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후 
				 RC Beam Performance 기능을 실행하면 Records Activation Dialog가 
				 호출되고 여기에서 부재 및 층을 선택한 후 [OK]버튼을 
				 클릭합니다. 
				확인하고자 하는 Pushover 
				 Load Case와 Step 및 층을 선택하고 [OK]를 
				 클릭합니다. 
				산정된 성능점이 있는 
				 경우에는 Step리스트에 성능점(PP)스텝이 추가로 나타납니다. 
				  
				  
				RC 
				 Beam Performance Table(MOE2018/Pushover) 
				  
				Story : Beam 부재의 소속 
				 층 
				Structure > 
				 Building > Story Data 에 입력된 층 이름 
				Level : Beam 부재의 Level 
				Structure 
				 > Building > Story Data 에 입력된 층 Level 
				Section Name : Beam 
				 부재의 Section Name 
				Member : Beam 부재의 대표 
				 요소번호(Member Assignment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대표 요소번호로 확인) 
				Load, Step : Pushover 
				 Load Case, 해당 하중조건에서의 스텝 
				Part : 부재응력 출력위치(I, 
				 J), 괄호( )안의 번호는 절점번호 
				Controlled Action 
				 : 지배판정 
				Flexureal, Shear  : 
				  휨지배, 전단지배 
				Transverse Reinf. 
				 : 내진/비내진 상세 구분 
				C, NC  :  내진상세단면(Confined), 
				 비내진상세단면(Not Confined) 
				(ρ-ρ’)/ρ_bal : 주근의 배근상태 
				Note. 
				 배근상태에서 (-)값이 출력되는 경우 
				(인장철근비 - 압축철근비) / (균형철근비) 로 계산되는 철근의 배근상태를 표현하는 상수이기 때문에 
				 0보다 낮은값이 나왔을때는 인장철근보다 압축철근이 많은 상태입니다.  
				예를 들면, 지진하중 작용시 하중방향 단부의 
				 경우 하부가 인장단이 되기 때문에 (0.004608333-0.0069125)/0.43006 = -0.005358 
				 
				Shear Force Ratio : 
				 작용전단력의 크기 
				                          
				Deform : 요소의 발생 변위(전체변위=탄성+소성) 
				Yield Strength : 단면의 
				 항복강도 
				6개 자유도 성분에 대한 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탭에서의 
				 항복강도는 축강도, 전단강도, 휨모멘트강도가 됩니다.  
				Dx탭 
				 : 요소 x축 방향 변위성분, 축강도 
				Dy탭 
				 : 요소 y축 방향 변위성분, 전단강도  
				Dz탭 
				 : 요소 z축 방향 변위성분, 전단강도  
				Rx탭 
				 : 요소 x축에 대한 회전성분, 비틀림모멘트강도  
				Ry탭 
				 : 요소 y축에 대한 회전성분, 휨모멘트강도  
				Rz탭 
				 : 요소 z축에 대한 회전성분, 휨모멘트강도 
				Note 
				Yield Strength는 각 
				 힌지의 항복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물리적으로는 탄성한계를 넘어 소성으로 넘어가는 점이 됩니다. 
				  
				따라서, 이 값은 스텝이 변화한다고 해서 변화되는 
				 값은 아닙니다. 단, 기둥부재의 경우에는 축력의 변동을 고려하게되면 축력의 변화에 따라서 항복강도가 
				 변화될 수 있습니다. 축력변동을 고려한 전단강도 계산여부는 'Define Hinge Properties대화창의 
				 P-Q Interaction 체크'를 통해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Initial Stiff. : 요소의 
				 초기강성 
				D1 : 단면의 항복변형 또는 변형도 
				Note 
				D1값은 Yield Strength에 
				 대응하는 변형값입니다. 이 D1값은 요소의 종류와 성분에 따라서 달라지게 됩니다.  
				M-THETA요소인 경우에 축력은 상대축변위, 
				 전단은 전단변형, 휨성분은 설정된 힌지의 회전각이 됩니다. 
				M-PHI요소의 경우에는 축력은 축변형률, 전단은 
				 전단변형률, 휨성분은 설정된 힌지의 곡률이 됩니다.  
				D1은 Yield Strength에 대응하는 값이므로 
				 스텝이 변화한다고 변화되는 값은 아닙니다. 역시, PMM인 경우에는 D1값도 변화 합니다. 
				   
				  
				Acceptance Criteria : 철근콘크리트 
				 보의 모델링 파라미터 및 허용기준에 따라 계산된 허용기준 값 
				Note. 
				 [MOE2018(교육부, 
				 2018) 관련조항 보기] 
				
				  
				D/D1 
				 : 전체변위에 대한 항복변위 비 
				Performance : 변위비(D/D1)의 
				 허용기준(IO, LS, CP) 만족상태에 대한 성능수준 평가 
				예 
				 1)  D/D1 
				 < IO        : 
				 IO 
				        IO 
				 ≤ D/D1 < LS : LS 
				       LS 
				 ≤ D/D1 < CP : CP 
				        CP 
				 ≤ D/D1        : 
				 Collapse  
				         |