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lculation Rule 
 적재(활)하중 저감(감소)계수 적용기준 및 해당 소요강도 지정 
  
 by General Design Code : 국내 건축법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1996) 적용 
  
 by Chinese Standard : 중국규준 적용(저감계수 자동계산) 
  
 Note 
 2000년 이후의 건축물하중기준에 규정되어 있는 영향면적을   
 이용한 적재하중감소 방법은 지원되지 않는다. 
  
 Applied Components 
적재(활)하중(Live Load) 저감(감소)계수를 적용할 소요강도를 
선택합니다. 
  
 All Forces : 적재(활)하중(Live Load) 저감(감소)계수를 모든   
 소요강도에 적용 
  
 Axail Force : 적재(활)하중(Live Load) 저감(감소)계수를 
 소요축강도에 적용 
  
 Moments : 적재(활)하중(Live Load) 저감(감소)계수를   
 소요휨강도에 적용 
  
 Shear Forces : 적재(활)하중(Live Load) 저감(감소)계수를 
 소요전단강도에 적용 
  
 Note 
 보부재에는 이 기능이 적용되지 않으며, Design > General Design  Parameter > Modify Live Load Reduction Factor에서 사용자가    
 직접 적재(활)하중 저감(감소)계수를 적용시킬 수 있다. 
  
 Live Load Case Name 
 적재(활)하중 명칭 
   를 선택하면 해석모델 작성시 입력한 적재(활)하중조건이   
 나타나며, 이 대화상자에서 저감(감소)시키고자 하는 적재(활) 
 하중조건(Live Load Case)을 선택합니다. 
  
 Factor Range 
 적용될 적재(활)하중 저감(감소)계수의 범위(Note 1 참조) 
  
 Story : 적재(활)하중 저감(감소)계수를 적용할 기준층 이름 
 아래 2가지 방법에 의해 영역을 선택할 경우 영역내의   
 절점(수직부재-기둥,전단벽)에만 감소계수가 적용됩니다. 
  
 <방법 1> (Note 2 참조) 
 적재(활)하중 저감(감소)계수를 적용할 영역을 전체좌표계 X축 및   
 Y축방향의 좌표값을 직접 입력하여 지정하는 방법 
   Xmin : 전체좌표계 X축 방향의 최소좌표값 입력 
   Xmax : 전체좌표계 X축 방향의 최대좌표값 입력 
   Ymin : 전체좌표계 Y축 방향의 최소좌표값 입력 
   Ymax : 전체좌표계 Y축 방향의 최대좌표값 입력 
   Range : 적재(활)하중 저감(감소)계수의 적용범위 표시 
  
 <방법 2> 
 해당 영역의 두 절점을 마우스로 선택하여 최대, 최소 좌표값을   
 설정하는 방법 
   Picking Node Number : Xmin, Xmax, Ymin, Ymax를 위의    
   좌표로 입력하지 않고 마우스로 입력시 모델링 영역에서 두    
   절점에서 선택 
  
 Note 
 지상 20층 구조믈의 Roof 층에 적재하중 저감계수 범위를    
 1.0~0.5로 정의하면 Roof층에는 1.0의 계수가, 20층~12층은    
 0.95~0.55의 계수가, 11층~1층은 0.5의 적재하중 저감계수가    
 적용된다. 층의 중간에 실의 용도가 바뀌어 새롭게 저감계수를    
 1.0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면 적재하중 저감계수는    
 한층만 정의하면 된다. 
  
    : 적재(활)하중 저감(감소)계수 계산기본자료를   
 추가합니다. 
    : 이미 정의된 적재(활)하중 저감(감소)계수 
 계산기본자료를 수정(Update)합니다. 
    : 선택된 적재(활)하중 저감(감소)계수 기본계산자료를  삭제합니다. 
  
Note 1 
적재(활)하중 저감(감소)계수는 기둥 또는 전단벽이 받치고 있는 바닥의 갯수에 따라 산정되며,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의하여 0.4 이상 1.0 이하의 값을 적용한다. 
  
Note 2  적재(활)하중 저감(감소)계수를 적용시키고자 하는 기둥, 전단벽 및 기초의 영역을 지정하기 위하여 입력하는 좌표값으로 부재의 위치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