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실행 
				 시, 기본값으로 부재타입별 및 자유도 성분별 힌지 설정 항목이 Check on됩니다. 
				 Structure>Control 
				 Data에서 'Use Ground Level'을 통해서 설정된 G.L초과 부재에 대해서 자동으로 
				 선택이 되며, 선택 제외 또는 추가선택이 필요할 경우 모델뷰에서 선택/해제할 수 있습니다. 
				 'Use 
				 Ground Level'이 체크 되지 않은 경우에는 모든 부재가 선택된 상태로 기능창이 실행됩니다. 
				 소성힌지를 
				 설정하지 않고 탄성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부재타입 및 속성은 대화창에서 Check Off할 수 있습니다. 
				 자동정의되는 힌지특성은 항복 이후 강도저감 없이 무한 변형을 
				 통해 예비 성능점을 찾기 용이하도록 설정된 값 입니다. 이 값으로의 성능점은 의미가 없을 수 있으며, 
				 최종 Pushover해석을 위해서는 반드시 부재별/자유도 속성별 힌지속성을 자동(Update Pushover 
				 Hinge Properties) 또는 직접 입력해서 해석을 수행해야 신뢰성있는 성능점 및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Initialize 
				 Pushover Hinge Properties 대화상자 
				  
				 RC  
				Beam 
				 : 기본적으로 Fz(전단력성분), My(휨모멘트성분)에 대해서 힌지설정이 됩니다.  
				Column 
				 : 기본적으로 Fx(축력성분), Fy, Fz(전단력성분), My, Mz(휨모멘트성분)에 대해서 힌지설정이 
				 됩니다.  
				Wall 
				 : 기본적으로 Fx(축력성분), Fy, Fz(전단력성분), My, Mz(휨모멘트성분)에 대해서 힌지설정이 
				 됩니다.  
				Membrane타입 Wall에는 면내방향 휨모멘트성분(My)에 
				 대해서 설정이 되며, Plate타입 Wall에는 면내, 면외방향 휨모멘트성분(My, Mz)에 대해서 
				 설정이 됩니다. 
				 Steel  
				Beam 
				 : 기본적으로 My(휨모멘트성분)에 대해서 힌지설정이 됩니다.  
				Column 
				 : 기본적으로 Fx(축력성분), My, Mz(휨모멘트성분)에 대해서 힌지설정이 됩니다.  
				Brace 
				 : 기본적으로 고려되는 성분은 General Beam타입의 Brace와 Truss타입의 Brace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이 됩니다. 
				General 
				 Beam타입 Brace : Fx(축력성분), My, Mz(휨모멘트성분)에 대해서 힌지설정이 
				 됩니다. 
				Tuess타입 
				 Brace : Fx(축력성분)에 대해서 힌지설정이 됩니다.  
				  
				Note 
				철골의 경우 전단파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으므로 전단성분에 대한 힌지는 만들지 않습니다. 전단성분에 대해 변위지벼거동을 고려하고자 한다면 
				 사용자정의로 직접 입력합니다. 
				 Masonry  
				Strut 
				 : 기본적으로 Fx(축력성분)에 대해서 힌지설정이 됩니다.  
				  
				   : 1개 Member 또는 1개 Wall ID에 1개 Pushover Hinge가 
				 정의(Define)되고 적용(Assign)됩니다.  
				Member 
				 Assignment가 설정된 부재에 대해서는 이를 고려하여 Member단위의 단부에 힌지 정의 및 
				 적용이 됩니다. 
				기존 
				 Hinge Data가 있는 상태에서 기능 실행 시, 경고메세지가 출현됩니다. [예]를 누르면 기존 Data를 모두 삭제하고 교체하며, 
				 [아니오]를 누르면 Define 및 Assign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Note 
				예비 
				 Pushover 해석을 위해 초기화된 힌지 특성을 자동으로 부재에 할당하면서 아래와 같이 고유의 
				 이름을 부여합니다. 
				RC Beam : C_BE_부재번호 (힌지정보요약) 
				RC Column : C_CO_부재번호 (힌지정보요약) 
				RC Wall : C_WL_부재번호 (힌지정보요약) 
				Steel Beam : _S_BE_부재번호(힌지정보요약) 
				Steel Column : S_CO_부재번호(힌지정보요약) 
				Steel Brace : S_TR_부재번호(힌지정보요약) 
				  
				각 요소의 힌지특성은 단면의 배근정보를 근거로 자동 계산되기 
				 때문에 힌지설정하고자 하는 RC부재에는 배근정보가 입력되어 있어야 합니다.  
				배근정보는  Modify 
				 Rebar Data에서 철근정보를 직접 입력할수 있으며 또는 Concrete Code Design을 
				 통해 설계결과 테이블창에서 [Updata Rebar]버튼을 이용하여 철근정보를 각 부재에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 Display> Design탭>Pushover 
				 Hinge Name체크> 
				  
				  
				<Initialize Pushover Hinge 
				 Properties를 통하여 Define 및 Assign된 보 소성힌지 특성> 
				  
				  
				<Initialize Pushover Hinge 
				 Properties를 통하여 Define 및 Assign된 기둥 소성힌지 특성> 
				  
				  
				<Initialize Pushover Hinge 
				 Properties를 통하여 Define 및 Assign된 벽 소성힌지 특성> 
				  
				  
				<Initialize Pushover Hinge 
				 Properties를 통하여 Define 및 Assign된 축력성분 소성힌지 특성> 
				  
				  
				<Initialize Pushover Hinge 
				 Properties를 통하여 Define 및 Assign된 전단력성분 소성힌지 특성> 
				  
				  
				<Initialize Pushover Hinge 
				 Properties를 통하여 Define 및 Assign된 휨모멘트성분 소성힌지 특성> 
				     
				  
				Note. 힌지특성의 정의에 
				 대한 사용법 설명은 아래 메뉴 참고 바랍니다. 
				<Pushover>Hinge 
				 Properties>Define Pushover Hinge Properties> 
				  
				  
				Note. 
				 할당된 힌지특성은 
				 아래 그림과 같이 Work Tree 또는 내진성능평가 전용 Task Pane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