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valuation 
				 Method 대화상자 
				  
				 Method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할 코드 또는 
				 매뉴얼을 선택합니다. 
				  
				 Structural Performance Levels 
				내진성능 평가대상 구조물의 성능목표 
				 수준을 선택합니다. 
				Note.  
				[MOE 
				 2019(교육부 2019) 관련조항 보기] 
				[MOE 
				 2018(교육부 2018) 관련조항 보기] 
				[KISTEC 
				 2013(한국시설안전공단 2013) 관련조항 보기] 
				
				
				
				 Seismic Force 
				 Resisting System 
				System : 내진성능 평가대상 구조물의 
				 구조시스템을 선택합니다. 
				Note. 
				  
				[MOE 
				 2019(교육부 2019) 관련조항 보기] 
				
				[MOE 
				 2018(교육부 2018) 관련조항 보기] 
				[KISTEC 2013(한국시설안전공단 
				 2013) 관련조항 보기] 
				
				
				Use Seismic Hook(RC 
				 Beam/Column) : 해석모델에 
				 포함된 모든 RC Beam 및 Column에 대하여 내진갈고리 사용함을 설정합니다. 
				Note.  
				[MOE 
				 2018(교육부 2018) 관련조항 보기] 
				[KISTEC 
				 2013(한국시설안전공단 2013) 관련조항 보기] 
				
				
				Transverse Reinforcement 
				 Details :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파괴모드를 분류하기 위해 모든 기둥의 횡보강근 상세 조건을 일괄로 설정합니다. 
				Note. 
				  
				[MOE 
				 2018(교육부 2018) 관련조항 보기] 
				
				  
				 Shear Strength 
				 of RC Column 
				KISTEC2019, 
				 MOE2019 내진성능평가 시 RC Column 전단강도 계산 수식과 k1 Factor를 평가단계별로 
				 설정합니다. 
				.PNG)  
				Shear Strength of 
				 RC Column 대화상자 
				Linear Evaluation : 
				 선형해석평가 시 적용되는 RC Column 전단강도 계산 수식을 설정합니다. 
				MOE2019 
				 :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보강 매뉴얼(교육부, 2019) 식 (5-5)에 따라 RC Column의 
				 전단강도를 계산합니다. 
				KBC2016 
				 : 건축구조기준(KBC2016) 0507.3에 따라 RC Column 콘크리트에 의한 전단강도를 
				 계산합니다. 
				             k1 
				 Factor : 건축구조기준(KBC2016) 식 (0507.4.3)에 따라 계산한 전단철근에 의한 
				 전단강도에 곱하는 k1 Factor 값을 설정합니다. 
				                            Auto 
				 : 프로그램에서 자동계산한 값으로 적용합니다. (KBC2016 0507.4.2 (1)에 따라, s ≤ 0.5d : 1, 
				 s > 0.5d : 0 으로 자동계산하여 적용됩니다.) 
				                            User 
				 : 0~1 사이의 값을 직접 입력하여 모든 RC Column에 적용합니다. 
				m-Factor : m 계수법 평가 
				 시 적용되는 RC Column 전단강도 계산 수식을 설정합니다. 
				Pushover : 비선형정적해석평가 
				 시 적용되는 RC Column 전단강도 계산 수식을 설정합니다. 
				              힌지 
				 속성 자동 업데이트 및 Axial-Shear interaction Type of RC를 P-Q Interaction으로 
				 설정 후 해석 시 적용됩니다. 
				  
				 Effective Depth(d) 
				 for Shear 
				RC 
				 Beam, Column의 전단강도 계산 시 적용되는 유효 깊이 계산 방법을 평가단계별로 설정합니다. 
				.PNG)  
				Effective 
				 Depth(d) for Shear 대화상자 
				Linear Evaluation : 
				 선형해석평가 시 적용되는 유효 깊이 계산 방법을 설정합니다. 
				Beam 
				 : RC Beam의 유효 깊이 계산 방법을 설정합니다. 
				         0.8h 
				 : 전단력 방향으로의 단면 높이(h) x 0.8 로 계산합니다. 
				         Auto 
				 Calculated : 콘크리트 압축 연단으로부터 인장 철근 도심까지의 거리로 계산합니다. 
				Column 
				 : RC Column의 유효 깊이 계산 방법을 설정합니다. 
				         0.8h 
				 : 전단력 방향으로의 단면 높이(h) x 0.8 로 계산합니다. 
				          Auto Calculated 
				 : 전단력 방향으로의 단면 높이(h)-피복두께(do) 로 계산합니다. 
				m-Factor : m 계수법 평가 
				 시 적용되는 유효 깊이 계산 방법을 설정합니다. 
				Pushover : 비선형정적해석평가 
				 시 적용되는 유효 깊이 계산 방법을 설정합니다. 
				              힌지 
				 속성 자동 업데이트 및 Axial-Shear interaction Type of RC를 P-Q Interaction으로 
				 설정 후 해석 시 적용됩니다. 
				  
				 P-M Curve Checking 
				 Ratio Method 
				KISTEC2019 
				 1단계상세평가 및 MOE2019 선형해석평가와 m계수법 검토 시, RC Column, Wall의 
				 휨강도 산정 방법을 평가단계별로 설정합니다. 
				.PNG)  
				P-M 
				 Curve Checking Ratio Method 대화상자 
				1st Eval. : 1단계상세평가 
				 시 적용되는 휨강도 산정 방법을 설정합니다. 
				Column 
				 : RC Column의 휨강도 산정 방법을 설정합니다. 
				         Keep 
				 P constant : P-M Curve 상의 동일 축력 선상의 휨강도로 산정합니다. 
				         Keep 
				 M/P constant : P-M Curve 상의 동일 편심 선상의 휨강도로 산정합니다. 
				Wall 
				 : RC Wall의 휨강도 산정 방법을 설정합니다. 
				         Keep 
				 P constant : P-M Curve 상의 동일 축력 선상의 휨강도로 산정합니다. 
				         Keep 
				 M/P constant : P-M Curve 상의 동일 편심 선상의 휨강도로 산정합니다. 
				.png)  
				Note.  
				MOE2019 선형해석평가에서는 
				 지진하중 검토 시에만 적용되며, 중력하중 검토 시에는 옵션 설정과 무관하게 동일 편심 휨강도로 산정합니다. 
				  
				 Strength Reduction Factor for Masonry 
				MOE2019 
				 선형해석평가 시 적용되는 조적채움벽의 강도감소계수를 입력합니다. 
				For Shear (phi_v) : 
				 전단에 대한 강도감소계수, 0.6~0.8 범위의 값을 입력합니다. 
				Note. 
				  
				[MOE 2019(교육부 2019) 관련조항 
				 보기] 
				
				  
				 The effect of Masonry Infilled Walls is considered 
				 for Pre. Eval. 
				KISTEC2019 
				 예비평가 시 조적 채움벽 효과를 고려하도록 설정합니다. 
				전단지배형 
				 부재의 저항능력의 합(Cs) 산정 시, RC 기둥과 벽체의 저항능력에 조적 채움벽 저항능력을 더한 
				 결과가 출력됩니다. 
				  
				 Auto-Setting of Column Hinge Position by 
				 Considering Masonry Infill Strut 
				KISTEC2019, 
				 MOE2019, MOE2018 비선형정적해석평가 시 조적 허리벽(Partial Strut) 인접 
				 기둥의 힌지 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합니다. 
				조적 허리벽으로 분할된 
				 기둥을 멤버로 설정하고 힌지 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면,  
				허리벽과 만나는 기둥 
				 중간 절점 상부에는 면내 성분의 힌지가 설정되고 기둥 하단은 면외 성분의 힌지가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PNG)  
				  
				 Scale Up 
				 of m Factor for 1st Evaluation 
				1단계 
				 상세평가 시 m계수를 증폭해서 성능수준을 검토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기본값 1.0) 
				고차모드가 
				 지배적인 구조물의  1단계 상세평가를 위해서는 m-Factor를 1.33배 확대해서 평가하는 
				 방법이 FEMA273에 언급되어 있습니다. 
				Note.  [FEMA273 
				 관련조항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