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T File Quick Reference
*명령어 (Gen의 기능) |
명령어에 대한 간략한 설명 |
; 명령어를 구성하는 변수들 |
각각의 변수들에 대한 설명 (표현방법) {초기값} |
*
X, Y, Z축 : 전체좌표계 기준
* x, y, z축 : 절점좌표계 또는 요소좌표계 기준
*VERSION |
Gen의 버전 표시 |
*UNIT (Unit System) |
단위계 |
; FORCE, LENGTH |
FORCE
: MGT File 생성시 사용된 하중의 단위 {tonf} |
*ENDDATA (End Data) |
Data 입력의 완료 |
*PROJINFO (Project Information) |
프로젝트 기본정보 |
PROJECT,
REVISION, USER, EMAIL, ADDRESS, TEL, FAX, CLIENT, TITLE, |
PROJECT : 프로젝트 이름 |
*STRUCTYPE (Structure Type) |
구조해석에 필요한 기본 데이터 |
; iSTYP, iSMAS, GRAV, TEMPER, bALIGNBEAM, bALIGNSLAB |
iSTYP
: 구조형식 {0} |
*GRIDLINE (Define Line Grid) |
선그리드 |
NAME, X, Y |
NAME : 선그리드 이름 |
*NODE (Nodes) |
절점 데이터 |
; iNO, X, Y, Z |
iNO : 절점번호 |
*ELEMENT (Elements) |
요소 데이터 |
;
iEL, TYPE, iMAT, iPRO, iN1, iN2, ANGLE, iSUB, EXVAL ;
Frame Element |
1.Frame Elementㅡ- |
*MATERIAL (Material) |
재질데이터 |
;
iMAT, TYPE, MNAME, SPHEAT, HEATCO, [DATA1] |
iMAT
: 재질번호 |
*MATL-COLOR |
재질의 색상 데이터 |
; iMAT, W_R, W_G, W_B, HF_R, HF_G, HF_B, HE_R, HE_G, HE_B, bBLEND, FACT |
iMAT:
재질번호 |
*TDM-FUNC (Time Dependent Material Function) |
콘크리트의 크리프/건조수축 함수 |
; FUNC=NAME, FTYPE, SCALE, CTYPE, ELAST, DESC ;
line 1 |
FUNC
: Creep(Shrinkage)을 정의하는 함수
이름 |
*TDM-TYPE (Time Dependent Material) |
시간의존 재질데이터(크리프, 건조수축) |
;
NAME=NAME, CODE, STR, HU, VOL, AGE, TYPE, [ACI1], [ACI2] |
1.
공통사항 |
*TDM-ELAST (Time Dependent Material(Comp. Strength)) |
콘크리트의 시간에 따른 탄성계수(압축강도) 변화 |
;
NAME=NAME, TYPE, CODE, STRENGTH, A, B |
1.
공통사항 |
*TDM-LINK (Time Dependent Material Link) |
재질의 시간에 따른 특성을 기입력된 재질데이터에 할당 |
; iMAT, TDM-TYPE1(CREEP/SHRINKAGE), TDM-TYPE2(ELASTICITY) |
iMAT
: 시간이력 특성을 할당할 재질번호 |
*ELEM-DEPMATL (Change Element Dependent Material Property) |
시간의존특성의 자동계산에 적용할 기하형상 치수(h)를 변경 |
; ELEM_LIST, H |
ELEM_LIST
: 변경할 요소의 번호 |
*SECTION (Section) |
트러스요소 또는 보요소의 단면데이터 |
;
iSEC, TYPE, SNAME, OFFSET, SHAPE, CCSHAPE [DATA] |
1. 공통사항 |
L |
Angle |
C |
Channel |
H |
H-Section |
T |
T-Section |
B |
Box |
P |
Pipe |
2L |
Double Angle |
2C |
Double Channel |
SB |
Solid Rectangle |
SR |
Solid Round |
CC |
Cold Formed Channel |
|
|
표 1. 입력단면의 형상기호(SNAME)
*SECT-COLOR |
단면의 색상 데이터 |
; iSEC, W_R, W_G, W_B, HF_R, HF_G, HF_B, HE_R, HE_G, HE_B, bBLEND, FACT |
iSEC
: 단면번호 |
*SECT-SCALE (Section Stiffness Scale Factor) |
선요소의 단면성질에 증감계수 적용 |
; iSEC, AREA_SF, ASY_SF, ASZ_SF, IXX_SF, IYY_SF, IZZ_SF, WGT_SF |
iSEC
: 증감계수를 적용할 단면 선택 |
*TS-GROUP (Tapered Section Group) |
변단면(Tapered Section) 부재의 그룹화 |
; NAME, ELEM_LIST, ZVAR, ZEXP, ZFROM, ZDIST, YVAR, YEXP, YFROM, YDIST |
NAME
: 변단면 그룹명 |
*THICKNESS (Thickness) |
판형요소의 두께데이터 |
;
iTHK, TYPE, bSAME, THIK-IN, THIK-OUT |
1. 공통사항 |
*THIK-COLOR |
두께 데이터의 색상 데이터 |
; iTHK, W_R, W_G, W_B, HF_R, HF_G, HF_B, HE_R, HE_G, HE_B, bBLEND, FACT |
iTHK
: 두께 번호 |
*TDN-PROPERTY (Tendon Property) |
텐던 특성과 프리스트레스 적용방법 지정 |
; NAME, TYPE, MATL, AREA, DIA, RC, FF, WF, US, YS, LT, ASB, ASE |
NAME
: 정의하는 텐던의 이름 |
*TDN-PROFILE (Tendon Profile) |
텐던이 할당된 요소 단면에서의 텐던 형상과 배치방법 지정 |
; NAME=NAME, TDN-PROPERTY, ELEM_LIST, BEGIN,
END, CURVE |
NAME
: 텐던의 이름 |
*CONSTRAINT (Supports) |
절점의 자유도 구속조건 |
; NODE_LIST, CONST(Dx,Dy,Dz,Rx,Ry,Rz), GROUP |
NODE_LIST
: 절점번호 |
*SPRING (Point Spring Supports) |
절점에 부여되는 탄성지지 조건 |
; NODE_LIST, SDx, SDy, SDz, SRx, SRy,SRz, GROUP |
NODE_LIST
: 절점번호 |
*GSPRTYPE (Define General Spring System) |
일반 지지 스프링의 강성 |
; NAME, SDx1, SDy1, SDy2, SDz1, SDz2, SDz3, ..., SRz1, ..., SRz6 |
NAME
: 스프링 강성의 이름 |
*GSPRING (General Spring Supports) |
절점에 부여되는 일반지지 스프링 조건 |
; NODE_LIST, TYPE-NAME, GROUP |
NODE_LIST
: 절점번호 |
*ELASTICLINK |
두 절점을 연결하는 탄성연결요소 |
;
iNODE1, iNODE2, Link, ANGLE, SDx, SDy, SDz, SRx, SRy, SRz, DRy,
DRz, |
iNODE1
: 탄성연결요소의 첫번째 절점번호 |
*FRAME-RLS (Beam End Release) |
보요소의 양단부 접합조건 |
;
ELEM_LIST, FLAG-i, Fxi, Fyi, Fzi, Mxi, Myi, Mzi ;
1st Line |
ELEM_LIST
: 요소번호 |
*OFFSET (Beam End Offsets) |
보요소의 양 끝단에 강단이격거리나 편심을 고려 |
;
ELEM_LIST, TYPE, RGDXi, RGDYi, RGDZi, RGDXj, RGDYj, RGDZj, GROUP |
ELEM_LIST
: 요소번호 GLOBAL인
경우 |
*PLATE-RLS (Plate End Release) |
판요소의 절점연결조건(Hinge, Fixed Joint) 및 Partial Fixity 지정 |
; ELEM_LIST, N1, N2, N3, N4, GROUP |
ELEM_LIST
: 요소번호 |
*RIGIDLINK (Rigid Link) |
주절점과 종속절점의 기구학적 구속조건 |
; M-NODE, DOF, S-NODE LIST, GROUP |
M-NODE
: 주절점(Master Node)의 번호 |
*RLS-DIAP (Diaphragm Disconnect) |
Story에 의해서 자동 형성된 Floor Rigid Diaphragm으로부터 선택된 절점을 분리 |
; NODE_LIST |
NODE_LIST : 절점번호 |
*PANEL-ZONE |
강간이격거리 |
; bCALC, FACTOR, iPOSITION |
bCALC
: 강단이격길이 자동고려 여부 (YES/NO) {YES} |
*LOCALAXIS (Node Local Axis) |
임의의 절점에 절점좌표계를 선언하여 경계조건의 입력이나 절점좌표계에 따른 반력을 출력하고자 할 경우 사용 |
;
NODE_LIST, iMETHOD, ANGLE-x, ANGLE-y, ANGLE-z |
NODE_LIST
: 절점 번호 1. Angle인 경우 2. Point인
경우 3. Vector인 경우 |
*STORY-DGROUP (Story Diaphragm Group for Construction Stage) |
Story기능으로 자동 정의된 층 다이어프램 정보를 경계조건그룹에 할당 |
; STORY, GROUP |
STORY
: 층이름 |
*STLDCASE (Static Load Cases) |
단위하중조건 |
; LCNAME, LCTYPE, DESC |
LCNAME
: 사용자가 정의할 단위하중조건 이름 |
*BLDG-CTRL (Building Control Data) |
절점에 부여되는 절점질량데이터 |
;
bBASE, bMASS, bCENTER, USE ;
Line 1 |
bBASE
: 지표면의 높이 적용여부 |
*STORY (Story) |
층 데이터(Z축 좌표에 의해 지정) |
; NAME, LEVEL, bFLDIAP, WINDWX, WINDWY, WINDCX, WINDCY, ECCX, ECCY |
NAME
: 층이름 |
*NODALMASS (Nodal Masses) |
절점에 부여되는 절점질량데이터 |
; NODE_LIST, mX, mY, mZ, rmX, rmY, rmZ |
NODE_LIST
: 절점번호 |
*DIAP-MASS (Floor Diaphragm Masses) |
건물인 경우 임의 층에 부여되는 층질량데이터 |
;
1, SSTORY, ESTORY, MP, MA, XC, YC ;
point |
SSTORY
: 층의 시작번호 1. 점질량(Point
Mass)으로 입력할 경우 2. 직선질량(Line
Mass)으로 입력할 경우 3. 삼각면질량(Triangular
Area Mass)으로 입력할 경우 4. 직사각면질량(Rectangular
Area Mass)으로 입력할 경우 5. 원호질량(Circular
Arc Mass)으로 입력할 경우 6. 부채꼴 면질량(Circular
Area Mass)으로 입력할 경우 |
*LOADTOMASS (Loads to Masses) |
입력 하중의 수직성분 하중값을 집중질량 데이터로 변환 |
;
*LOADTOMASS, DIR, bNODAL, bBEAM, bFLOOR, bPRES, GRAV |
DIR
: 변환할 질량을 고려할 방향 지정 {XY} |
*NAMEDPLANE (Named Plane) |
임의의 평면을 지정하여 이름 부여 |
;
NAME, TYPE, TOL, X1, Y1, Z1, X2, Y2, Z2, X3, Y3, Z3 |
NAME
: 평면이름 |
*NAMEDUCS (Named UCS) |
저장되어 있는 UCS좌표계를 재호출하여 적용 |
; NAME, OX, OY, OZ, VXX, VXY, VXZ, VYX, VYY, VYZ |
NAME
: 저장된 사용자좌표계 목록 |
*GROUP (Group) |
원하는 대상에 특정이름을 부여하여 그룹화 |
; NAME, NODE_LIST, ELEM_LIST |
NAME
: Group 이름 |
*BNDR-GROUP (Boundary Group) |
경계조건이 입력된 절점이나 요소에 특정 Boundary Group명을 부여하여 그룹화 |
; NAME |
NAME : 새로 생성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할 Boundary Group명 |
*LOAD-GROUP (Load Group) |
하중이 입력된 절점이나 요소에 특정 Load Group명을 부여하여 그룹화 |
; NAME |
NAME : 새로 생성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할 Load Group명 |
*USE-STLD |
해당 단위하중 조건 |
USE-STLD : 입력된 단위하중을 표시하고 그에 따른 하중 등을 표시 |
*SELFWEIGHT (Self Weight) |
해석모델의 자중을 하중으로 고려 |
; *SELFWEIGHT, X, Y, Z, GROUP |
X
: 전체좌표계 X축 방향 성분에 대한 자중증감계수 |
*CONLOAD (Nodal Loads) |
절점에 부여되는 집중하중 |
; NODE_LIST, FX, FY, FZ, MX, MY, MZ, GROUP |
NODE_LIST
: 절점 번호 |
*SPDISP (Specified Displacement of Supports) |
지지점의 강제변위 |
; NODE_LIST, FLAG, Dx, Dy, Dz, Rx, Ry, Rz, GROUP |
NODE_LIST
: 절점 번호 |
*BEAMLOAD (Element Beam Loads) |
보요소에 재하되는 보하중 |
; ELEM_LIST, CMD, TYPE, DIR, bPROJ, D1, P1, D2, P2, D3, P3, D4, P4, GROUP |
ELEM_LIST
: 요소번호 |
*FLOADTYPE (Define Floor Load Type) |
바닥하중의 정의 |
;
NAME, DESC ;
1st line |
NAME
: 바닥하중 이름 |
*FLOAD-COLOR |
바닥하중의 색상데이터 |
; NAME, W_R, W_G, W_B, HF_R, HF_G, HF_B, HE_R, HE_G, HE_B, bBLEND, FACT |
NAME
: 바닥하중 이름 |
*FLOORLOAD (Floor Loads) |
폐구간에
압력하중(바닥판하중)을 보요소 또는 벽요소 (또는 수직 직사각형 형상의 |
;
LTNAME, iDIST, ANGLE, iSBEAM, SBANG, SBUW, DIR, bPROJ, DESC, |
LTNAME
: 바닥하중의 이름 |
*PRESTRESS (Prestress Beam Loads) |
프리스트레스(Prestress) 하중 |
; ELEM_LIST, LTYPE, TENS, DI, DM, DJ, GROUP |
ELEM_LIST
: 절점 번호 |
*PRETENSION (Pretension Loads) |
프리텐션 하중 |
; ELEM_LIST, TENS, GROUP |
ELEM_LIST
:요소번호 |
*FINISHINGLOADS (Finishing Material Loads) |
마감 하중 |
;
ELEM_LIST, COVERING-TYPE, FACE1, FACE2, FACE3, FACE4, D, DENSITY, |
ELEM_LIST
: 요소번호 |
*PRESSURE (Pressure Loads) |
압력하중 |
;
ELEM_LIST, CMD, ETYP, LTYP, DIR, VX, VY, VZ, bPROJ, PU, P1, P2,
P3, P4, |
1. 공통사항 |
*SYSTEMPER (System Temperature) |
열응력해석시 최종온도 |
; *SYSTEMPER, SYSTEMP, GROUP |
SYSTEMP
: 구조물의 최종온도 |
*NDTEMPER (Nodal Temperatures) |
임의 절점의 절점온도 |
; NODE_LIST, TEMPER, GROUP |
NODE_LIST
: 절점 번호 |
*ELTEMPER (Element Temperatures) |
임의 요소의 요소온도 |
; ELEM_LIST, TEMPER, GROUP |
ELEM_LIST
: 요소 번호 |
*BSTEMPER (Beam Section Temperature) |
보단면 온도하중 |
;
ELEM_LIST, DIR, NUM, GROUP ;
line 1 |
ELEM_LIST
: 요소 번호 |
*THERGRAD (Temperature Gradient) |
보요소 또는 판요소의 상단 및 하단 온도차 |
;
ELEM_LIST, iETYP, TZ, bUSEHZ, HZ, TY, bUSEHY, HY, GROUP |
ELEM_LIST
: 요소 번호 |
*WIND (Wind Loads) |
풍하중 |
;
CODE=CODE, SFX, SFY, DESC |
CODE
: 풍하중의 계산에 적용할 기준 선택 |
*SEIS (Static Seismic Loads) |
등가정적지진하중 |
;
CODE=CODE, SFX, SFY, ECCX, ECCY, DESC |
CODE
: 지진하중의 계산에 적용할 기준 선택 |
*TDN-PRESTRESS (Tendon Prestress Loads) |
재령기간 차이에 의한 시간의존 특성 고려 |
; TDN-NAME, FORCE/STRESS, JACKING, BEGIN, END, iGROUTING, GROUP |
TDN-NAME
: 하중을 도입할 텐던의 명칭 |
*TIMELOAD (Time Load) |
재령기간 차이에 의한 시간의존 특성 고려 |
; ELEM_LIST, DAY, GROUP |
ELEM_LIST
: Time Load를 고려하는 요소번호 |
*CREEPCOEF (Creep Coefficient Construction Stage) |
재령기간 차이에 의한 시간의존 특성 고려 |
; ELEM_LIST, CREEP, GROUP |
ELEM_LIST
: 크리프 계수를 고려하는 요소번호 |
*PNLOADTYPE (Plane Load Type) |
평면하중의 형태와 크기 |
;
NAME=NAME, TYPE(POINT/LINE/AREA), DESC |
NAME
: 평면하중의 이름 1. POINT 경우 2. LINE 경우 3. AREA 경우 |
*PLANELOAD (Plane Loads) |
판요소와 입체요소의 임의의 위치에 평면하중 재하 |
;
LCNAME, LTNAME, ETYPE, GROUP |
LCNAME
: 단위하중조건 이름 |
*INIF-CTRL (Initial Force Control Data) |
입력된 초기 축력을 별도의 하중조건의 결과로 저장 |
; bADD, LOADCASE |
bADD
: 초기 축력을 요소의 부재력으로 입력하도록 선택
(YES/NO) {NO} |
*INIFORCE (Initial Forces for Geometric Stiffness) |
기하강성 계산을 위한 초기 축력을 임의의 부재에 입력 |
; ELEM_LIST, DIR, FORCE |
ELEM_LIST
: 초기 축력을 입력할 요소 번호 |
*SFUNCTION (Specturm Function) |
응답스펙트럼 해석시 필요한 스펙트럼 데이터 |
;
FUNC=NAME, iTYPE, SCALE, GRAV, DESC ;
line 1 |
NAME
: 스펙트럼데이터의 이름 |
*SPLDCASE (Spectrum Load Cases) |
응답스펙트럼해석시 필요한 기초 데이터 (하중조건) |
; NAME, FUNC, DIR, ANGLE, SCALE, DESC |
NAME
: 응답스펙트럼해석조건의 이름 |
*TFUNCTION (Time History Function) |
시간이력 하중함수 |
;
FUNC=NAME, 1, iTYPE, SCALE, GRAV, DESC ;
line 1 |
NAME
: 시간이력함수 이름 |
*THLDCASE (Time History Load Cases) |
시간이력해석의 수행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 (하중조건) |
NAME=NAME,
DESC |
NAME
: 시간이력함수 하중조건 이름 |
*DYN-NLOAD (Dynamic Nodal Loads) |
시간하중함수를 임의의 절점에 재하 |
; NODE_LIST, THIS, FUNC, DIR, ARTIME, SCALE |
NODE_LIST
: 절점 번호 |
*GROUND-ACC |
시간하중함수를 지반가속도로 입력 |
;
THIS, FUNCX, SCALEX, ATIMEX, FUNCY, SCALEY, ATIMEY, FUNCZ, SCALEZ, |
THIS
: 입력된 시간이력해석조건을 선택 |
*DYN-SLOAD (Time Varing Static Load) |
시간하중함수를 절점에 특정 방향으로 재하 |
; THIS, SLOAD, FUNC, ATIME, SCALE |
THIS
: 시간이력해석조건 이름 |
*TH-GRAPH (Time History Graph) |
시간이력해석결과를
시간(변위, 트러스/보요소 또는 경계비선형요소의 부재력과 응력)에 |
; NAME, iENTITY, iFTYPE, iSTYPE, iPOS, iCOMP, bALL, iSEL, iOPT |
1.
공통사항 |
*LINELANE (Traffic Line Lanes) |
차량이동하중을 재하하기 위한 차선 데이터 입력 |
;
NAME=NAME, LDIST, GROUP, SKEWS, SKEWE, MOVING ;
line 1 |
NAME
: 정의하는 차선 이름 |
*SURFLANE (Traffic Surface Lanes) |
차량이동하중을 재하하기 위한 차선면 데이터 입력 |
;
NAME=NAME, WIDTH, START, END, MOVING ;
line 1 |
NAME
: 정의하는 차선면 이름 |
*SURFINEL (Plate Elements for Influence Surface) |
추가 영향면 해석영역 입력 |
; ELEM_LIST |
ELEM_LIST : 판요소번호 |
*LSUPPORT (Lane Supports - Negative Moments at Interior Piers) |
이동하중해석에 사용되는 연속보 지정 |
; ELEM_LIST, POSITION |
ELEM_LIST
: 연속보 요소번호 |
*LSUPPORT2 (Lane Supports - Reaction at Interior Piers) |
이동하중해석에 사용되는 내부지점 지정 |
; NODE_LIST |
NODE_LIST : 내부지점의 절점번호 |
*VEHICLE (Vehicles) |
차량하중 |
;
NAME=NAME, 1 |
NAME
: 차량하중 이름 |
규 준 |
표준차량하중 명칭 |
한국도로교표준시방서 |
DB-24, DB-18, DB-13.5, DL-24, DL-18, DL-13.5 |
한국표준열차하중 |
L-25,
L-22, L-18, L-15, S-25, S-22, S-18, S-15, HL |
AASHTO Standard |
H15-44,
HS15-44, H15-44L, HS15-44L, H20-44, HS20-44, |
AASHTOLRFD Load |
HL-93TRK, HL-93TDL, HS20-FTG |
Caltrans Standard |
P5, P7, P9, P11, P13 |
표 2. 규준별 표준차량 하중
*VCLASS (Vehicle Classes) |
이동하중해석에 사용되는 차량하중그룹 데이터 |
;
NAME=NAME ;
line 1 |
NAME
: 차량하중그룹 입력 |
*MVLDCASE (Moving Load Cases) |
차량하중그룹과 차선을 사용하여 이동하중조건 지정 |
;
NAME=NAME, SCALE1, SCALE2, SCALE3, SCALE4, COMB, DESC |
NAME
: 이동하중조건의 이름 입력 |
*SM-GROUP (Settlement Group) |
지점침하 그룹 |
; GRNAME, DISPLACEMENT, NODE_LIST |
GRNAME
: 지점 침하 그룹 이름 |
*SMLDCASE (Settlement Load Cases) |
지점침하 그룹을 단위하중조건으로 지정하는 데이터 |
;
NAME=NAME, iSMIN, iSMAX, SCALE, DESC ;
line 1 |
NAME
: 지점침하 하중조건의 이름 입력 |
*SEQUENCE-WZD |
건축물의 시공단계에 대한 요소의 생성 및 하중의 작용시기 정의 |
;
*SEQUENCE-WZD, LCNAME, DURATION, AGE |
LCNAME
:시공단계해석시 적용되는 단위하중조건 |
*COMPBOXLC (Pre-Combined Load Cases for Composite Bridge) |
단면성질의 변화를 고려하기 위한 합성전 하중조건을 입력 |
; LCNAME1, LCNAME2, ..., LCNAMEn |
LCNAME1 : 합성전 하중으로 사용할 하중조건을 선택 |
*HYD-PRTEMPER (Prescribed Temperature) |
수화열해석시 고정온도조건 입력 |
; NODE_LIST, TEMPERATURE, GROUP |
NODE_LIST
: 고정온도조건 입력할 절점 |
*HYD-PCOOLELEM (Pipe Cooling) |
온도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파이프쿨링 데이터 입력 |
; NAME=NAME, DIAMETER, COEF ; line 1 |
NAME
: 파이프쿨링 그룹명 입력 |
*HYD-HEATSRCF (Heat Source Function) |
수화과정의 발열함수 |
; FUNC=NAME, TYPE, TEMPER ; TYPE=CONST |
1.
공통사항 |
*HYD-CONVCOEF (Convection Coefficient Function) |
구조물 대류경계면에서 대류계수의 변화 |
; FUNC=NAME, TYPE, COEFFICIENT ; TYPE=CONST |
1.
공통사항 |
*HYD-AMBTEMPF (Ambient Temperature Function) |
수화열 해석에 적용할 외기온도 함수 정의 |
; FUNC=NAME, TYPE, TEMPER ; TYPE=CONST |
1.
공통사항 |
*HYD-HEATSRC (Assign Heat Source) |
발열함수를 각 요소(타설된 콘크리트)에 할당 |
; ELEM_LIST, FUNCNAME |
ELEM_LIST
: 발열함수를 할당할 요소번호 |
*HYD-CONBNDR (Element Convection Boundary) |
대류에 의한 열전달 경계조건 입력 |
; ELEM_LIST, CCFUNC, ATFUNC, FACE, GROUP |
ELEM_LIST
: 대류 경계조건을 입력할 요소 번호 |
*HYD-STAGE (Define Construction Stage For Hydration) |
수화열해석시 시공단계별 해석을 수행하기 위한 시공단계 정의 |
; NAME=NAME ; line 1 |
NAME
: 정의하려는 시공단계의 이름 입력 |
*HINGE-TYPE (Time Dependent Material) |
Pushover해석을 위한 소성힌지의 형식 정의 |
;
NAME=NAME, TYPE ;
1st line |
1.
AXIAL, MOMENT, SHEAR, PMM인 경우 |
*HINGE-ASSIGN (Assign Pushover Hinges) |
정의된 힌지의 속성을 각 요소에 할당 |
; ELEM_LIST, HINGE_TYPE, LOCATION |
ELEM_LIST
: 요소번호 |
*INITIAL-LOAD (Initial Load) |
Pushover 해석을 수행하기 전에 지정된 초기하중 |
; LCNAME1, FACT1, LCNAME2, FACT2, ... ; from line 1 |
LCNAME1
: 단위하중조건 |
*POLDCASE (Pushover Load Cases) |
Pushover 해석을 위한 하중조건 지정 |
;
NAME=NAME, DESC ;
1st line |
NAME
: 단위하중조건 이름 |
*PUSHOVER-CTRL (Pushover Analysis Control Data) |
Pushover해석을 위한 해석조건 지정 |
; iMAXNUM, iMAXITER, TOL |
iMAXNUM
: 목표변위까지의 증분스텝 수 |
*ADDITIONAL-STEP (Additional Steps for Pushover Analysis) |
사용자가 결과확인을 하고자 하는 임의의 Step위치 결정 |
; STEP1, RATIO1, STEP2, RATIO2, ... ; from line 1 |
STEP1
: 추가 스텝위치 결정을 위한 기준 스텝 |
*LOAD-SEQ (Loading Sequence) |
기하비선형 해석에 적용된 하중순서 지정 |
; LCNAME1, LCNAME2, ... ; from line 1 |
LCNAME1 : 단위하중조건 명칭 |
*STAGE (Define Construction Stage) |
하중단계 지정 |
;
NAME=NAME, DURATION, bSAVESTAGE, bSAVESTEP ;
line 1 |
NAME
: 시공단계의 이름 입력 |
*LOADCOMB (Combinations) |
정적해석,
이동해석, 응답스텍트럼해석, 시간이력해석 결과들을 조합하기 위한 |
;
NAME=NAME, KIND, ACTIVE, iTYPE, DESC ;
line 1 |
NAME
: 하중 조합조건 이름 |
*ANAL-CTRL |
구조물의 요소별 기본 경계조건의 도입과 비선형요소를 사용한 해석을 수행하는 경우에 최대반복횟수와 수렴오차한계 |
;
bARDC, bANRC, iTYPE, iITER, TOL ;
iTYPE=0 |
bARDC
: 회전자유도를 갖지 않는 요소의 사용시 회전자유도를 |
*PDEL-CTRL (P-Delta Analysis Control) |
구조물의 P-Delta 해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하중조건과 반복수행 제어 |
;
iITER, TOL ;
line 1 |
iITER
: P-Delta 해석의 반복횟수 입력 {5} |
*BUCK-CTRL (Buckling Analysis Control) |
구조물의 좌굴해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하중조건과 관련 데이터 |
;
iMODENUM, iITER, TOL ;
line 1 |
iMODENUM
: 좌굴모드의 개수 입력 {0} |
*EIGEN-CTRL (Eigenvalue Analysis Control) |
고유치해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제어용 데이터 |
;
TYPE, iFREQ, iTER, iDEM, TOL ;
TYPE=EIGEN |
TYPE
: 해석용 벡터형태 선택 |
*SPEC-CTRL (Response Spectrum Analysis Control) |
응답스펙트럼해석시 모드별 조합방법 |
; TYPE, DAMPING, bADDSIGN |
TYPE
: 응답스펙트럼해석의 모드별 조합방법 지정 |
*MOVE-CTRL (Moving Load Analysis Control) |
이동하중해석에 적용되는 해석방법과 요소의 결과 출력 위치 |
;
METHOD, POINT, iIGPN, PLATE, bSTRCALC, FRAME, bCSTRCALC, bREAC, |
METHOD
: 이동하중해석방법 지정 {1} |
*HYD-CTRL (Hydration Analysis Control) |
수화열해석에 필요한 해석조건 지정 |
;
bLAST-FINAL, STAGE, CN-FACTOR, INIT-TEMPER, EVALUATION, bCNS, |
bLAST-FINAL
: 시공단계별 수화열해석시 구조물의 최종단계(Final Stage)로 |
*NONL-CTRL (Non-linear Analysis Control) |
대변형을 고려한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해석조건 지정 |
;
ITER, LSTEP, MAX, bENGR, EV, bDISP, DV, bFORC, FV |
ITER
: 반복해석 방법 선택 1. Newton-Raphson 경우 2. Arc-Length 경우 |
*STAGE-CTRL (Construction Stage Analysis Control Data) |
시공단계별 해석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해석조건 지정 |
;
bLAST-FINAL, FINAL-STAGE ;
line 1 |
bLAST-FINAL
: 시공단계별 해석시 구조물의 최종단계(Final Stage)로 고려할 |
*DGN-MATL (Modify Steel(Concrete) Material) |
콘크리트 및 철근의 재질에 대하여 일부를 수정하거나 입력된 재질데이터를 변경하고 하는 경우 사용 |
;
iMAT, TYPE, MNAME, [DATA1] ;
STEEL |
iMAT
: 재질번호 |
*DGN-SECT |
임의의 선분을 따라 절단된 절단선에서 판요소의 내력을 그래프 형태로 출력 |
;
iSEC, TYPE, SNAME, OFFSET, SHAPE, [DATA], {CCSHAPE} |
* SECTION 참조 |
*DGN-CTRL (General Design Data) |
설계시 필요한 데이터 입력 |
;
bFRAMEX, bFRAMEY, bAUTOKF, STLD1, STLD2, STLD3, STLD4, STLD5,
RT |
bFRAMEX
: 전체좌표계 X방향 골조형식의 횡지지여부 선택 |
*DGN-STEEL (Steel Design Code) |
철골부재의 강도검증 수행 시 적용할 설계기준과 설계 대상 구조물에 포함된 수평부재(보 또는 거더)의 횡지지 여부 지정 |
; CODE, bBRACED, bSPSEIS, iCLASS |
CODE
: 설계기준의 종류 {AIK-ASD83} |
*DGN-CONC (Concrete Design Code) |
철근콘크리트부재의 단면설계 또는 강도검증 수행시 적용할 설계기준과 내진설계를 위한 특별규정의 적용 여부 지정 |
;
CODE, bSPECIAL PHI-B, PHI-T, PHI-C1, PHI-C2, PHI-V, RHOW, RHOC,
RHOR, KIND |
CODE
: 철근콘크리트 설계기준의 종류 {KCI-USD99} |
*DGN-SRC (SRC Design Code) |
철골철근콘크리트 강도검증 수행시 적용할 설계기준 |
; CODE, iMATERIAL, bSPSEIC, iCLASS |
CODE
: 철골철근콘크리트 설계기준 {SSRC79} |
*CB-FACTOR (Bending Coefficient) |
부재
강축 휨모멘트에 의한 압축 플랜지의 허용휨응력 또는 설계휨강도 계산시 |
; ELEM_LIST, bAUTOCALC, CB |
ELEM_LIST
: 요소번호 |
*CM-FACTOR (Moment Factor) |
보-기둥부재의 모멘트계수 |
; ELEM_LIST, bAUTOCALC, CMY, CMZ |
ELEM_LIST
: 요소번호 |
*CV-FACTOR (Shear Coefficient) |
전단계수 |
; ELEM_LIST, bAUTOCALC, CV |
ELEM_LIST
: 요소번호 |
*DFN-ALLOWABLE (Specify Allowable Stress) |
사용자가 입력한 허용응력 값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허용응력 입력 |
; ELEM_LIST, FA, FT, FBy, FBz, FV |
ELEM_LIST
: 요소번호 |
*F-MAGNIFY (Moment Magnifier) |
모멘트확대계수 |
; ELEM_LIST, B1y, B1z, B2y, B2z |
ELEM_LIST
: 요소번호 |
*K-FACTOR (Effective Length Factor) |
비지지구간의 유효좌굴길이계수 |
; ELEM_LIST, Ky, Kz |
ELEM_LIST
: 요소번호 |
*LENGTH (Unbraced Length)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비지지길이 및 부재강축에 대한 압축측 플랜지의 횡지지길이 |
; ELEM_LIST, Ly, Lz, bNOTUSE, Lb, bAUTOCALC, Le |
ELEM_LIST
: 요소번호 |
*REDUCTION (Modify Live Load Reduction Factor) |
적재하중 저감계수 |
; ELEM_LIST, FACTOR |
ELEM_LIST
: 절점 번호 |
*MEMBERTYPE (Modify Member Type) |
철골부재 설계 및 철근콘크리트부재 설계시 적용되는 부재 종류 |
; ELEM_LIST, TYPE |
ELEM_LIST
: 요소번호 |
*STIFFENER (Longitudinal Stiffener of Box Section) |
상자형단면 보강재 크기와 배치간격 |
; iSEC, ASTF, BSTF, TSTF, iNOy, iNOz |
iSEC
: 단면 성질번호 |
*LIMITSRATIO (Limit Slenderness Ratio) |
허용 한계세장비 |
; ELEM_LIST, bNOTCHECK, COMP, TENS |
ELEM_LIST
: 요소번호 |
*DGNCRITERIA (Design Criteria of Rebar) |
주철근과
전단철근의 규격을 입력하고,전단벽부재의 경우 수직철근 및 수평철근의 |
;
STIR, SIDE, DT, DB, MAIN1, MAIN2, MAIN3, MAIN4, MAIN5, iSRBN |
1. Beam인 경우 |
*REBAR-BEAM (Modify Beam Section Data) |
자동설계 또는 강도검증을 수행하고자 하는 보부재의 단면치수와 철근배근데이터 |
;
iSEC, SBARNAME, DT, DB ;
line 1 |
iSEC
: 보부재의 단면성질번호 |
*REBAR-COLUMN (Modify Column Section Data) |
자동설계 또는 강도검증을 수행하고자 하는 기둥부재의 단면치수와 철근배근데이터 |
; iSEC, HOOP, RBNAME, iNQRB, iNROW, DO, SRBNAME, SPACE, iSRBN |
iSEC
: 기둥부재의 단면성질번호 |
*REBAR-BRACE (Modify Brace Section Data) |
자동설계 또는 강도검증을 수행하고자 하는 대각부재의 단면치수와 철근배근데이터 |
; iSEC, HOOP, RBNAME, iNQRB, iNROW, DO, SRBNAME, SPACE, iSRBN |
iSEC
: 대각부재의 단면성질번호 |
*REBAR-SRC (Modify SRC Section Data) |
철골철근콘크리트 합성기둥부재의 강도검증시 필요한 철골철근콘크리트 단면성질데이터와 철근배근데이터 |
; iSEC, bCALC, SPACE, RBNAME, iNQRB, iNROW, DO, SRBNAME, SSPACE |
iSEC
: SRC부재의 단면성질번호 |
*REBAR-WALL (Modify Wall Section Data) |
강도검증을 수행하고자 하는 전단벽 부재별 설계 제한사항 또는 철근의 배근위치, 배근개수, 철근규격, 전단벽의 두께 |
;
iWID, STORY, bMODELTHK, THIK, VRBNAME, VRBSPACE, ERBNAME, |
iWID
: 전단벽 부재번호 |
*WALLMARK (Modify Wall Mark Data) |
전단벽부재의
자동설계 또는 강도검증을 수행할 때 전단벽을 구분하는 그룹명칭이나 |
; MARKNAME, WID_LIST |
MARKNAME
: 전단벽부재를 구분하는 그룹명칭 |
*SUP-EQ (Scale Up Factor for Earthpuake) |
지진하중조건이나 지진하중이 포함된 하중조합에 대한 증대계수로 중국규준에 적용됨 |
;
ELEM_LIST, LC-AXIAL, LC-MOMENT, LC-SHEAR, LCB-AXIAL, LCB-MOMENT |
ELEM_LIST
: 요소번호 |
*CUTLINE (Cutting Line) |
임의의 선분을 따라 절단된 절단선에서 판요소의 내력을 그래프 형태로 출력 |
; NAME, DIR, PT1X, PT1Y, PT1Z, PT2X, PT2Y, PT2Z, iR, iG, iB |
NAME
: 등록할 Cutting Line의 이름 입력 |
*CUTLINE2 (Plate Cutting Line Diagram) |
임의의 선분을 따라 절단된 절단선에서 판요소의 내력을 그래프 형태로 출력 |
;
NAME, DIR, PT1X, PT1Y, PT1Z, PT2X, PT2Y, PT2Z, PT3X, PT3Y, PT3Z, |
NAME
: 등록할 Cutting Line의 이름 입력 |
*UNKCONS (Unknown Load Factor Constraints) |
미지하중계수를 포함하는 하중조합결과가 만족해야 하는 구속조건 입력 |
; NAME, TYPE, iID, iPOINT, iCOMP, COND, bVALUE, VALUE, iOBJ |
NAME
: 구속조건의 이름 입력 |
*UNKFACTOR (Unknown Load Factor Data) |
미지하중계수를 구하기 위한 조건들을 입력하여 새로운 미지하중계수 그룹을 생성 |
;
NAME=NAME, LCOMB, FTYPE, SIGN ;
1st line |
NAME
: 미지하중계수 그룹의 이름 입력 |
*BATCHCVT-MVLTRC (Batch Conversion from MVLRC to Static Load) |
여러
위치에서 이동하중을 각각 정적하중으로 변환하여 하나의 MGT 파일로 |
;
NAME=NAME, TYPE ;1st
line |
NAME
: MGT 파일 이름 |
*HYD-NODE (Heat of Hydration Node) |
수화열 해석의 시간이력해석결과를 출력하고자 하는 절점과 응력의 방향성분을 입력 |
; NAME, iNODE, iCOMP |
NAME
: 시간이력해석 그래프의 이름 |
*REAC-POS (Reaction Position) |
ILM공법 교량의 시공단계별 각 지점에 해당하는 절점 정보 |
;
NAME=NAME, DESC ;
line 1 |
NAME
: 지점 이름 |
*COLUMN-SHORTENING (Column Shortening) |
고층 건축물의 시공단계별 해석후 기둥의 축방향 처짐량을 그래프로 출력 |
; NAME, X, Y, TOL, DISP-TYPE, CONST-STAGE |
NAME
: 그래프명칭 |
*LOCALDIR-FSUM (Data for Local Direction Force Sum) |
국부 좌표계에 대한 하중조건 및 조합 결과 |
;
NAME=NAME, MODE, ANAL, LCB, TOL, bZVECTOR, ZVX, ZVY, ZVZ |
NAME
: 하중조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