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onry
Infill Strut Name
Define
Masonry Infill Strut에서 정의하였던 스트럿을 선택합니다.
우측의
버튼을 클릭하여 Define Masonry Infill Strut
대화상자를 호출 할 수 있습니다.
▒ Masonry
Infill Strut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두가지를 지원합니다.
Assign
by Node : 모델에서 스트럿 설치위치의 절점을 지정하여 생성하는 방식으로서 스트럿단면 사이즈를
자동계산해서 생성됩니다.
Assign
by Element : 이미 생성되어 있는 트러스 부재를 단면사이즈 변경 없이 Masonry Strut으로
특성을 지정합니다.
Assign
by Node
조적벽의
대각 모서리절점을 클릭하여 조적벽 등가 스트럿을 직접 생성하는 방법
Material
: 조적벽 재질
선택
Note
Properties >
Material에서 User Defined 타입으로 설정된 재질타입만 리스트에 출력됩니다. 즉,
조적등가 Strut을 모델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User Defined 타입으로 재질정보가 입력되어
있어야 합니다.
Nodal Connectivity : 조적벽의 대각모서리 절점번호를 입력하여
조적벽 등가 스트럿을 생성
Note.
요소
절점정보를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이 2가지가 있습니다.
1. Nodal Connectivity 입력란에 조적벽 대각
모서리 절점번호를 직접 입력합니다.
2. 마우스 커서로 Nodal Connectivity 입력란을 한 번 클릭하여 바탕이 연초록색으로
변하면 모델뷰에서 조적벽 대각 모서리 위치를 순차적으로 지정하여 요소를 생성합니다. Ortho 옵션을
선택하면 첫번째로 지정된 위치에서 현재 좌표계(사용자좌표계 또는 전체좌표계)의 좌표축과 평행한 방향으로만
스냅됩니다.
Note
조적 채움벽 생성은
등가 스트럿 양단에 기둥 또는 전단벽이 있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Note
등가 스트럿 폭
자동 계산은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메뉴얼(교육부, 2018)]의 식 (6-9)을 사용합니다.
한 개 채움벽을 X브레이스로 모델링 할 때, 스트럿의 힘을
받는 기둥의 Ec, Ic값이 다를 경우에는 X브레이스의 2개 단면이 다를 수 있습니다.
Assign by Element
이미
생성된 트러스부재에 조적벽 등가 스트럿의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
Add/Replace
: 기존에 설치된
트러스 부재에 Masonry Infill Strut의 특성을 부여합니다.
Note
Masonry Infill
Strut의 특성은 부재가 Truss타입인 부재에만 부여할 수 있습니다.
Bracing Type
등가
스트럿의 설치 유형
Diagonal
: 1방향 편심브레이스
설치 시 사용
X
: 양방향 X브레이스
설치 시 사용
Note
X브레이스 타입으로 모델링이
되면 스트럿 축강도를 1/2로 자동 저감하여 평가를 진행합니다.(선형해석법, m계수법)
단,
해석 강성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조정하지 않습니다.
Infilled
Strut는 압축전담 트러스가 아니고 일반 트러스이므로 등가폭 bm으로 계산하여 X형으로
설치 할 경우 각각 인장과 압축으로 2중으로 저항하게 됩니다.
따라서 조적조 평가를 위한
사용자는 축 강성을 1/2로 줄여서 해석을 진행기를 권합니다.
Note.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메뉴얼(교육부, 2018)] 6.1.4.1(4)에 의해 X형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개별 스트럿의 횡강성 및 강도는 각각 해당 벽체 횡강성과 강도의 1/2로 가정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