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Criteria for Rebar

 

기능

보, 기둥 및 대각부재에 대하여 단면설계시 적용하고자 하는 주철근과 전단철근의 규격을 입력하고, 전단벽부재에 대해서는 단면설계시 적용하고자 하는 수직철근 및 수평철근의 규격 및 배근간격을 입력하는데 사용합니다.

 

호출

[Design] 탭 > [Design 그룹] > [RC Design] > [Design Criteria for Rebar]

 

입력

Design Criteria for Rebars 대화상자

 

For Beam Design(Note 1 참조)

 보부재 단면설계 시 적용할 주철근 및 전단철근에 대한 철근규격과 주철근의 배근위치 등을 입력합니다.

 [기능사용법]

 

For Column Design(Note 2 참조)

 기둥부재의 주철근 및 전단철근에 대한 철근규격을 입력합니다.

 

벽 설계시 철근직경에 따른 별도 철근강도 사용

 설계기준 KCI-USD07이고, 콘크리트가 KS(RC)이고, 철근재질이 KS01(RC)인 경우

 [기능사용법]

 

For Brace Design(Note 3 참조)

 대각부재의 주철근 및 전단철근에 대한 철근규격을 입력합니다.

 [기능사용법]

 

For Shear Wall Design(Note 4 참조)

 전단벽부재의 수직철근 및 수평철근에 대한 철근규격과 수직철근의 배근위치 등을 입력합니다.

 [기능사용법]

 

 
 
기능활용 및 주의사항
 
Note 1
보부재의 주철근 또는 전단철근에 대한 철근규격이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의 철근규격을 적용한다.
Main Rebar : D22
Stirrup Bar
: D10
Side Bar
: D13
dT와 dB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0인 경우)는 63.5 mm와 H/10중 큰 값을 자동적용하며 76.2mm를 초과하지는 않는다.
 
Note 2
기둥부재의 주철근 또는 전단철근에 대한 철근규격이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의 철근규격을 적용한다.
Main Rebar : D22
Stirrup Bar
: D10
d0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0인 경우)는 63.5 mm와 H/10중 큰 값을 자동적용하며 76.2mm를 초과하지는 않는다.
 
Note 3
대각부재의 주철근 또는 전단철근에 대한 철근규격 및 피복두께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기둥부재와 동일하게 적용한다.
 
Note 4
전단벽부재의 단면설계시 적용하고자 하는 철근규격과 배근간격이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의 철근규격과 배근 간격을 적용한다.
Vertical Rebar : D13
Horizontal Rebar
: D10
End Rebar
: D10
Spacing of Vertical Rebar
: 100, 150, 200, 300, 400 mm
Spacing of Horizontal Rebar
: 50 mm
 단면설계시 적용할 철근규격 또는 철근의 배근 간격은 설계목적에 맞도록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dw와 de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0인 경우)는 50.8mm가 자동 적용된다.
 
Note 5
횡구속이 작아 균열발생 가능성이 낮은 아파트 벽체와 같이 압축력을 받는 경우의 수직철근간격은 균열발생 가능성 때문에 400mm로 강h하한 제한규정을 450mm로 완화할 수 있다.(콘크리트 구조설계 기준 해설,2003)
 
Note 6
Gen820 이전 생성 모델에서 If Vertical and End Rebar 옵션이 적용된 경우 Material By Rebar Diameter의 Data로 변경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