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vection Coefficient Functions

 

기능

수화열해석에서 온도해석모델에 입력되는 경계조건은 대류경계, 단열경계, 고정온도경계가 있습니다. 대류경계(열전달경계)는

  외기와 온도해석모델 사이에 열의 출입이 있는 경계이며, 이에 관한 온도전달 특성을 대류계수로 정의합니다.

 

대류경계면은 콘크리트의 표면과 시공단계상의 이어치기로 시공한 면을 포함합니다. 대류경계면에 입력한 대류계수는

  부재표면부의 온도에 큰 영향을 미치며, 부재두께가 비교적 작을 경우에는 내부온도 변화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대류계수는   

  거푸집의 유무, 종류, 두께, 존치기간, 양생방법, 주위의 풍속 등을 고려하여 입력합니다

 

호출

[Load] 탭 > [Heat of Hydration]  > [Convection Boundary] > [Convection Coefficient Functions]

 

입력

: 신규로 대류계수 함수를 입력

: 이미 입력된 대류계수 함수를 수정

: 이미 입력된 대류계수 함수를 삭제

: 대화상자를 종료

대류계수함수를 새로 정의하거나 추가하는 경우 버튼을 클릭하고 다음 사항을 입력합니다.

 

 

 Convection Coefficient Functions 대화상자

 

Function Name : 대류계수 함수의 이름

Function Type : 대류계수 함수의 형태를 선택

Constant Type : 대류계수를 일정한 값으로 정의

User Type : 시간에 따른 대류계수의 변화를 테이블 형태로 입력

 

Note
콘크리트표준시방서(1996)에 제시된 대류계수의 참고값

NO.

양생방법

평균값값(kcal/m^2h˚C)

1

철재 등 금속거부집

12

살수 (살수1cm 미만)

2

담수 (담수깊이 1cm이상 5cm미만)

7

짚, 가마니 양생

3

담수 (담수깊이 5cm이상 10cm미만)

7

4

합판

7

5

시트

5

6

양생매트
  담수 + 양생매트
  담수 + 시트를 포함

4.5

7

발포스치롤(두께 5cm) + 시트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