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 Combination

 

기능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하중조합조건을 입력합니다.

 

호출

[Seismic Evaluation] 탭 > [Main Control] 그룹/[MOE2018] > [Evaluation Type] 그룹/[m-Factor] > [Result]그룹/ [Load Combination]

 

입력

Load Combinations 대화상자 (1단계 상세평가)

 

하중조합조건을 새로 입력하거나 추가하는 방법

1. 사용자가 하중조합조건을 직접 입력할 경우

Load Combination List 입력란에 하중조합조건을 정의하는데 필요한 기본사항을 다음과 같이 직접 입력합니다.

No : 하중조합조건의 입력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일련번호 부여

Name : 하중조합조건의 이름 입력

Active : 해당 하중조합조건을 적용하는 방법을 지정합니다.

Inactive : 1단계 상세평가에서 해당 하중조합 조건을 적용하지 않음

General : 내진성능평가용 하중조합(변형지배조합만 정의하고, 하중지배조합은 내부적으로 계산)

Note. [KISTEC 2013(한국시설안전공단 2013) 관련조항 보기]
기본 16가지이며, 선형동적 우발편심을 고려하게 되면 64가지의 하중조합이 생성됩니다.

Vertical : 수직지진력을 고려한 내진성능평가용 하중조합

Note
수직지진력을 적용한 하중조합이 적용되는 부재는
Design>General Design Parameters>Seismic Load Combination Type에서 지정 가능.
Design>General Design Parameters>General Design Tables>Seismic Load Combination Type에서 확인가능.

Type : 해석결과의 조합방법 지정

  • Add : 각 하중조건별 해석결과의 선형 조합

L1 + L2 + ...+ R1 + R2 + ...

  • Envelope : 각 하중조건별 해석결과에 대한 절대값의 최대치

  • SRSS : 해석결과의 SRSS(Square Root of Sum. of the Squares) 조합

(L12 + L22 + ... +R12 + R22 + ...)1/2

여기서, 

L : 정적 단위하중조건에 대한 해석결과 × 증감계수

R : Response Spectrum 조건에 대한 해석결과 × 증감계수

 

LoadCase : 하중조건 목록판에서 입력된 단위하중조건 또는 먼저 정의된 하중조합조건을 선택합니다.

Factor : 선택된 단위하중조건 또는 하중조합조건에 적용할 하중계수 입력

 

2. 내장된 설계기준을 이용하여 하중조합조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하중조합조건 입력 대화상자에서 하부에 있는 버튼을 클릭합니다. 클릭후 나타나는 하중조합조건 자동입력 대화상자에서 다음 사항을 선택하고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가 정의한 단위하중조건과 규준에 대한 하중조합조건을 자동으로 생성해 줍니다.

 

Automatic Generation of Load Combinations 대화상자 (1단계 상세평가)

 

Option

Add : 이미 정의된 하중조합조건에 자동생성될 하중조합조건을 추가합니다.

Replace : 이미 정의된 하중조합조건을 삭제하고, 자동생성될 하중조합조건으로 대체합니다.

 

Method : 내진성능평가용 하중조합에 대한 기준 또는 매뉴얼을 선택합니다.

 

Define Load and Factors for Gravity Load

  : 중력하중 계산을 위한 하중조건을 선택하고 유효하중계수를 설정합니다.

Load Case for Gravity Load 대화상자 (1단계 상세평가)

 

Gravity Load : 중력하중으로 고려할 하중조건을 선택 또는 제외합니다.(Selected, Unselected)

기본적으로 모델에 입력된 하중조건 타입이 Dead Load(D), Live Load(L), Roof Live Load(LR), Snow Load(S) 하중조건에 대해서만 보여집니다.

Effective Load : 유효하중 계산을 위한 계수를 설정합니다.

기본적으로 모델에 입력된 하중조건 타입이 Live Load(L), Roof Live Load(LR), Snow Load(S) 하중조건에 대해서만 보여집니다.

스트에 추가하지 않은 하중조건은 계수를 1.0으로 입력한 것과 동일하게 적용 됩니다.

 

Force Delivery Reduction Factor(J) : Gen v.875에서 입력위치 이동(Load Combination대화창 --> 정적 : Pseudo Seismic Force 대화창, RS하중 : Modification Factor for Control)

 
 
 
 
 
 

 
 
 
 


Gen v.871 Load Combination

 

Gen v.875 Pseudo Seismic Load

 

Consider Orthogonal Effect :  지진력의 직교효과를 고려하기 위한 방법을 지정합니다.

Set Load Cases for Orthogonal Effect  : Consider Orthogonal Effect를 적용할 직교하는 두방향의 하중을 지정합니다.

 

100 : 30 Rule : 한 방향 지진하중의 100%와 직각방향 하중의 30%에 대한 하중효과의 절대값을 합하여 구합니다.

SRSS(Square Root of Sum of Square) : 직교하는 두 방향의 하중 효과의 100%를 제곱합제곱근(SRSS)방법으로 조합합니다.

 

Generate Additional Load Combination :  수직지진력 하중조합조건을 생성합니다.

for Vertical Seismic Forces : 수직지진력을 고려한 하중조합을 생성합니다.

   Factors for Seismic Design : 수직지진력 하중조합을 적용하기 위한 계수값을 입력합니다.

                                                    

 

Note. [KISTEC 2013(한국시설안전공단 2013) 관련조항 보기]

중력하중 하중조합, 변형지배거동 하중조합, 하중지배거동 하중조합

 

3. Spread Sheet 형식의 테이블에서 하중조합조건을 입력 또는 수정하는 방법

하중조합조건 대화상자에서 버튼을 클릭하면, 단위하중조건과 먼저 정의된 하중조합조건이 테이블의 행으로 나열된 Spread Sheet 형식의 테이블로 전환됩니다. 방법 1에서 설명된 항목들을 입력하거나 수정하여 하중조합조건을 추가하거나 수정합니다.

 

4. 기존의 하중조합조건파일(fn.LCB)을 불러들여 하중조합조건을 생성하는 방법

하중조합 대화상자의 버튼을 클릭하면 하중조합조건 파일을 불러올 수 있는 열기 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 미리 하중조합조건을 입력해 둔 파일을 선택하여 하중조합조건을 불러들입니다.

fn.LCB 파일의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련번호, 조합방법, 단위하중조건 i, 하중계수 i, 단위하중조건 j, 하중계수 j, ..., 하중조합조건 k, 하중계수 k, 하중조합조건 l, 하중계수 l

예) 1, , 1, 1.0, 2, 1.0

2, , 1, 1.4, 2, 1.7

Note
조합방법
빈칸, 0 : Add
       1 : Envelope
       2 : ABS
       3 : SRSS

 

: 현재 생성된 하중조합조건을 텍스트 파일(*.lcp)로 출력합니다.

 

이미 정의된 하중조합조건을 수정할 경우

하중조합조건 목록표에서 수정을 원하는 하중조합조건을 선택하고 수정합니다.

 

이미 정의된 하중조합조건을 복제할 경우

하중조합조건 목록표에서 복제를 원하는 하중조합조건을 선택하고 버튼을 눌러 복제합니다.

 

이미 정의된 하중조합조건을 삭제할 경우

하중조합조건 목록표에서 삭제를 원하는 하중조합조건을 선택하고 키보드의 [Delete] 키를 눌러 삭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