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용방식에 
						 따른 구체적인 연결요소를 나타냅니다. Element Type의 범용연결요소에는 Spring, 
						 Dashpot 및 Spring and Dashpot의 3가지 타입을 제공합니다. 
						Force 
						 Type의 범용연결요소에는 제진장치로 이용하는 Viscoelastic Damper, 
						 Hysteretic System와 면진장치로 이용하는 Lead Rubber Bearing 
						 Isolator, Friction Pendulum System Isolator이 있으며, 
						 압축전담요소인 Gap 및 인장전담요소인 Hook로 6가지 타입을 제공합니다. 
						Element 
						 Type 
						Element Type 범용연결요소에는 Spring, Linear Dashpot 및 
						 Spring and Linear Dashpot의 세가지 Property Type이 
						 제공됩니다. Spring은 6개 성분 별로 선형탄성인 Stiffness만을 가지며 
						 Linear Dashpot은 6개 성분 별로 선형점성인 Damping만을 갖습니다. 
						 Spring and Linear Dashpot은 Spring과 Linear Dashpot이 
						 병렬로 연결된 형태입니다. 
						Spring 
						Spring은 직접적분법에 의한 
						 비선형시간이력해석 시에 Inelastic Hinge Properties를 부여(  버튼 클릭)하여 비선형 요소로 사용가능하며, 비선형 해석과정에서 
						 요소 강성행렬을 갱신함으로써 요소의 비선형 거동을 직접적으로 반영합니다. 이는 주로 
						 구조물에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소성힌지나 지반의 비선형성을 모델링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Note 
						Pushover해석에서도 General 
						 Link의 Spring 타입을 이용하여 비탄성힌지특성을 갖는 경계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Linear 
						 Dashpot 
						Spring 
						 and Linear Dashpot 
						  
						Force 
						 Type 
						Force Type 범용연결요소는 제진장치로 이용되는 Visco-elastic Damper, 
						 Hysteretic System, 면진장치로 이용되는 Lead Rubber Bearing 
						 Isolator, Friction Pendulum System Isolator, 압축전담요소인 
						 Gap 및 인장전담요소인 Hook 등의 Property Type이 제공되며,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인 경계비선형해석에 사용됩니다. Force Type 범용연결요소의 각각의 
						 성분은 Linear Properties로서 Effective Stiffness 및 
						 Effective Damping을 가지며, 사용자가 선택한 성분에 대해서 Nonlinear 
						 Properties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Force Type 범용링크요소는 정적해석, 응답스펙트럼해석에서는 Effective 
						 Stiffness를 갖는 선형요소로서 해석되며 Effective Damping는 무시됩니다. 
						 선형시간이력해석에서는 Effective Stiffness에 기초한 선형요소로서 해석됩니다. 
						 비선형시간이력해석에서는 Effective Stiffness가 가상의 선형강성 역할을 
						 하며, 요소 강성행렬을 갱신하지 않고, 비선형 속성에 따라 계산된 부재력을 외부 하중으로 
						 치환해 줌으로써 간접적으로 비선형성을 고려합니다. 
						  
						[Viscoelastic Damper] 
						
						  
						[Gap] 
						
						  
						[Hook] 
						
						  
						[Hysteretic System] 
						
						
						  
						[Lead Rubber Bearing Isolator] 
						
						  
						[Friction pendulum System Isolat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