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 Beam Performance

 

기능

RC Beam부재의 성능수준을 테이블로 확인합니다. Member별 확인과 하중조합별로 확인할 수 있도록 2개의 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erformance(Memb.)탭에서는 부재별로 모든 하중조합중에서 불리한 성능수준을 확인 할 수 있으며, Performance(Load Comb.)탭에서는 사용자지정 하중조합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midas Gen의 Table Tool은 강력하고 다양한 각종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자세한 사용법은 Table Tool의 사용법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호출

[Seismic Evaluation] 탭 > [Evaluation Type] 그룹 > [KISTEC2013] > [1st Eval.] > [Result Tables]그룹 > [RC Performance] >[RC Beam Performance]

 

입력

해석후 RC Beam Performance 기능을 실행하면 Records Activation Dialog가 호출되고 여기에서 부재 및 층을 선택한 후 [OK]버튼을 클릭합니다.

Performance(Memb.)탭

RC Beam Performance Table(1단계 상세평가)

 

Scale Up of m Factor for DCR Calculation of Deformation-Controlled Action=1.0 : Main Control > Evaluation Method대화창의 'Scale Up of m Factor for 1st Evaluation'에서 입력한 계수값을 출력합니다. 계수값의 수정은 Evaluation Method에서 할 수 있습니다.

Story : Beam 부재의 소속 층

Structure > Building > Story Data 에 입력된 층 이름

Level : Beam 부재의 Level

Structure > Building > Story Data 에 입력된 층 Level

Section Name :  : Beam 부재의 Section Name

Member : Beam 부재의 대표 요소번호(Member Assignment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대표 요소번호로 확인)

Performance : 전체 하중조합 중 가장 불리한 성능수준

 

Performance(Load Combi.)탭

RC Beam Performance Table(1단계 상세평가)

 

Scale Up of m Factor for DCR Calculation of Deformation-Controlled Action=1.0 : Main Control > Evaluation Method대화창의 'Scale Up of m Factor for 1st Evaluation'에서 입력한 계수값을 출력합니다. 계수값의 수정은 Evaluation Method에서 할 수 있습니다.

Story : Beam 부재의 소속 층

Structure > Building > Story Data 에 입력된 층 이름

Level : Beam 부재의 Level

Structure > Building > Story Data 에 입력된 층 Level

Section Name :  : Beam 부재의 Section Name

Member : Beam 부재의 대표 요소번호(Member Assignment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대표 요소번호로 확인)

Load : Load Combination에서 입력된 하중조합조건 이름

Part : 부재응력 출력위치(I, J), 괄호( )안의 번호는 절점번호

Demand : 요구강도

Mu, Vu :  휨, 전단 부재력

Capacity : 보유강도

Me(+), Me(-), Vn :  정방향 평균휨강도(하부근이 인장인 경우), 부방향 평균휨강도(상부근이 인장인 경우), 전단강도

변형지배거동의 경우 평균강도 적용(예 : 휨강도)

하중지배거동의 경우 공칭강도 적용(예 : 전단강도)

Controlled Action : 지배판정

Flexureal, Shear  :  휨지배, 전단지배

Transverse Reinf. : 내진/비내진 상세 구분

C, NC  :  내진상세단면(Confined), 비내진상세단면(Not Confined)

(ρ-ρ’)/ρ_bal : 주근의 배근상태

Note.
배근상태에서 (-)값이 출력되는 경우
(인장철근비 - 압축철근비) / (균형철근비) 로 계산되는 철근의 배근상태를 표현하는 상수이기 때문에 0보다 낮은값이 나왔을때는 인장철근보다 압축철근이 많은 상태입니다.

예를 들면, 지진하중 작용시 하중방향 단부의 경우 하부가 인장단이 되기 때문에 (0.004608333-0.0069125)/0.43006 = -0.005358

Shear Force Ratio : 작용전단력의 크기

                        

m-Factor : 철근콘크리트 보의 m계수

Note. [KISTEC 2013(한국시설안전공단 2013) 관련조항 보기]

DCR : 허용기준(Demand Capacity Ratio)

변형지배 거동인 경우  : DCR = QUD/(mxQCE)

하중지배 거동인 경우 : DCR = QUF/QCN

Note. [KISTEC 2013(한국시설안전공단 2013) 관련조항 보기]

Note.
변형지배거동 하중조합일 경우에는 m-Factor를 적용해서 DCR을 평가하지만, 하중지배거동 하중조합일 경우 부재의 공칭강도(QCN)에 IO=0.5, LS=0.75, CP=1.0을 곱해서 성능수준을 평가합니다.

Performance : DCR 계산값으로 성능수준 평가

예 1) IO, LS, CP 값이 가장 큰 성능수준으로 평가
     IO < 1.0 : IO
     1.0 ≤ IO, LS < 1.0 : LS
     1.0 ≤ LS, CP < 1.0 : CP

예 2) Flexural, Shear중 불리한 항목으로 평가
       Flexural 쪽이 IO이고, Shear 쪽이 LS이면 : 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