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crete Material

 

기능

대상 구조물의 Concrete 재료강도를 설정합니다.

 

호출

[Seismic Evaluation]탭 > [Main Control]그룹 > [Define Material] > [Concrete Material]

 

입력

   

Concrete Material 대화상자

 

Material List

Properties > Material Properties에 등록된 재질 중 콘크리트 재질만 리스트에 출력됩니다.

Material열에 'In'으로 등록된 재질을 가진 부재들만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합니다.

('In'으로 등록되지 않은 재료강도를 가진 부재에 대해서는 Performance 값이 출력되지 않습니다.)

성능평가를 위한 재질 등록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재료강도 리스트에서 대상재질을 선택한 후, 대화창 하단의 [Delete]버튼을 클릭합니다.

 

Method

Evaluation Method에서 설정된 내진성능평가 기준이 출력됩니다. 변경은 Evaluation Method에서 가능합니다.

내진성능평가용 재료강도를 자동 계산하고자 하는 재질들을 선택하여 일괄적으로 자동계산합니다. 자동계산된 재질은 Material List에 'In'으로 등록되며 'In'으로 등록된 재질을 선택하면 대화창 하단의 강도 테이블에서 계산된 강도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utomatic Generation Materials for Seismic Evaluation  대화상자

 

Target Materials

자동계산 하고자 하는 재료강도 리스트를 선택합니다. 설정이 아직 안된 재료강도 리스트가 Selected항에 출력됩니다.

 

Material Strength Parameters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자동입력 또는 사용자 입력합니다.

Program Determined : Design>Modify Concrete Materials에서 입력한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를 적용하며, 이 값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Properties>Material Properties에 입력된 콘크리트의 DB에 의한 설계기준 압축강도를 적용합니다.

Reinforcing Steel Tensile & Yield Strength : 철근의 항복강도를 자동입력 또는 사용자 입력합니다.

Program Determined : Design>Modify Concrete Materials에서 입력한 철근의 항복강도를 적용하며, 이 값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Tools>Preference>Design에 입력된 철근 DB에 의한 항복강도를 적용합니다.

 

Calc. Method for Seismic Evaluation

예비평가, 1단계 상세평가, 2단계 상세평가에서 적용할 재료강도 유형을 선택합니다.

Evaluation Method에 입력된 대상구조물의 성능목표수준에 따라서 각 단계별 선택할 수 있는 강도유형이 달라집니다.(각 평가단계별 적용가능 유형은 아래 보조자료 참고)

재료강도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Testing : 현장시험

Document : 설계도서상의 재료강도

Default : 기본재료강도

Note.
[KISTEC 2013(한국시설안전공단 2013) 관련조항 보기]

 

Calculate Parameters.

Factors to Material Properties : 설계기준강도로부터 평균강도를 구하기 위한 재료별 보정계수

Note.
[MOE 2018(교육부 2018) 관련조항 보기]
[KISTEC 2013(한국시설안전공단 2013) 관련조항 보기]

Reduction Factor of Concrete Comp. Strength : 경과년수 및 재료상태에 따른 재료강도의 감소계수
설계도서 상의 설계기준강도를 사용할 경우, 경과년수 및 재료상태에 따른 감소계수를 곱하여 사용합니다.

Note.
[MOE 2018(교육부 2018) 관련조항 보기]
[KISTEC 2013(한국시설안전공단 2013) 관련조항 보기]

Time Frame of Structure : 건설연도별 재료의 기본값
설계도서가 없는 경우의 재료강도는 연도별 기본값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을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경과년수에 따른 감소계수는 고려되어 있으므로 추가로 적용하지 않습니다.

Note.
[MOE 2018(교육부 2018) 관련조항 보기]
[KISTEC 2013(한국시설안전공단 2013) 관련조항 보기]

 

Assign Material Strength Calc. Method for Seismic Evaluation

예비평가, 1단계 상세평가, 2단계 상세평가에서 적용할 재료강도 유형을 선택합니다.

료강도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Testing : 현장시험

Document : 설계도서상의 재료강도

Default : 기본재료강도

Note. [KISTEC 2013(한국시설안전공단 2013) 관련조항 보기]

Note
Evaluation Method에 입력된 대상구조물의 성능목표수준에 따라서 각 단계별 선택할 수 있는 강도유형이 달라집니다.(각 평가단계별 적용가능 유형은 위의 보조자료 참고)

Pre.Eval., 1st Eval., 2nd Eval.값으로는 기본값으로 Testing(현장시험)이 선택 되어집니다. 또는 Auto Generation대화창에서 설정된 각 평가단계별 재료강도 유형이 선택되어 집니다. Material List에서 해당 재료강도를 선택하면 Assign된 유형을 확인할 수 있으며, 대화창 하단의 Add/Replace를 클릭하여 적용됩니다.

 Level

IO

LS

CP

Pre. Eval

Testing

Construction Document

Default Strength

1st Eval

Testing

Testing

Testing

Construction Document

Default Strength

2nd Eval

Testing

Testing

Testing

Construction Document

Default Strength

 

 

Material

Material List에 선택된 항목별로 별도로 수정/편집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Material Strength : 예비평가, 1단계 상세평가, 2단계 상세평가에서 적용할 기본강도 및 평균강도 값을 설정합니다.

User Defined : 테이블값을 직접 수정/입력

Time Frame for Pre.Eval : 예비평가를 위한 건설연도별 재료의 기본값 설정

Auto Calculator : 에 설정된 변수를 적용하여 기본강도와 평균강도를 자동계산

Light Weight Concrete Factor(Lamda) : Modify Concrete Material 대화상자에서 설정한 경량콘크리트계수 값이 보여지며 수정이 필요할 경우 [...]버튼을 호출하여 수정 가능합니다.

Note
MOE2018 선택 시, Testing강도(현장시험결과를 이용한 재료강도)는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매뉴얼 3.3.2]에 의해 사용자입력으로 지원합니다.

 

      : 대화창에 입력된 재료강도정보(입력정보, 계산근거, 적용강도)를 텍스트 문서로 확인하고 출력할 수 있습니다.
: 테이블에 보여진 재료강도(기본강도, 평균강도)를 Material List에서 선택된 대상 항목에 적용합니다.
            : Material List에 등록(In)된 데이터를 등록해제 합니다.

Material열에 'In'으로 등록이 되어 있어야 내진성능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In'으로 등록되지 않은 재료강도를 가진 부재에 대해서는 Performance 값이 출력되지 않습니다.)

   : 데이터 저장 없이 대화창을 닫습니다. 데이터 저장은 [Add/Replace]버튼을 통해서 저장 후, [Close]버튼을 눌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