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유량

 

개요

IMG_C_ICON_DOT.gif표면유량 경계조건을 단위면적당 유량의 형태로 입력합니다. 면유량은 침투/압밀해석(Fully-Coupled)에서 사용되는 경계조건입니다.

 

방법

 

특정지점의 시간당 발생하는 유출/유입량을 단위면적에 대해 입력합니다. [선유량] 또는 [면유량] 형식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2D 모델에서는 [선유량]으로 입력하며, 3D 모델에서는 [면유량]으로 입력합니다.

면유량을 정의할 때 선 또는 면의 기하형상 위에 입력할 수도 있으며, 직접 해당 요소변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강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유입을 정의하는 경우 (+)값으로 입력하며, 굴착 또는 pumping 등에 의한 유출을 정의하는 경우 (-)값으로 입력합니다.

시간에 따라 유량이 변하는 비정상해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함수]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함수 사용시 입력된 값과 함수값이 곱해져서 해석에 반영되어집니다.

정의된 함수는 함수 > 침투경계 시간함수 하위에 등록되며, 마우스 우클릭 > 편집버튼 을 통해 테이블 형식으로 편집이 가능합니다.

 

면유량 > 투수계수이면, 전수두=위치수두

강우해석을 위한 유량-수두 변환경계 조건입니다.

예를 들어, 지표면에 강우강도를 입력하는 경우 지표면의 경계조건에 면유량을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지표면에 강우강도만큼의 유입량을 강제적으로 주는 것입니다. 토층의 지표면에서 강우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강우강도보다 큰 경우에는 토층이 모두 흡수하게 되지만, 토층에서 강우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강우강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강우량 중 토층이 흡수할 수 있는 능력값 만큼만 지표면을 통해 흡수되고, 나머지 강우량은 지표면을 따라 흐르게 됩니다.

강우강도가 지표면이 강우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값보다 큰 경우, 지표면의 경계는 강우가 발생하는 동안 포화된 상태로 수위가 있는 것과 같은 현상을 보이게 되기 때문에 강우강도가 입력되는 영역을 수위선으로 변경해 주어야만 합니다.

[면유량 > 투수계수이면, 전수두 = 위치수두] 옵션을 통해 면에 작용하는 강우강도값이 지표면이 흡수할 수 있는 유입능력(입력된 초기투수계수) 보다 큰 경우에만 지표면의 경계를 기존의 강우강도 유입조건에서 자동으로 수위조건으로 변경하여 해석을 수행합니다.

 

경계조건세트

설정한 구속조건을 원하는 경계조건 세트에 등록합니다. 이 때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경계조건 세트의 이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