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ing Load Cases
▒ 기능
입력된 차량하중그룹과 차선을 사용하여 이동하중조건을 입력합니다.
이동하중해석에 사용할 차량의 종류, 차선의 개수, 이동하중 해석 방법 등을 정의합니다.
▒ 호출
[Load] 탭 > [Moving Load] > [Moving Load Cases]
▒ 입력
Moving Load Cases 대화상자
: 이동하중조건을 신규로 입력하거나 추가하고자 할 경우
: 이미 입력된 이동하중조건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 이미 입력된 이동하중조건을 삭제하고자 할 경우
Load Case Name
이동하중조건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Description
이동하중조건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
Vehicle
해석에 사용할 차량하중을 선택합니다. 정의된 차량하중이 없는 경우 우측의 […]버튼을 클릭하면 차량하중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Scale Factor
차량하중에 대한 증감계수를 입력합니다.
Line Lane
해석에 사용될 차선을 선택합니다. 횡방향 이동하중은 기본적으로 2차원 해석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개의 차선이 정의되어 있더라도 하나의 차선만을 사용하여 해석합니다.
Multiple Presence Factor
여러차선에 동시에 차량이 재하되는 경우 차량하중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감소 계수를 입력합니다. (2005 도로교 설계 기준 참고)
Define Moving Load Cases 대화상자
차량하중의 다차선 재하시에 사용하는 감소계수를 입력합니다.
한국 도로교표준시방서와 AASHTO에서는 1차선 재하와 2차선 재하에서는 1.0 을 사용하고, 3차선 재하에서는 0.9, 4차선 이상의 재하에서는 0.75 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Note 하중기준(KOREA, AAEHTO Sandard, AASHTO LRFD 등)에 따라 다차선 동시 재하시 감소계수(Multiple Presence Factor)값을 Default로 되도록 개선하였다.
Sub-Load Cases
이동하중조건내에 차량하중그룹을 재하하고자 하는 차선과 재하 방법등의 차량재하조건을 입력합니다.
Loading Effect
차량재하조건들의 조합방법을 지정합니다.
Combined : Sub-Load Case에서 두 가지 이상의 차량 하중을 선택한 경우
여러 차선에 모든 종류의 차량이 동시에 재하된 경우까지 모두 고려합니다.
Independent : 차량재하조건을 독립적으로 적용. Sub-Load Case에서 두
가지 이상의 차량 하중을 선택한 경우, 여러 종류의 차량 하중이 동시에
재하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Note DB하중과 DL하중조건을 동시에 정의한 경우 'Independent'를 지정하면
각각의 차량재하조건에 대한 Envelope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우리 나라
도로교 설계기준의 경우 DB와 DL 하중이 동시에 재하되는 것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Independent를 사용한다.
차량재하조건을 처음 입력하거나 추가하는 경우 버튼을 클릭하고 다음 사항을 입력합니다.
이미 입력된 차량재하조건을 수정하려면 대화상자내의 수정하고자 하는 차량재하조건을 지정한 후 버튼을, 삭제하려면 버튼을 클릭합니다.
Sub-Load Case 대화상자
Vehicle Class
차량하중그룹 또는 차량하중을 직접 선택합니다.
차량하중그룹의 재하에 사용되는 증감계수를 입력합니다.
2차원 해석을 하는 경우 차량의 단위폭 하중을 고려해야 하는데, 이 Scale Factor에 전체 차량 하중과 단위폭 차량하중과의 비율을 입력하여 단위폭 차량 하중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Min. Number of Loaded Lanes
차량하중그룹을 재하하는 최소 차선수를 입력합니다.
Max. Number of Loaded Lanes
차량하중그룹을 재하하는 최대 차선수를 입력합니다.
Note 최대ㆍ최소 차선수는 선택된 차선수보다 적어야 한다.
Assign Lanes
차량하중그룹이 재하되는 차선을 선택합니다.
차선 목록에서 차량하중그룹을 재하시키고자 하는 차선을 마우스로 지정하고 를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이미 선택된 차선을 삭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차선을 먼저 마우스로 지정하고 를 클릭하여 삭제합니다.
Note 재하대상으로 선택하는 차선의 수는 최대 10개까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