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하중 데이터 생성

 

개요

IMG_C_ICON_DOT.gif발파하중 제안 식으로부터 발파하중함수를 생성하고, 철도하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철도하중함수를 생성합니다.

 

방법

Demo영상 다운받기

 - 철도이동하중 자동생성 및 적용 위저드, 발파동하중 생성 위저드

 

 

파일

DGS로 작성한 각종 데이터를 여러 가지 형식으로 저장하거나 기존 데이터를 읽어옵니다.

  • 단위계

동하중 데이터의 힘과 길이의 단위를 지정합니다. 반드시 동하중데이터 생성 전에 단위계를 지정하여야만 합니다.

 

발파 동하중 산정

다양한 제안자에 의해 제안된 발파압력 하중식을 선택 합니다.

제안자에 따른 제안식과 사용단위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제안자

제안식

사용단위

National Highway Institute(US), 1991

PD : kbar

V : ft/sec

S : g/cm3

International Society of Explosive Engineers, 2000

PD : kbar

V : m/sec

S : g/cm3

Johannson & Persson,. 1973

PD : kbar

V : km/sec

S : g/cm3

Jones & Hino, 1974

PD : g/cm2

V : cm/sec

S : g/cm3

Liu & Tidman, 1995

PD : kbar

V : km/sec

S : g/cm3

Atlas powder company, 1987

PD : kbar

V : ft/sec

S : g/cm3

 

 

위 식으로부터 계산된 발파압력은 Decoupling 효과를 고려하기 위한식을 거쳐 발파공 주변장 영향 고려 유무에 따라 과  으로 계산이 됩니다.

 

최종적으로 산출되는 발파함수는 1968년 Starfield and Pugliese가 제안한 창함수(Window Function)를 고려하여

 

 

으로 계산됩니다.

파라미터

 

  • 발파속도(V) : 발파속도를 입력합니다. 제안식에 따라 고정단위는 변경됩니다.

  • 폭약밀도(S) : 폭약의 밀도를 입력합니다. 단위는 [g/cm3]으로 고정됩니다.

  • 폭약의 직경(dc) : 폭약의 직경을 입력합니다. 단위는 [mm]로 고정됩니다.

  • 천공경(dh) : 천공경의 직경을 입력합니다. 단위는 [mm]로 고정됩니다.

  • 지발당 최대장약량(W) : 지발당 최대장약량을 입력합니다. 단위는 [kg]으로 고정됩니다.

  • 하중상수(B) : 하중상수를 입력합니다.

  • 암반 음속도(C) : 암반 음속도를 입력합니다. ‘Liu & Tidman, 1995’ 식에만 고려되며, 단위는 km/sec]로 고정됩니다.

  • 암반밀도(D) : 암반 밀도를 입력합니다. ‘Liu & Tidman, 1995’ 식에만 고려되며, 단위는 [g/cm3]로 고정됩니다.

 

시간

  • 끝시간 : 발파하중을 생성할 마지막 시간을 입력합니다. 단위는 [sec]로 고정됩니다.

  • 시간증분량 : 발파하중을 생성할 시간증분량을 입력합니다. 단위는 [sec]로 고정됩니다.

 

그래프 옵션

  • X-축 로그 스케일 : X축을 로그스케일로 출력합니다.

  • Y-축 로그 스케일 : Y축을 로그스케일로 출력합니다.

 

등가환산 발파하중 고려

등가환산 발파하중을 고려합니다. (고려하는 경우에는 식을 거치게 됩니다. 위 내용 참조)

 

발파공 주변장(L)

발파공 주변장을 입력합니다. 단위는 [mm]로 고정됩니다.

 

     

철도 동하중

  • 이름: 이름을 정의합니다.

  • 열차종류 : 열차의 타입을 선택합니다. 기본적으로 6개의 DB(무궁화 디젤 2량 견인, 새마을 PMC 8량 편성, KTX 20량, EL-18 표준열차하중(6량), EL-18 표준열차하중(8량), EL-18 표준열차하중(10량)가 제공되며,

 

사용자가 바퀴개수에 따른 거리/힘을 지정하여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 바퀴수 : 열차바퀴 개수를 의미하며, 테이블상에서 추가된 No. 개수와 동일합니다.

  • 열차속도 : 열차의 이동속도를 입력합니다. 단위는 [km/hr]으로 고정됩니다.

  • 요소크기 : 열차가 지나가는 요소의 크기를 입력합니다. 단위는 [m]으로 고정됩니다.

 

입력된 요소크기 및 이동속도는 영향선 함수 작도시 도달시간 산정에 사용됩니다.

열차이동하중의 경우 열차가 도달하기 전에 하중이 없다가 열차가 도달하였을 때, 하중이 절점에 부여되고,

이후 다시 하중이 없어지는 삼각형 형태의 하중함수형태를 가집니다.

 

 

[테이블]

열차 동하중을 입력합니다. 대표적인 국내열차하중의 경우 데이터베이스로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 정의(바퀴번호/거리/)로도 입력할 수 있습니다.

  • 번호 : 바퀴번호를 입력합니다. 1부터 입력하며 순차적으로 바퀴간 거리와 힘을 입력합니다.

  • 축간거리 : 열차바퀴간 거리를 입력합니다. 첫 번째 시작바퀴의 경우 길이는 0을 입력합니다.

  • 축하중 : 열차바퀴에 작용하는 축하중을 입력합니다. 축하중은 2로 나누어 작용하중으로 사용됩니다.

[스케일링] : 열차 동하중의 증감계수를 입력합니다.

  • 스케일 팩터 : 증감계수를 입력합니다.

  • 최대값 : 최대하중 값이 사용자가 원하는 값이 되도록 열차 동하중 데이터를 수정합니다.

[시작 시간]

열차하중의 시작시간을 입력합니다. 기본값은 0sec 입니다.

[불러오기]

MS-EXCEL 형식으로 된 열차 동하중을 불러옵니다. 열차 종류가 사용자 정의로 된 경우에만 활성화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