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탭

Masonry
Infill Strut Stiffness Table(Kmi탭)
Member
: 기둥 요소(대표)번호
Infill
Strut Name : Define Masonry Infill Strut에서 정의된
등가 스트럿 이름
Masonry
Infill Wall Size
Lm : 조적 채움벽의 순너비
hm : 조적 채움벽의 순높이
tm : 조적 채움벽의 두께
Opening Area : 조적채움벽의 개구부 면적
Material
Em : 조적채움벽의 탄성계수
Gm : 조적조의 전단탄성계수, G=E/{2*(1+v)}
Kfm Scale Factor : 등가 캔틸레버 기둥의
휨강성(Kfm) 계산에 적용되는 벽체의 유효 휨강성계수
Parameter
Aw : 채움벽의 면적
Im : 조적채움벽의 단면이차모멘트, Im = (tm
x Lm^3)/12
dm : 조적채움벽의 대각선길이, dm = (Lm^2
+ hm^2)^(1/2))
θm : 등가스트럿의 경사각, tanθm = hm/Lm
rop : 채움벽의 개구부 강성 감소계수, rop
= 1 - 2 * (Aop/Awtot), Aop : 개구부면적, Awtot : 전체채움벽 면적)
Note.
개구부가
있는 채움벽의 강성은 채움벽을 분할하여 각각의 강성을 고려하여 결정하거나, 개구부강성 감소율을 곱하여
저감한다.
Stiffness
Kfm : 등가 캔틸레버 기둥의 휨강성, Kfm =
Scale Factor * (3 x Em x Im) / hm^3
Kvm : 등가 캔틸레버 기둥의 전단강성, Kvm
= (Aw x Gm) / hm
Kmi : 조적 채움벽의 탄성 횡강성, Kmi =
1/{(1/Kfm)+(1/Kvm)}
Kmi * rop : 조적 채움벽의 탄성 횡강성 *
개구부 강성 저감율
Strut
Stiffness
km * rop : 등가스트럿의 환산 탄성 축강성(km
= Kmi/cos2θm)
* 개구부 강성 저감율
kms탭

Masonry
Infill Strut Stiffness Table(kms탭)
Member
: 기둥 요소(대표)번호
Infill
Strut Name : Define Masonry Infill Strut에서 정의된
등가 스트럿 이름
Masonry
Infill Wall Size
Lm : 조적 채움벽의 순너비
hm : 조적 채움벽의 순높이
tm : 조적 채움벽의 두께
Opening Area : 조적채움벽의 개구부 면적
Material
Em : 조적채움벽의 탄성계수
Gm : 조적조의 전단탄성계수, G=E/{2*(1+v)}
Ec :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탄성계수
Note.
등가스트럿의 양단부 중 상부 절점과
연결된 기둥중 하부 지지기둥의 탄성계수
Parameter
Ic : 기둥의 단면이차모멘트
Note.
등가스트럿의 양단부 중 상부 절점과 연결된 기둥중
하부 지지기둥의 단면이차모멘트
θst : 등가스트럿의 경사각, tanθst = hm/Lm
λm : 조적 채움벽의 등가스트럿 폭 계수
dm : 조적채움벽의 대각선길이, dm = (Lm^2
+ hm^2)^(1/2))
rop : 채움벽의 개구부 강성 감소계수, rop
= 1 - 2 * (Aop/Awtot), Aop : 개구부면적, Awtot : 전체채움벽 면적)
Note.
개구부가
있는 채움벽의 강성은 채움벽을 분할하여 각각의 강성을 고려하여 결정하거나, 개구부강성 감소율을 곱하여
저감한다.
Stiffness
kms : 등가스트럿의 할선강성, kms = (Em
* bm * tm)/dm
kms * rop : 등가스트럿의 할선강성
* 개구부 강성 저감율
Strut
Width
bm * rop : (채움벽)등가스트럿 폭 * 개구부
강성 저감율
Note.
bm은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 매뉴얼, 교육부, 2018]의 식(6-9)를 이용하여 계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