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ismic Load Name 
				  지진토압의 
				 이름(사용자 
				 지정) 
				    
				
  Seismic Load Code 
				  지진토압 
				  계산에 
				 적용할 기준을 선택합니다. 
				 
				  KDS 
				 (41-17-00:2019) : 한국, 건설기준코드 2019 
				    
				
  Seismic Load Parameters 
				 지진토압 
				 산정에 적용할 변수를 입력합니다. 
				 
				지진토압 산정방법(등가정적법/응답변위법) 
				 판단은 Response 
				 Displacement 
				 옆의 상세버튼  
				  를 
				 이용해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Note.지진토압 
				 산정법 판별 참고) 
				  
				
  Design Spectral Response Acceleration 
				 
				  단주기 
				 및 1초 
				 주기스펙트럼 가속도 산정을 위한 변수를 입력합니다. 
				 
				Seismic 
				 Zone : 지진구역 
				EPA(S) 
				 : 유효지반가속도,g 
				Site 
				 Class : 지반의 
				 종류 
				Fa 
				 : 단주기 
				 지반증폭계수 
				EPGAff: 
				 해당지반 지표면에서의 
				 최대유효지반가속도(S*Fa*2/3으로 자동으로 산정) 
				Kae 
				 : 지진토압계수(0.75*EPGAff로 자동으로 산정) 
				Fv 
				 : 주기 
				 1초의 지반증폭계수 
				Sds 
				 : 단주기 
				 설계스펙트럼 가속도 
				지역계수와 지반증폭계수로부터 자동으로 
				 산정 (2/3*S*2.5*Fa) 
				Sd1 
				 : 주기 
				 1초의 설계스펙트럼 가속도 
				지역계수와 지반증폭계수로부터 자동으로 
				 산정 (2/3*S*Fv) 
				  
				     
				
  Structural Parameters 
				  Sei.Use Group : 내진등급 
				 
				   
				 Importance 
				 Factor : 
				 중요도 
				 계수. 
				 선택된 내진등급에 따라 자동으로 입력된다.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R): 
				 반응수정계수 
				 
				   
				   
				   
				   
				   
				   
				   
				Note.지진토압 산정법 
				 판별 
				건축물 내진설계기준<KDS 41 17 00:2019> 
				 中 ‘14.5.2장 
				 지진토압의 계산 
				에 따라, 지표면으로부터 기반암까지 토사의 깊이가 15m 이내이고, 
				 지표면으로부터 
				 지하구조물 기초의 저면까지의 깊이가 토사 깊이의 2/3 
				 이하인 경우 등가정적법을 
				 적용할 수 있다. 
				  
				Ground 
				 Level : 지표면의 
				 위치 
				Bedrock 
				 Level : 기반암의 
				 위치 
				Bottom 
				 of Footing Level : 기초의 
				 저면의 위치 
				상기 위치(Level)을 입력하여 등가정적법 적용 가능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단, 프로그램에서는 상기 등가정적법 적용기준을 만족하지 
				 않더라도 최종 
				지진토압 산정시 검토하도록 허용하였으므로 
				 사용자의 등가정적법 적용유무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