info's : 일괄출력할 Base File 선택
: 마우스로
지정한 Base File을 목록에서 삭제합니다.
시공단계별 해석을 수행한 경우 시공단계에
대한 일괄출력 조건을 지정합니다. 시공단계해석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는 비활성되며 하부의 목록에는
하중(조합)조건이 나열됩니다.
Stages
시공단계를 선택하여 각 시공단계별 해석결과를
일괄출력합니다. 하부의 목록에는 시공단계가 나열됩니다.
Post
CS Loads
완성계(Post CS) 모델의 결과만을 출력합니다.
하부의 목록에는 완성계 모델에 적용된 하중(조합)조건이 나열됩니다.
Use Saved
Stage를 선택한 경우 Base File의
생성시 저장된 시공단계를 적용하고, Post CS를 선택한 경우 Base File의 생성시 완성계모델에서의
하중조건을 적용합니다.
Stage
LCase/LComb
시공단계 해석을 수행한 경우, Stage를
선택 시 자동생성된 시공단계 하중조건과 추가입력한 시공단계 하중조합조건의 목록이 나열됩니다. 이중
출력물의 일괄제작에 적용할 하중(조합)조건을 check합니다. 대상 시공단계로 Post CS Loads를
지정하였거나, 시공단계 해석을 수행하지 않은 모델에서는 비활성됩니다.
Step
Option
시공단계별 해석이나 대변형을 고려한 기하비선형
해석을 수행한 경우, 출력물의 일괄제작에 적용할 스텝을 정의합니다.
Saved
Step : Base File을 만들 때의 스텝만 적용
All
Steps : 모든 스텝을 적용
Output
Options
Output
File Type
일괄제작할 Graphic File의 형식을
지정합니다. BMP와 EMF중 택일합니다.
Auto
Description : 일괄제작되는 Graphic Output의 좌측 상단에, 해석결과의
종류와 성분, 시공단계와 스텝 및 하중(조합)조건 등을 설명하는 주석문을 자동생성하여 출력합니다.
버튼을 클릭하여 주석문의 글자크기와 색상, 글꼴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Output
Path
일괄제작된
그림파일을 저장할 경로를 지정합니다.
File
Prefix : 생성될 Graphic File의 이름에 적용될 접두어를 지정합니다.
filename은 "Prefix"_"Base File Name"_"Load
Comb.".bmp(emf) 또는 "Prefix"_"Base
File Name"_"Stage"_"Stage LCase"_"Step".bmp(emf)
로 설정됩니다.
: 대화상자의
입력내용을 반영하여 Graphic File을 일괄 제작합니다.
/ 
Base File과 Batch Output
Generation 대화상자의 입력내용을 binary 형식의 파일(fn.bog)로 출력합니다. 다른
모델데이터에 동일한 양식의 일괄출력 기능을 적용하고자 할 때
버튼을 클릭하여 fn.bog를 선택하면 동일한 양식의 출력물을 다른 model과 다른 view point에서
일괄제작할 수 있습니다.

작성된 Base
File은 모델데이터로 자동 저장되어 목록에 출력되므로, 동일한 모델에 대하여 동일한 일괄출력 양식을
다시 적용하는 경우는 Import/Export는 불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