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oad Case Name 
				  입력할 하중조건을 선택합니다. 
				  추가로 
				 하중조건을 입력하거나 수정, 
				 삭제가 
				 필요한 경우 우측의  버튼을 이용합니다. 
				   
				
  Direction 
				  X-Y  :  하중을 구조물의 수평방향 
				 (전체좌표계 X-Y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재하합니다. 
				 
				  Normal 
				 : 
				 재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재하합니다. 
				 
				   
				
  Angle 
				  풍하중 입력각도를 
				 전체좌표계 
				 X축에 대한 Degree단위 및 실수로 입력  합니다. 
				   
				
  Inner Pt. 
				  Direction에서 Nomal을 선택했을 때 활성화되며 구조물의 
				 내부절점을 선택합니다. 
				 
				  Inner 
				 Pt.를 
				 구조물의 내부로 인식하고 지정한 영역에 하중이 입력될 때, 
				 구조물의 
				 외부에서   
				  내부방향으로 
				 하중이 재하 됩니다. 
				   
				
  Scale factor 
				  풍하중 증감계수를 
				 입력합니다. 
				   
				
  Wind Load Case 
				  풍하중 계산에 적용할 
				 기준을 선택합니다. 
				   KDS(41-10-15:2019) 
				 : 한국, 한국, 국가건설기준센터 2019 
				 
				  KBC 
				 (2016) : 한국, 건축구조설계기준 2016 
				  KBC 
				 (2009) : 한국, 건축구조설계기준 2009 
				  China (GB50009-2012) 
				 : 중국, 2012 
				  China (GB50009-2001) 
				 : 중국. 2001 
				  
				
  Velocity Pressure Name 
				  Wind 
				 Load Code에 입력된 코드에 해당하는 Velocity Pressure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버튼을 누르면 위치별로 입력할 풍압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Velocity 
				 Pressure) 
				   
				
  Method 
				  선택된 Velocity 
				 Pressure의 풍하중 계산법(Simple Method, General Method)을 읽기전용으로 
				 보여줍니다. 
				   
				
  Gust Factor Parameters 
				  External 
				 Gf : 
				 외압 가스트 영향계수 
				  Internal 
				 Gf : 
				 내압 가스트 영향계수 
				    
				 버튼으로 적용할 가스트 영향계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Coefficient 
				 
				 [Auto.Calculate Coefficients] 
				 풍력계수 자동계산 
				 여부를 선택합니다. 
				
				   
				 버튼을 눌러서 
				 다양한 공간구조물의 풍력계수 계산방식을 설정합니다. 
				  External 
				 Coefficient : 
				 풍력계수(개방형 기타건축물일 
				 경우 Cf, 
				 일부개방형 
				 건축물일 경우 Cpe) 
				 
				  Internal 
				 Coefficient : 
				 풍력계수(일부개방형 
				 건축물일 
				 경우 Cpi) 
				 
				   
				
   Selection 
				  Area 
				 Wind Pressure가 
				 재하될 영역을 선택합니다. 
				 선택된 
				 Area를 계산하여 
				 Area를 구성하는 
				 절점에 집중하중으로 입력됩니다. 
				   
				  Group 
				 : 
				 Load 
				 >Loading Area Plane에서 
				 설정한 Area 
				 그룹에 
				   하중을 입력합니다. (Loading 
				   
				  Area 
				 Plane에서 
				 선택된 인접  부재가 
				 3도각도를 
				 초과하면 
				 폐영역을 
				 찾을 
				 수 없으므로 이에     
				 
				  주의하여 작업합니다. 
				 
				   
				  Element 
				 : 
				 화면에서 
				 선택한 선요소로 
				 만들어진 
				 폐영역에 
				 하중을 
				 입력합니다. 
				   
				  Note 1 
				  선택된 
				 선요소는 폐영역으로 선택되어져야 하며 내부에 
				 폐영역이 있을 
				 경우 내부 선요소도 모두 
				   
				  포함되어져야 
				 영역내의 절점에도 하중이 입력됩니다. 
				   
				  Note 
				 2 
				  사일로 
				 같은 구조물처럼 면요소로만 구성된 구조물에 하중을 입력할 
				 경우에는 메쉬를 구성하는 
				 
				  모든 절점과 
				 절점사이에 더미빔을 
				 입력해주어야 모든 절점에 풍하중이 
				 입력될 수 있습니다. 
				   
				
  Loading Area 
				 Group Name 
				  Model 
				 > Group > Define Loading Area Group에 등록된 
				 Area 
				 Group를 
				 선택합니다. 
				   
				
  Element Defining 
				 Loading Area 
				  재하영역선택(Selection)에서 
				 Element를 
				 선택한경우 
				 활성화되며, 
				 폐영역을 
				  
				 이루는 
				 선요소를선택합니다.(순서 무관) 
				 
				   
				 
				
    
				  자동 
				 연산된 풍하중을 
				 적용방향과 
				 성분에 따라 Spread 
				 Sheet 형태의 
				 Table과 
				 Graph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