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Checking
▒ 기능
미리 수행된 해석결과와 설계관련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기준에 따라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부재의 응력비검증을 수행하는 명령어 입니다.
본 기능에서는 전체기둥부재 응력비검증 및 선택된 기둥부재의 각종변수 변경에 따른 재강도검증, 최적단면의 제공기능, 변경단면을 적용한 재해석 및 응력비 재검증 기능을 제공합니다.
▒ 호출
[Design] 탭 > [Design] 그룹 > [SRC Design] > [SRC Design Table] > [Column Checking]
▒ 입력
AIK-SRC2K
[Table 출력항목]
CHK : 부재별 응력비검증 결과의 표시
"OK" : 조합응력비와 전단응력비가 1.0이하이고, 세장비가 허용세장비보다 작은 경우
"OK*" : 조합응력비와 전단응력비가 1.0이하이고, 세장비가 허용세장비보다 큰 경우
"NG" : 조합응력비와 전단응력비가 1.0을 초과하고, 세장비가 허용세장비보다 작은 경우
"NG*" : 조합응력비와 전단응력비가 1.0을 초과하고, 세장비가 허용세장비보다 큰 경우
MEMB : 부재번호
SECT : 단면번호
COM : 최대 조합응력비 (Maximum Combined Interaction Ratio)
SHR : 전단력에 대한 응력비 (발생전단응력/허용전단응력)
SEL : 단면변경, 재검토, 결과출력을 위한 부재선택
Note SpaceBar Key로 선택 및 취소할 수 있다.
Type : 단면형상기호
RBO : 직사각형(콘크리트)단면에 Box(철골)를 포함한 콘크리트 비충전 단면
RBC : 직사각형(콘크리트)단면에 Box(철골)를 포함한 콘크리트 충전 단면
RPO : 직사각형(콘크리트)단면에 Pipe(철골)를 포함한 콘크리트 비충전 단면
RPC : 직사각형(콘크리트)단면에 Pipe(철골)를 포함한 콘크리트 충전 단면
CBO : 원형(콘크리트)단면에 Box(철골)를 포함한 콘크리트 비충전 단면
CBC : 원형(콘크리트)단면에 Box(철골)를 포함한 콘크리트 충전 단면
CPO : 원형(콘크리트)단면에 Pipe(철골)를 포함한 콘크리트 비충전 단면
CPC : 원형(콘크리트)단면에 Pipe(철골)를 포함한 콘크리트 충전 단면
EBC : 콘크리트가 충전된 Box(철골) 단면
EPC : 콘크리트가 충전된 Pipe(철골) 단면
RHB : 직사각형(콘크리트)단면에 H형강을 포함한 단면
CHB : 원형(콘크리트)단면에 H형강을 포함한 단면
Rebar :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철근규격 및 철근개수를 표시한 것이다.
"n1-n2-Dxx(#xx, Pxx, dxx, xxM)" = n1 -> 주철근 개수, n2 -> 주철근의 가로줄, xx -> 주철근의 규격
Section : 부재의 단면(Section Property )명칭
Material : 해당단면의 철골재질 명칭
Fy : 철골의 설계기준 항복강도
fc :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yr : 주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
Bc, Hc : 콘크리트 단면의 폭, 높이치수
LCB : 최대 조합응력비가 발생하는 하중조합조건번호
Len : 해석모델의 절점좌표를 기준으로 계산된 부재길이
Ly, Lz : 부재의 강축(y-Axis) 및 약축(z-Axis)에 대한 비지지길이
Pa : 부재의 축력. (Pa > 0 : 인장, Pa < 0 : 압축)
My, M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소요휨강도
Ky, K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유효좌굴길이계수.
Cmy, Cm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모멘트 확대계수에 대한 조정계수
fa : 부재축방향 발생압축응력(발생인장응력)
fby, fb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발생휨응력
Fa : 부재축방향 허용압축응력(허용인장응력)
FBy, FB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허용휨응력
AIJ-SRC01
Fy : 철골의 항복응력도
Fc :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mFy : 주근의 항복응력도
rDy, rD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장주의 철근콘크리트 부분의 휨모멘트에 곱하는 할증계수
sN : 철골부분의 허용축력
rN : 철근콘크리트 부분의 허용축력
sMy, sM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철골부분의 허용 휨모멘트
rMy, rM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철근콘크리트부분의 허용 휨모멘트
기타내용은 SSRC79와 동일합니다.
JGJ138-01]
CHK : 부재별 강도검증결과의 표시
= "OK" : 조합강도비와 전단강도비가 1.0이하이고, 세장비가 허용세장비보다 작은 경우
= "OK*" : 조합강도비와 전단강도비가 1.0이하이고, 세장비가 허용세장비보다 큰 경우
= "NG" : 조합강도비와 전단강도비가 1.0을 초과하고, 세장비가 허용세장비보다 작은 경우
= "NG*" : 조합강도비와 전단강도비가 1.0을 초과하고, 세장비가 허용세장비보다 큰 경우
PROP : 단면번호
SHR : 전단력에 대한 강도비 (발생전단강도/허용전단강도)
Type : 단면형상기호(공통사항)
= RBO : 직사각형(콘크리트)단면에 Box(철골)를 포함한 콘크리트 비충전 단면
= RBC : 직사각형(콘크리트)단면에 Box(철골)를 포함한 콘크리트 충전 단면
= RPO : 직사각형(콘크리트)단면에 Pipe(철골)를 포함한 콘크리트 비충전 단면
= RPC : 직사각형(콘크리트)단면에 Pipe(철골)를 포함한 콘크리트 충전 단면
= CBO : 원형(콘크리트)단면에 Box(철골)를 포함한 콘크리트 비충전 단면
= CBC : 원형(콘크리트)단면에 Box(철골)를 포함한 콘크리트 충전 단면
= CPO : 원형(콘크리트)단면에 Pipe(철골)를 포함한 콘크리트 비충전 단면
= CPC : 원형(콘크리트)단면에 Pipe(철골)를 포함한 콘크리트 충전 단면
= EBC : 콘크리트가 충전된 Box(철골) 단면
= EPC : 콘크리트가 충전된 Pipe(철골) 단면
= RHB : 직사각형(콘크리트)단면에 H형강을 포함한 단면
= CHB : 원형(콘크리트)단면에 H형강을 포함한 단면
표기방법 : n1-n2-Dxx(#xx, Pxx, dxx, xxM).
(n1 : 주철근 개수, n2 : 주철근의 가로줄, xx : 주철근의 규격).
Member Name : 사용자 입력 및 프로그램 내부 철골 단면명칭
Material : 사용자 입력 및 프로그램 내부 철골 재질명칭
Fa : 철골의 항복응력도
Fyr : 주근의 항복응력도
N : 부재의 축력. (N > 0 : 인장, N < 0 : 압축)
Etay,Eta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편심거리 증대계수
sMy,sM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철골부분의 허용 휨모멘트
[단면변경]
선택된 부재들의 조건에 맞는 단면을 제안하며, 콘크리트 단면에 철근이 사용된 단면형상(RBO,RBC,RPO,RPC,CBO,CBC, CPO,CPC,RHB,CHB)인 경우는 콘크리트 및 철근과의 간섭를 고려하여 만족하는 단면만 제안합니다.
철골과 철근과의 간격은 Modify SRC Section Data에서 입력된 철근간격을 이용합니다.
Member Name : 프로그램 내부 단면명칭
CHK : 단면별 강도검증결과의 표시
= "OK" : 조합응력비와 전단응력비가 1.0이하이고, 세장비가 허용세장비보다 작은 경우
= "NG" : 조합응력비와 전단응력비가 1.0을 초과하고, 세장비가 허용세장비보다 작은 경우
SEL : 변경하고자 하는 단면을 선택합니다
H : 철골단면의 높이
B : 철골단면의 폭
Area : 철골단면의 단면적
: 변경할 단면번호 선택
: 단면 DB로 사용할 MGB 파일 열기
(사용자에 의해 단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MGB 파일은 사용가능하고, DB/User Section만 DB 구축에 포함)
: 변경하고자 하는 철골 단면의 DB 결정
변경하고자 하는 철골 단면의 형상 결정 (RBO,RBC,RPO,RPC,CBO,CBC, CPO,CPC,RHB,CHB 중 선택)
H - RHB, CHB
B(Open) - RBO. CBO
B(Close) - RBC, CBC
B(Filled) - EBC
P(Open) - RPO, CPO
P(Close) - RPC, CPC
P(Filled) - EPC
Open과 Close가 선택된 경우는 콘크리트 단면이 변경되지 않으나, Filled가 선택된 경우에는 콘크리트 단면이 자동 변경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변경하고자 하는 철골 단면치수 범위 결정
현재 사용하고 있는 철골단면과 일부치수가 같은 철골단면으로 범위를 설정할 경우는 CheckBox를 지정하고, 범위를 지정할 경우, From과 To에
사용하고 있는 단위에 맞게 치수를 입력합니다.
알고있는 치수로 변경단면을 설정할 경우는 From에만 해당치수를 입력합니다.
: 변경할 단면의 조합응력비 범위 결정
: 조건에 맞는 철골단면으로 변경된 철골철근콘크리트 단면의 강도검증결과 수행 및 출력
: 단면 강도검증결과 출력 Sorting 기준 선택
: 선택된 단면으로 강도검증을 수행한 후, SRC 강도검증 결과 파일(.GD4)에 변경된 결과를 저장하고 종료
: 선택된 단면으로 강도검증을 수행한 후, SRC 강도검증 결과 파일(.GD4)에 변경된 결과를 저장
: 종료
[변경단면 Update]
: 강도검증 후 변경된 단면을 모델링 정보에 Update합니다.
Properties Before Changed는 해석수행시 적용된 단면정보
Properties After Changed는 최종 강도검증 수행후 변경된 단면정보
: 변경된 단면만 자동 선택
: 전체 선택 취소.
: 선택된 단면을 모델링 정보에 Update합니다.
Update를 실행하면, 해석결과 및 강도검증결과는 삭제되므로 다시 강도검증을 수행할 경우 재해석 과정이 필요합니다.
변경된 단면으로 재해석 및 재강도검증을 수행하려면, 를 클릭하여 재해석을 실행한 후, 를 클릭하여 재강도검증을 수행합니다.
[강도검증 결과 그래프 출력]
재료별, 단면별, 부재별로 강도검증 결과를 그래프 출력합니다. (강도검증 결과 그래프 출력)
: 전체선택
: 전체선택 최소
그래프 출력을 위한 Sorting 기준 선택(SEL 선택을 위한 Table 출력기준 설정)
그래프 출력형태 선택 (Line, Vertical Bar 중 선택)
그래프출력 하중조합조건 결정 (All 전체 하중조합조건 중 최대 Ratio 발생 하중조합조건)
출력할 Ratio 종류 선택
: Sorting기준, 하중조합조건, Ratio 종류 및 범위를 만족하는 부재 모델뷰에서 선택
: 출력할 Ratio 범위 설정
새로운 View에서 그래프를 출력할 것인지 여부 설정 (Check된 경우 기존 View에 출력)
선택된 조건에 만족하는 부재의 강도검증결과 Ratio 그래프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