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ge Status : 비탄성힌지
상태
비탄성소성힌지
속성에서 정의된 5개 레벨에 의한 수준을 표현합니다.
Ductility Factor (D/D1)
: 연성도, 전체변위에 대한 1차항복 변위의 비
Ductility Factor (D/D2)
: 연성도, 전체변위에 대한 2차항복 변위의 비
Deformation : 변형도
Plastic Deformation
:
Force : 부재력
Status of Yielding :
Trilinear/Bilinear타입 힌지의 탄성/항복상태 표현
Note
Pushover Hinge Property의
이력모델에서 정의한 항복강도에 따라 4가지로 구분되어 출력된다.
* Trilinear : 탄성, 1st Yield(1차 항복),
2nd Yield(2차 항복)
* Bilinear : 탄성, 1st Yield(1차 항복),
2nd Yield(2차 항복)
힌지타입이 분포형(Distributed)인 경우에는 요소자체에
색으로 구분되며 집중형(Lumped) 또는 범용연결요소인 경우에는 원형의 힌지로 표현된다.
한 요소에 여러 개의 힌지가 존재할 경우 하나의 힌지가 항복상태이면
항복으로 간주하여 표현된다.
Status of Yielding(FEMA)
: FEMA 타입 힌지 상태 표현
Note
FEMA : 탄성, IO(즉시거주), LS(인명안전),
CP(붕괴방지), 파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