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과 같은 대화상자를 통하여 입력합니다.

Modify SRC Material 대화상자
Material List
해석모델 작성시 입력한 철골, 콘크리트 및 철근의 재질이 표시되며, 수정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재질을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SRC Material Selection
선택된 재질데이터가 철골, 콘크리트, 철근으로 나누어져서 표시됩니다.
Steel Material Selection
선택된 철골재질이 표시되며 철골재질데이터를 수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철골재질데이터의 변경은 프로그램에 내장되어 있는 철골재질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철골재질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
해당 철골재질이 속한 표준규격(Code)과 철골재질이름(Name)을 마우스로 선택하면 됩니다. (Note 1 참조)
2) 사용자가 철골재질데이터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
먼저 철골재질표준규격을 Code 항에서 'None'으로 선택하고, 입력하고자 하는 철골재질명칭을 Name 항에 입력합니다. 이렇게
입력을 마치면 다음과 같은 철골재질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각 항목이 활성화되고, 각 항목별로 해당 값들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Es(Modulus of Elasticity) : 철골재질의 탄성계수
Fu(Tensile Strength) : 철골재질의 인장강도
Fy1(Yield Strength [t <= 40mm]) : 사용부재의 두께가 40mm이하인 경우 철골재질의 항복강도(Note 2. 참조)
Fy2(Yield Strength [t > 40mm]) : 사용부재의 두께가 40mm를 초과하는 경우 철골재질의 항복강도(Note 2 참조)
Concrete Material Selection
선택된 콘크리트재질이 표시되며 콘크리트재질데이터를 수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재질데이터의 변경은 프로그램에 내장되어 있는 콘크리트재질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콘크리트재질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
해당 콘크리트재질이 속한 표준규격(Code)과 콘크리트재질이름(Name)을 마우스로 선택하면 됩니다. (Note 3 참조)
철근의 표준규격은 콘크리트의 표준규격과 동일하게 표시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습니다. 즉, 콘크리트의
표준규격과 철근의 표준규격은 반드시 같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2) 사용자가 콘크리트재질데이터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
먼저 콘크리트표준규격을 Code 항에서 'None'으로 선택하고, 입력 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재질명칭을 Name 항에 입력합니다.
이렇게 입력을 마치면 다음과 같은 콘크리트재질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각 항목이 활성화 되고, 각 항목별로 해당 값들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Specified Compressive Strength (f'c/fck) : 콘크리트재질의 설계기준압축강도
Reinforcement Selection(Note 4 참조)
Code : 철근의 표준규격을 선택(Note 5 참조)
Main Rebar : 주철근의 종류
Sub-Rebar : 보조철근(전단철근)의 종류
Fyr : 주철근의 항복강도
Fys : 보조철근(전단철근)의 항복강도
: 사용자가 입력한 값으로 해당재질데이터를 수정합니다.
: 입력한 값이나 선택사항을 적용하지 않고 대화상자를 닫습니다.
Note 1
제공되는 철골의 표준규격기준 데이터베이스는 Modify Steel Material 참조.
제공되는 콘크리트 및 철근의 표준규격기준 데이터베이스는 Modify Concrete Material 참조.
Note 2
Fy1과 Fy2 는 철골재질의 항복강도를 의미하며, 강도검증 수행시 각 응력성분(압축, 인장, 휨, 전단)별 허용응력(설계강도)을 계산하는데 기준이 되는 값이다.
Fy1과 Fy2 값의 적용은 부재단면의 최대 두께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플랜지 두께가 42mm이고, 웨브 두께가 20mm인 H형강의 경우 최대 사용 두께가 42mm이므로 Fy2 값을 허용응력(설계강도) 산정시 기준 값으로 사용한다.
Note 3
해석모델에 입력된 철골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철근재질데이터 값이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의 값들을 적용한다.
Main Rebar = SD40 (Fyr = 4 tonf/cm2)
Sub-Rebar = SD40 (Fys = 4 tonf/cm2)
Note 4
철근의 탄성계수는 아래와 같이 설계기준별로 정의된 값을 적용한다.
대한건축학회의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규준(AIK-SRC2K) : 2.10×106 kg/cm2
미국 SSRC(Structural Stability Resarch Council)의 허용응력설계법(SSRC79) : 2.90×107 lb/in2
일본건축학회의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규준(AIJ-SRC01) : 2.05×105 N/mm2
중국공업규격의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규준(JGJ138-01) : 2.00×105 N/mm2
Note 5
Code항에서 표준규격을 'None'으로 선택하면 사용자가 정의한 재질로 설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