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ive Length Factor(K)

 

기능

해석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부재의 강축(y-Axis) 및 약축(z-Axis)에 대해 휨이 발생하는 비지지구간의 유효좌굴길이계수(Effective Length Factor)를 입력합니다.

 

호출

[Design] 탭 > [General Design Parameter] > [Effective Length Factor(K)]

 

입력

모델링 영역에서 부재를 먼저 선택한 후 다음 내용을 입력합니다.

 

Effective Length Factor(K) 대화상자

 

Factor

유효 좌굴길이 계수를 입력합니다.

Ky : 부재강축에 대한 유효 좌굴길이 계수(Default = 1.0)

Kz : 부재약축에 대한 유효 좌굴길이 계수(Default = 1.0)

: 입력한 값을 선택된 부재에 적용합니다.

: 입력 Dialog Bar를 닫습니다.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이 2가지가 있습니다.

 

Note
Ky, Kz에 값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Ky = 1.0, Kz = 1.0을 적용한다.

기둥부재에 대한 유효 좌굴길이 계수는 프로그램에서 자동 계산된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자동 계산된 유효 좌굴길이 계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Definition of Frame에서 자동계산(Auto Calculate Effective Length Factors) 옵션을 선택한다.

호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Design] 그룹 > [General Design Parameter] > Definition of Frame

 

참고 > 기둥부재에 대한 유효좌굴길이 계수 자동산정 알고리즘

 

유효 좌굴길이 계수는 설계기능의 수행과 동시에 계산하며, 계산된 계수값은 해당 기둥부재(요소)별로 적용한다.

그러나 유효 좌굴길이 계수 입력 Dialog Bar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값을 입력한 부재는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적용한다.

유효 좌굴길이 계수 자동계산에 의하여 산출된 계수값은 철근콘크리트 기둥부재 단면설계결과에 표시된다.

만일 자동 계산된 유효 좌굴길이 계수가 실제의 부재 배치 상황을 충분하게 고려하지 않아 비정상적으로 큰 값으로 산출된다면, 해당 부재에 대한 적절한 계수값을 직접 입력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재에 유효 좌굴길이 계수가 중복 입력된 경우에는 다음의 순서에 따라 적용한다.

1. 해당부재에 대하여 사용자가 최종 입력한 유효 좌굴길이 계수

2. 자동계산 옵션에 의해 프로그램에서 자동 계산한 유효 좌굴길이 계수

입력된 유효 좌굴길이 계수는 요소번호 순으로 정리된 데이터 테이블로 확인할 수 있으며, 데이터 테이블에서도 수정/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

데이터 테이블의 호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Design] 그룹 > [General Design Table] > Effective Length Fact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