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placement Load Case
횡하중조건을 선택합니다.
Unit Load Case
단위하중조건을 선택합니다. 하중조건을 신규 입력하거나 수정 또는 추가할 경우에는 우측의 버튼을 이용합니다.(Load Cases 참조)
단위하중은 확인하려는 하중의 작용점과 동일한 위치, 동일한 방향에 입력한다. 즉, 풍하중일 경우 건물평면의 중심에 지진하중일 경우는 질량중심에 단위하중을 입력해야 정확한 변위기여도를 얻을 수 있다.
Type of Results
Element : 요소별 변위기여도

여기서
: 요소의 변위기여도
: 요소의 각 성분별 변위
: 요소의 중량(Weight)
Section : 단면별 변위기여도

여기서
: 단면 변위기여도
m : 동일 단면의 요소 수
Components
요소 및 단면에 대한 각 성분별 변위기여도를 선택합니다.
Total : 각 성분별 변위기여도의 합
Axial : 요소좌표계 X축방향 축력성분
Torsional : 요소좌표계 x축에 대한 비틀림모멘트 성분 변위기여도
Moment-y : 요소좌표계 y축에 대한 휨모멘트 성분 변위기여도
Moment-z : 요소좌표계 z축에 대한 휨모멘트 성분 변위기여도
Shear-y : 요소좌표계 y축에 대한 전단력 성분 변위기여도
Shear-z : 요소좌표계 z축에 대한 전단력 성분 변위기여도
Type of Display
(Contour) : 모델의 변위기여도를 등고선도로 나타냅니다.
(Values) : 절점에 발생된 변위를 수치로 나타냅니다. 숫자의 글꼴이나 색상은
Display Option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Legend) : 작업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해석결과에 대한 각종 참조사항을 정리하여 출력합니다.
최대, 최소변형이 발생하는 절점번호가 출력됩니다.
Displ. Participation Factor
버튼을 클릭하면 개별 부재와 치수 변경에 따른 횡변위 및 물량 증감을 예측할 수 있는 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

: 리스트에서 선택한 단면을 수정할 때 사용
: 리스트에서 선택한 단면을 원래 모델에 적용된 단면으로 환원할 때 사용
: 변경된 단면을 모델에 적용된 단면으로 모두 환산할 때 사용
Calculated Displacement : 횡변위
Displacement Decrease : 변위감소량
Weight Increase : 중량증가량
steel : 철골 증가량
concrete : 콘크리트 증가량
: 변경된 단면을 모델에 적용
: 변위기여도를 MS-Excel로 출력. Section, Element 의 2개의 탭에 각각 변위(Delta), 단위중량당 변위기여도(Del/WT) 및 성분별 단위중량당 변위기여도를 단면별, 요소별로 출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